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rotrophic bacteria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4초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sychrotrophic, Lipolytic Bacteria from Deep-Sea Sediments

  • Zeng, Xiang;Xiao, Xiang;Wang, Peng;Wang, Reng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952-958
    • /
    • 2004
  • Of 23 psych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west Pacific deep-sea sediments, 19 were assigned to the $\gamma$-Proteobacteria, 3 to the <$\beta$-Proteobacteria, and 1 to the Gram-positive bacteria, as determined by their 16S rDNA sequences. Ten psychrotrophs, affiliated to the Psychrobacter, Pseudoalteromonas, and Pseudomonas genera in the $\gamma$-Proteobacteria group, were screened for lipolytic bacteria. The majority of the lipolytic isolates had growth temperatures between 4-$30^\circ{C}$, and all of them were neutrophilic, aerobic, or facultatively anaerobic, and some were able to produce multiple kinds of ectohydrolytic enzymes. The deep-sea strains Psychrobacter sp. wp37 and Pseudoalteromonas sp. wp27 were chosen for further lipase production analysis. Both strains had the highest lipase production when grown at 10 to $20^\circ{C}$; their highest lipase production occurred at the late-exponential growth stage; and the majority of the enzymes were excreted to the outside of the cells. Lipases from both strains had the same optimal reaction temperature and pH (20-$30^\circ{C}$, pH 7-8) and could retain about 60% of their highest activity at $4^\circ{C}$. Furthermore, SDS-PAGE and an in-gel activity test showed that they had the same high molecular mass of about 85 kDa.

김치에서 분리한 저온성 젖산균의 배추즙에서의 배양 (Cultivation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in Korean Cabbage-Juice)

  • 소명환;오현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92-39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actions and roles of 10 strains of representative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fermentation, which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as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eu. lactic, Leu. paramesenteroides, Lac. bavaricus and Lac. homahiochii. For this, 0.01% of tactic starters were inoculated in germ free Korean cabbage-juice containing 2.5% NaCl, and then cultivated for 14 days at 1$0^{\circ}C$. All strains grew actively, and reached their stationary phase in 4 days. In death phase, the slopes of curves were much different each other by strains. The acidity increased rapidly between 2 and 4 days, and the pH decreased rapidly between 2 and 3 days. The total acidity was 0.5B~0.75%, the volatile acidity 0.04~0.18% and the pH 3.55~3.85, in final cultures. The cultures of Leuconostocs were better than those of lactobacilli on flavor test. It was thought that the ripening periods of kimchi would be much reduced, and that the over ripening would be also somewhat avoided, when these strains were used as starter bacteria for kimchi and the kimchi was fermented at low temperature.

  • PDF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남극에서 분리한 저온성 세균 유래 단백질 분해 효소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form Psychrotrophic Antarctic Bacteria)

  • 조기웅;방지헌;홍혜원;박승일;이윤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4-259
    • /
    • 2002
  • 저온에서 최적 생육을 보이는 저온성 균주를 남극해양에서 분리하여 생화학적 특성 및 165 rRNA 염기서열로부터 Shewanella sp.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하고 Shewanella sp. L93으로명명하였다. 본 균주에서 생산되는 저온성 세포외 단백질 분해 효소(extracellular protease)를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High-Q column chromatography, 일차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BioScale Q2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및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purification fold 19.3, yield 0.7 %로 정제하였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유의 저온성 세균의 증식에 의한 유질변화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of Raw Milk Quality by the Growth of Psychrotrophic Bacteria)

  • 정충일;강국희;이재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51-156
    • /
    • 1986
  • 경기도 일원의 각 목장에서 집유한 원유의 일반세균수와 저온세균수를 조사하고, 유질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원유의 총 균수는 1980년 여름에 $10^{7}/ml$, 겨울에는 $10^{6}/ml$을 유지하였다. 대장균군도 1982년 여름에는 $10^{6}/ml$였고 겨울에는 $1{\times}10^{5}/ml$였으나 매년 감소하여, 1985년에는 년중 균일하게 $1{\times}10^{5}/ml$ 이하였다. 저온성 세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원유를 $5^{\circ}C$나 혹은 $10^{\circ}C$에 저장하는 경우에도 저온성 세균은 증식하며 동시에 단백질과 지방이 분해하여 유리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 PDF

예측미생물을 이용한 미강식이섬유 함유 프랑크푸르터 소시지의 유통기한 설정 (Shelf-life Estimation of Frankfurter Sausage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Using Predictive Modeling)

  • 허찬;김현욱;최윤상;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4
    • /
    • 2009
  • Predictive modeling was applied to study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related to spoilage in frankfurter sausag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dietary fiber (0, 1, 2, and 3%) from rice bran and to estimate its shelf-life. Using the Baranyi model, total viable cells, anaerob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were measured during 35 days of cold storage ($<4{\pm}1^{\circ}C$). The lag times (LT) demonstrated by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6.28, 623, 6.24, and 6.25 days,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of total viable cells in each group were 0.95, 0.91, 0.92, and 0.91 (Log CFU/g/day), respectively. The anaerob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had lower initial ($y_0$) and maximal bacterial counts ($y_{max}$) than total viable cells. Also, the anaerob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possessed lower growth rate and longer lag time than total viable cells. The estimated shelf-life of frankfurter containing rice bran fiber by the growth rate of total viable cells was 7.8, 7.9, 7.9, and 7.7 day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lf-life as a function of fiber content. In other words,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in sausage did not show the critically hazardous results in growth of microorganism. The 12 predictive models were then characterized by high $R^2$, and small RMSE. Furthermore, $B_f$ and $A_f$ values showed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and observed data.

한국형 우육포의 제조공정 중 연화제가 육포품질 및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nderizer on Physical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during Korean Beef Jerky Production)

  • 김현욱;한두정;김천제;백현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75-680
    • /
    • 2008
  • The physical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of Korean beef jerky was evaluated at various steps during its preparation. Microbial counts in raw beef demonstrated mesophillic bacteria at 4.20 Log CFU/g, psychrotrophic bacteria at 3.85 Log CFU/g, anaerobic bacteria at 4.90 Log CFU/g, and yeast and molds at 1.92 Log CFU/g. Spore-forming bacteria and coliforms were not detected in raw beef samples. Spices and spiced meats showed similar trends in microbial counts, demonstrating minimal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these stages of preparation. The final beef jerky product exhibited counts of mesophillic bacteria at 1.15-1.66 Log CFU/g, psychrotrophic bacteria at 1.15-1.66 Log CFU/g, and anaerobic bacteria at 0.81-1.72 Log CFU/g. Spore-forming bacteria, yeast and molds, and coliforms were not detected in beef jerk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added ingredients occurred for instron textural profile analysis traits for hardness. In general, Korean beef jerky with humectant and tenderizer had lower hardness than control (without humectant and tenderizer). Also, the sample added with 0.01% protease from Streptomyces griseus had lower hardness than all samples. All samples had 0.7l to 0.72 water activities, and the color and pH were not shown in significant changes of all samples.

계절에 따라 여러 지역의 원유에서 분리된 내냉성 미생물의 효소 활성 (Enzyme Activity of Isolated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aw Milk of Different Regions on Season)

  • 신용국;오남수;이현아;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72-780
    • /
    • 2013
  • 지방분해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균은 가을철에 집유한 B 지역의 원유로부터 분리한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match %: 99.90)이었으며,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균은 봄철에 B 지역의 원유로부터 분리한 Serratia liquefaciens(match %: 99.39)였다.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match %:99.90)는 전형적인 생장곡선의 형태인 시그모이드 곡선의 형태를 나타냈으며, 배양시간별 조효소 활성은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지방분해효소 활성이 증가하다가 정지기 후반부에서부터 사멸기에 도달하기까지는 배양시간이 길수록 활성이 감소하였다. pH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pH 8.5에서 가장 높았고 온도는 $4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erratia liquefaciens(match %: 99.39)의 생장곡선은 전형적인 시그모이드 형태를 나타내었고,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은 배양 12시간 후에 가장 높았고, 18시간 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단백질 분해효소의 pH 영향은 2.5에서 활성이 가장 낮았고 pH 8.5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온도에 의한 효소활성은 $3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내냉성 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과 Serratia liquefaciens가 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rotrophic Bacteria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 and Serratia liquefaciens on Raw Milk Quality)

  • 신용국;오남수;이현아;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42-548
    • /
    • 2013
  • 살균한 원유에 지방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균주를 접종하고 저장하면서 내냉성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가 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방분해효소활성이 높은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은 냉장저장기간 중 총 고형분과 유지방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방의 분해는 냉장보관 14일째에 대조구와 비교하여 2.6배 이상의 유리지방산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지방산의 조성은 short chain free fatty acid(SCFFA), middle chain free fatty acid(MCFFA) 및 long chain free fatty acid(LCFFA)를 모두 생성하였으며, 특히 SCFFA와 MCFFA의 증가율이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활성이 높은 Serratia liquefaciens은 원유의 총 고형분과 유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단백질 조성의 변화는 냉장저장기간 동안 케이신의 함량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10일째부터 $\kappa$-케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냉장저장 14일째 2.8배 이상 생성되었으며 특히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쓴맛을 내는 leucin, valine 등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염지경과에 따른 Loin Ham의 세균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Loin Ham during Curing Period)

  • 정영건;현인환;양성호;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68
    • /
    • 1986
  • Loin햄의 염지기간중의 육과 염지액으로부터 관련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염지 경과에 따른 대장균군, 저온균 및 내염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세균은 총96주로 Gram양성균이 88주이었고, Gram음성균이 8주이었으며, staphylococcus속이 24주로 가장 많았으며 Bacillus속(21) streptococcus 속(16), Micrococcus 속 (13), Lactobacillus 속(10)의 순서로 검출 되었고, Coryneform 속과 Microbacterium 속이 각 2주로 분리되었다. 2. Micrococcus 속은 M. varians가 10주 M. luteus가 3주로 분리되었고, streptococcus 속은 S. faecium이 14주 S. lactis가 2주이었고, Lactobacillus속은 L. plantarum이 4주, L. brevis와 L. viridesence가 각2주, L. casei가 1주로 분리되었다. 3. 염지 경과중 염지육에서의 세균수 변화는 대장균군과 저온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내염균은 10일까지 증가한 다음 감소하였다. 4. 염지액에서의 세균수 변화는 대장균군은 염지경과 10일째가 가장 검출율이 높았으며, 저온균수는 4일까지 증가한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내염균은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