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s of Self-reassuring and Self-attacking on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7.11.15
  • Accepted : 2017.12.25
  • Published : 2018.0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assuring and self-attac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230 (98 males and 132 femal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based on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mental health, psychological well-being, self-reassuring and self-attacking. Second, depressio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sychosi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self-reassuring and self-attack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ndirect effect of mental health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reassur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attac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role of self-reassu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SPSS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자기위안 및 자기공격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의 우울과 강박증, 대인예민성, 정신증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은 정신건강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자기위안과 자기공격을 통한 두 간접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정신건강이 자기위안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자기공격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위안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R. P. Auerbach, J. Alonso, W. G. Axinn, P. Cuijpers, D. D. Ebert, J. G. Green, I. Hwang, R. C. Kessler, H. Liu, P. Mortier, M. K. Nock, S. Pinder-Amaker, N. A. Sampson, S. Aguilar-Gaxiola, A. Al-Hamzawi, L. H. Andrade, C. Benjet, J. M. Caldas-de-Almeida, K. Demyttenaere, S. Florescu, G. de Girolamo, O. Gureje, J. M. Haro, E. G. Karam, A. Kiejna, V. Kovess-Masfety, S. Lee, J. J. McGrath, S. O'Neill, B. E. Pennell, K. Scott, M. ten Have, Y. Torres, A. M. Zaslavsky, Z. Zarkov, and R. Bruffaerts, "Mental disorder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s," Psychological Medicine, Vol.26, No.14, pp.2955-2970, 2016.
  2. 김태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국민정신건강과 행복 조사 실시," 의료정보[인터넷 뉴스], 2015. http://www.kmedinf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99
  3. 김정엽,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중학생.고등학생.대학생간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제31권, pp.493-534, 2015.
  4. 현안자, 윤숙자,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의 관계-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2호, pp.403-428, 2012.
  5. http://krdic.naver.com/search.nhn?query=%ED%96%89%EB%B3%B5&kind=all
  6. 김민경, "대학생의 '행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0호, pp.1-34, 2011.
  7. 조계화, 김영경, "간호학생이 소그룹 콜라지 작업을 통해 구성한 행복의 의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1-71.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61
  8. A. F. De Man and B. I. B. Gutierrez,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with stability of self-esteem as moderator,"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Vol.34, No.4, pp.235-238, 2002. https://doi.org/10.1037/h0087176
  9. P. Gilbert, M. Clarke, S. Hempel, J. N. V. Miles, and C. Irons, "Criticizing and reassuring oneself: an exploration of forms, styles and reasons student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3, pp.31-50, 2004. https://doi.org/10.1348/014466504772812959
  10. 조현주, "한국판 자기비판/자기공격과 자기위안 형태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인지행동치료, 제11권, 제2호, pp.137-154, 2011.
  11. 김명소, 김혜원, "우리나라 기혼 여성들의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분석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5권, 제1호, pp.27-41, 2000.
  12.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은 만족스러운가? :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13.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i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14. 정구철,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자기용서 및 심리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360-37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60
  15. 윤신예, 채규만,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1-24, 2016.
  16. 지영주, 이윤복, 이아름, 전정원,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8호, pp.3866-3875, 2013.
  17. K. Peter, S. Matthias, P. Eleanor, and T. Sara, "Psychological processes mediate the impact of familial risk, social circumstances and life events on mental health," PLoS One, Vol.8, No.10, p.e76564, 20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76564
  18. 박세란, 이훈진,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2권, 제1호, pp.123-139, 2013.
  19. 허지애, 김정문, "자기격려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지지 추구적 정서조절 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스트레스연구, 제25권, 제1호, pp.44-51, 2017.
  20.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1. 김창윤, 정신장애 평가도구, 서울; 하나의학사, 2001.
  22.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23.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Y: Guilford Press, 2013.
  24.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edition, New York: Guilford Press, 2011.
  25. 고홍월, "한․중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비교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55-71, 2009.
  26. 한덕웅, 표승연,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안녕, 건강지각 및 신체질병의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7권, pp.403-427, 2002.
  27. S. Lyubomirsky, C. Tkach, M. R. DiMatteo, and H. S. Lepper,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happiness and self-esteem?,"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78, pp.363-404, 2006. https://doi.org/10.1007/s11205-005-0213-y
  28. 최석환, 김범준, "교양체육참여대학생의 건강관심도와 웰빙지향행동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5호, pp.211-220, 2013.
  29. 박소연, 이홍직,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2호, pp.73-84, 2013.
  30. 김정호, "행복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연구, 제16권, 제2호, pp.123-141, 2008.
  31. R. J. Larsen and E. Diener,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21, pp.1-39, 1987. https://doi.org/10.1016/0092-6566(87)90023-7
  32. C. L. M. Keyes,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No.2, pp.207-222, 2002. https://doi.org/10.2307/3090197
  33.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한국인의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10 년, 제1호, pp.233-257, 2010.
  34. N. Petrocchi and A. Couyoumdjian, "The impact of gratitude 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mediating role of criticizing, attacking, and reassuring the self," Self and Identity, Vol.15, pp.191-205, 2016. https://doi.org/10.1080/15298868.2015.1095794
  35. 홍영준, 이미경,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불안, 대인예민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연구, 제21권, 제10호, pp.445-474, 2014.
  36. 박민경, "대인예민성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346-35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46
  37. H. Rockliff, A. Karl, K. McEwan, J. Gilbert, M. Matos, and P. Gilbert, "Effects of intranasal oxytocin on 'compassion focused imager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11, No.6, pp.1528-1542, 2011.
  38. C. Irons, P. Gilbert, M. W. Baldwin, J. R. Baccus, and M. Palmer, "Parental recall, attachment relating and self-attacking/selfreassurance: their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British, Vol.45, No.3, pp.297-308, 2006.
  39. 손옥선, 배금예, 이승재, "주요우울장애, 양극성자애, 강박장애, 편집형 정신분열증 환자의 분노특성 비교,"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5권, 제2호, pp.155-16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