•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Children's Library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1945-2002 (A Historical Study on the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45 to 2002)

  • 김지완;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95-119
    • /
    • 2019
  •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2002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6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준비기로, 공공도서관 어린이실을 중심으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여 어린이도서관이 설립되지 못하였다. 둘째, 1977년 부터 2002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성장기로, 어린이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린이도서관이 처음 등장하였고, 이 시기 어린이도서관은 공공영역보다 주로 민간영역에서 설립되었다.

공공어린이도서관 운영현황 및 활성화방안 연구 (A Study to Facilitate Public Children's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9-215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어린이도서관' 운영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어린이서비스 실태 그리고 현재 공공어린이도서관 서비스의 한계점 및 어린이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있는 공공어린이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관장 및 사서와의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도구는 도서관 운영방법, 도서관의 비전, 어린이 사서의 자격 및 역할, 어린이서비스 실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공공어린이도서관은 기본적인 운영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운영기관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운영 실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어린이사서의 전문성 강화와 어린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매체시대 어린이 독서운동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or Children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y in the Age of Multi-Media)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61-286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매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독서는 어떤 의미이며, 그들의 특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독서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일고있는 어린이 독서운동의 국내외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우리나라의 어린이 독서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와 책을 연결해주는 매개자로서의 소임을 다해야 하며, 공동체 문화의 형성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한 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세대를 이어주는 이야기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열악한 어린이 독서환경 개선을 위해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을 설치하는 데 힘써야 하며. 학계와 도서관협회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어린이 독서운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끌어갈 주체인 어린이 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

  • PDF

국내외 도서관의 아동서비스와 직무사례 분석 (Analysis of Children's Services and Children's Librarian Jobs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 윤희윤;김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32
    • /
    • 2008
  •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아동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표준 직무모형 개발의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 국내의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아동서비스의 현황과 특징, 직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서비스를 위한 도서관 경영관리, 아동장서의 개발과 보존관리, 아동자료의 정리와 DB관리, 직접적 및 간접적 아동서비스, 도서 및 독서관련 프로그램 서비스, 그리고 지역사회의 유관기관 및 시설과의 연계 협력 서비스 등이 아동사서가 수행해야 할 핵심직무로 밝혀졌다. 이를 논거로 삼아 후속연구에서는 표준 직무모형을 개발할 것이다.

Co-designing the Library Makerspace with Children: A Case Study of Seoul Children's Library with a Focus on 3D Printing

  • 이경진;조민;이소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51-17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utilization of a makerspace regarding 3D printers in a children's library by conducting co-design sessions targeting the end-users, children. To achieve this, a program utilizing a 3D printer was conducted for seven children at the Seoul Children's Library, followed by interviews with bo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during the design s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interest in the physical realization of ideas through the use of a 3D printer. Researchers adjusted their level of intervention based on each child's tendency, playing a supportive role. Second, children became aware of various limitations associated with 3D printers and public library makerspace. Third, the rapport between children and research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design sessions, driven by the active communication of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a reevaluation of the value and necessity of library maker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autonomy and creativity and emphasizes the need to closely understand the end user's requirements in establishing operational strategies for library makerspace.

어린이사서의 상호협력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Network Systems Among the Children's Librarians)

  • 곽철완;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05-427
    • /
    • 2008
  • 오늘날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서비스는 많은 사람들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분야이다.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실 혹은 어린이도서관은 그 지역사회의 어린이에게 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평생학습을 수행할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공공도서관에 어린이서비스를 담당하는 어린이사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며, 따라서 제한된 인원으로 증가하는 사회의 변화에 지속적으로 대응하고, 모든 어린이들의 정보요구, 문화 및 오락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및 어린이도서관에서 어린이서비스를 담당하는 어린이사서들이 업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 타 기관 혹은 다른 어린이사서들과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상호협력 내용과 상호협력이 필요한 분야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아동교육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 미국 보스턴주변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관찰조사를 중심으로 (Roles of the Public Library for Children Education : Observation Survey on the Public Libraries in Boston and its Vicinity)

  • 임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3-414
    • /
    • 2004
  • 전통적으로 도서관의 역할은 자료보존기능과 자료제공기능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학습의 장으로서 그들의 문화적 교육적 활동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일생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형식적 학습이 필요하며 그 기능에 대한 도서관의 비중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의 관찰대상이 된 미국 공공도서관의 특징은 아동에 대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역할이었다. 이들 공공도서관은 아동교육의 주체자로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아동교육의 장으로서 스스로 주도해가고 있었다. 앞으로 공공도서관은 교육의 장으로서 지역사회와 일체감 있는 공동체기능이 더욱 강조되어져야 한다.

  • PDF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Design of Children's Library)

  • 김혜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87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 공공/어린이도서관 홈페이지에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 27개의 어린이 열람실, 어린이 도서관 그리고 사설 어린이 도서관의 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검색 항목의 수에 따라 4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고 국외의 경우 International Children's Digital Library, Mid-Hudson Library System KidsOnline, LA Public Library Kid's Path의 정보검색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어린이용 검색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읽기 쉬운 글자크기로 언제든지 쉽게 바꿀 수 있을 것.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이 모두 가능할 것. 아이콘의 크기는 어린이들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하기 쉬운 크기로 디자인 할 것 철자 검사 기술은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오자 문제를 최소화 시킬 것. 검색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할 경우 이용 대상자를 참여시켜 이용자의 눈높이에서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 부모의 의식조사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Perception of the Children's Parent)

  • 곽철완;이정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55-17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동반한 부모들이 가지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행태와 어린이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어린이 도서관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전국의 4곳의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 및 어린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 자녀와 동반한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4개 도서관별로 차이가 나는 요인들 6가지가 나타났다. 파악된 주요 요인들은 주민의 도서관 이용행태에 따른 공간계획 필요 연령별 및 영역별 서가 형태 및 높이의 다양화, 어린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공간 설치, 어린이의 도서관 활동의 안전성 확보, 어린이에게 정서적으로 안정된 공간 필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서관 내부는 공간 이동이 용이한 형태이었다.

  • PDF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A Research for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95-4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타당성, 문제점 및 효과성을 평가하고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사례로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인 'S 어린이도서관'의 학부모 및 프로그램 참가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및 프로그램 관찰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