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Well-Being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29초

영성(영적 경향성)이 대학생에서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 이정식;김한성;한승리;한승민;최선;김서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20
    • /
    • 2018
  • 본 연구는 영성이 어떠한 대처방식을 통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적 안녕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Pearson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성은 심리적 안녕감, 적극적 대처방식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존적 안녕은 우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종교적 안녕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영성이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변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영성은 우울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그 중 실존적 안녕이 우울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가 있는 군과 남자 군에서 더욱 설명력이 높았다. 영성이 심리적 안녕과 스트레스 상황 시 적극적인 대처방식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존적 영성이 적극적 대처방식을 통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근거로 실존적 영성을 활성화 하는 치료적 개입을 통해 환자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겠다.

임상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linical Nurses)

  • 최윤정;성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89-59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clinical nurses, an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94 nurses working at S hospital, Seoul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Dunca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Mean scores were 3.45 (5 point scal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2.82(4 point scale) f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2.30(4 point scale)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Psychological well-be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ceived health status (r=.34,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 (r=.30,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52, p<.001). Personal growth(t=2.85, p=.005), purpose in life (t=2.30, p=.023) among sub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2.13, p=.034)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se combinations explained 32.1%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12.58,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Furthermore, a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veloped and applied psychological well-being promo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부산지역 기혼남녀의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en and Women in Busan)

  • 이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5-9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influence of certain variabl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6 married men and women in Busan.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administer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10.0 and included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 Chronbach'a, $$\chi$^2$,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for degree of income propriety, fate control orientation and material orientation of married men was higher than those of married women. The scores for degree of stress recognition and perceived equ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en and women was relatively low. The sco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men(2.94) was higher than that of married men(2.67). Second, variable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en were degree of income propriety(p>.001), degree of perceived stress(p>.001), fate control orientation(p>.001) and material orientation(p>.001).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men were degree of income propriety(p>.001), degree of perceived stress (p>.001), fate control orientation(p>.001) and perceived equity(p>.01). The variable of perceived equity didn'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en. The variable of material orientation didn'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men. Third, the influence level of the degree of income propriety of married men and women was the highest among the variables.

  • PDF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 및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o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3호
    • /
    • pp.43-5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r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300 working mothers who are aged under 50, have more than one child live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s,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indicated that the working mothers perceived family-work conflict to be higher than work-family conflict. The working mothers received stronger support from support systems intended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than from their spouses. The scor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working mothers was 3.27 (standard deviation = .91), which is higher than median.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ing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number of children, work${\rightarrow}$family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spousal support. Greate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linked to a young maternal age, a high monthly household income, a low number of children, low levels of work${\rightarrow}$family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strong spousal support. Third, spous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KAF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ir Self-leadership)

  • 장성화;이상철;함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32-741
    • /
    • 2016
  • 본 연구는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공군간부 211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하위변인인 자기기대와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은 행정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보상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대인관계, 보상체계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 전체에서는 직무만족도의 행정과 대인관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reassuring and Self-attacking on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96-606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위안 및 자기공격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의 우울과 강박증, 대인예민성, 정신증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은 정신건강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을 통한 두 간접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이 자기위안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자기공격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위안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자기용서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Self-forgiv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 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60-372
    • /
    • 2016
  •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졌지만 여전히 행복지수는 낮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자기용서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서 232명의 자료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 웰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MMPI-2의 임상척도는 건강염려증, 우울증, 반사회성, 편집증, 강박증, 정신분열증, 내향성이었다. 둘째, 심리적 웰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난 성격병리 5요인 척도는 정신증, 부정적 정서성/신경증,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이었다. 셋째, 임상척도 중 심리적 웰빙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수는 반사회성, 정신분열증, 내향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격병리 5요인 중에서는 정신증, 부정적 정서성/신경증과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성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신건강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행복증진을 위한 정신건강과 자기용서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연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Romantic Competence)

  • 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5-147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 연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연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낭만적 애착, 연인관계 유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낭만적 애착의 하위요인인 불안차원과 회피차원이 모두 낮은 안정애착유형일수록 연인관계 유능성의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고, 연인관계 유능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연인관계 유능성은 낭만적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낭만적 애착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연인관계 유능성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애착과 같은 정서적 측면뿐 아니라 연인관계 유능성과 같은 관계기술 능력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계발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진정성 리더십이 중국의료기관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 왕러;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29-138
    • /
    • 2022
  • COVID-19가 중국에서 전파된 이후에 중국의 의료 종사자들은 지속해서 감염될 위험과 강도 높은 업무로 인해 직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심리적 웰빙이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심리적 웰빙은 구성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성과가 영향을 줄 수 있다.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에 초점을 맞추고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사와 의 갈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 역할을 규명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314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을 높이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매개효과로 작용해 웰빙에 영향을 미친다. COVID-19 시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의료진의 심리적 웰빙을 개선함으로써 그들의 심리적 웰빙의 수준을 향상하게 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Gender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박재숙;정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79-787
    • /
    • 2022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적응유연성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만 40-65세 중년 여성 302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28일부터 8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 중년 여성에게 특화된 성역할 갈등 척도, 적응유연성 내적 요인 척도 및 Ryff의 심리적 웰빙 척도를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4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성역할 갈등은 적응유연성 및 심리적 웰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심리적 웰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중년 여성의 심리적 웰빙에 대한 성역할 갈등의 직접효과와 적응유연성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중년 여성의 적응유연성은 성역할 갈등과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