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o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Park, Ju-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2, no.3, 2018 , pp. 43-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r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on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300 working mothers who are aged under 50, have more than one child live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work-family conflicts, spousal support and support systems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rking mothers indicated that the working mothers perceived family-work conflict to be higher than work-family conflict. The working mothers received stronger support from support systems intended for work-family compatibility than from their spouses. The score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working mothers was 3.27 (standard deviation = .91), which is higher than median.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orking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number of children, work${\rightarrow}$family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spousal support. Greate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linked to a young maternal age, a high monthly household income, a low number of children, low levels of work${\rightarrow}$family and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strong spousal support. Third, spous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ightarrow}$work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eywords
wor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 psychological well-being; spousal support; work-family compati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Voydanoff, P. (2005). Consequences of boundaryspanning demands and resources for work-tofamily conflict and perceived stres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0(4), 491.   DOI
2 Wardsworth, L.L., & Owens, B. P.(2007).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7(1), 75-87.   DOI
3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 11(2), 163-186.
4 강혜련.최서연(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5 권순원.이영지.김봄이(2013).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경영교육연구, 28, 299-329.
6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7 김경희.이복순(2009).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3, 333-362
8 김리진.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 가정학회지, 38(12), 47-58.
9 김성경(2011). 기혼 취업여성의 특성이 일-가족의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단일호), 69-94.
10 김성국.박수연.이현실(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67-275.   DOI
11 김소정(2016).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일가족갈등과 일가족 촉진의 통합적 접근. 사회복지연구, 47(3), 161-185.
12 김종성(2013).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지현(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현동.김명희(2011). 기혼여성직장인의 가치관에 따른 직장과 가정의 긍정적 전이과정 탐색. 여성연구, 33-67.
15 김현화(1992).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통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신아(2014).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여성노동자의 직업 지위 차이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혜선(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류연지(1996). 성격 및 욕구수준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류임량(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work-to-family spillover)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페미니즘 연구, 9(2): 119-156.
20 김영선.옥선화(2005). 가족기업 종사자의 일-가족갈등 및 직업만족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223-23 9.
21 박주희(2003). 가족과 일. 도서출판, 하우.
22 박주희(2010).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접근성 중심으로. 가정관리학회지, 28(5), 55-66.
23 박주희.김양호(2012).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만족도 및 역할긴장도가 기혼 취업남녀의 결혼향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187-210.
24 박주희(2015).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25 방하남(2000). 한국노동패널 특집/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결정요인과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특별호, 23(단일호), 133-154.
26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7 손영빈.최은영(2009). 맞벌이 부부의 가정과 직장 간 역할갈등이 결혼만족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인특성 및 가족과 직장지원의 조절 효과 중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29-60.
28 손재희.김은정(2014).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 아동양육 취업여성의 근로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3), 421-441.   DOI
29 송유미.이제상(2011).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1(1), 27-61.
30 송다영(2008). 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 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정책, 34(9), 7-33.
31 심세연(2016). 근로자의 직장-가정 전이가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심지양(2010). 취업기혼남녀의 일-생활균형요인과 관련요인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 발표대회 자료집, 246-247.
33 안미양(2009). 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결혼 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원영희(1995).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 97-116.
35 유계숙(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 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가족과 문화, 19, 35-59.
36 유계숙(2012).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 한국심리학회지, 18(1), 111-125.
37 이선아(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이요행.방묘진.오세진(2005),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장만족, 이직의도, 그리고 가정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18(3),639-65 7.
40 이윤석(2010). 취업한 기혼 남녀의 일과 가족 전이. 한국인구학, 33(2), 1-31.
41 이은희(2000). 일과 가족 갈등의 통합모형: 선행 변인, 결과변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9(2), 1-42.
42 이자명(2013). 워킹맘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서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대안 적사고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장영은.박정윤.이승미.권보라(2011). 유자녀 취업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정 균형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63-72.
44 이현송(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91-117.
45 이희정.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3(6), 25-41.
46 임효창.이봉세.박경규(2005), 기혼직장인의 직장-가정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4(5), 1417-1443.
47 전명숙.양난미(2013).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 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 282-282.
48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일 가정 양립지표 보도자료(2017. 12.15.). 통계청. http://kostat.go.kr
50 통계청(2017). 지역별고용조사
51 하민지.권기헌(2010). 보육서비스 이용이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서비스 지역아동센터 이용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2), 231-256.
52 하오령, 권정혜(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 건강과 역할 만족도: 역할 갈등, 완벽주의 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5(3), 675-696
53 홍승아, 김은지(2015). 가족친화 인증제 운영의 기업업종별 특수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수시과제-4).
54 Abendroth, A. K., & Den Dulk, L.(2011). Support for the work-life balance in Europe: The impact of state, workplace and family support on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Work, Employment and Society, 25(2), 234-256.   DOI
55 Edwards, J. R., & Rothbard, N. P. (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178-199.   DOI
56 Anderson, S. E., Coffey, B. S. & Byerly, R. T.(2002). Formal organizational initiatives and informal workplace practices: Links to workfamily conflict and job-related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28(6), 787-810.   DOI
57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Hill.
58 Eaton, S. C.(2003). If you can use them: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dustrial Relations 42, 145-167.
59 Ezra, M., and Melissa, D.(1996). Balancing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Flextime and Child Care in the Federal Govern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6(2): 174-179.   DOI
60 Ford, M., Heine, B., & Langkamer, K. (2007).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57-80.   DOI
61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DOI
62 Fujimoto, T., Shinohara, S. K., & Oohira, T.(2014).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for employed husbands and wives in Japan: Moderating roles of self and spousal role involvemen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ial Responses to Health Issues, 8, 135-162.
63 Galinsky, E., Friedman, D. E, & Hernandez, C. A.(1991).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 programs.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64 Haddock, S. A., & Bowling, S. W. (2002). Therapists' approaches to the normative challenges of dual-earner couples: Negotiating outdated societal ideologies. Journal of Feminist Family Therapy, 13(2-3), 91-120.   DOI
65 Allen, T. D. (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3), 414-435.   DOI
66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DOI
67 Greenhaus, J. H., & Powell, G. N. (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1), 72-92.   DOI
68 Grover, S., & Crooker, K.(1995). Who appreciates family-responsive human resource policies: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on the organizational attachment of parent and nonparents. Personnel Psychology, 48, 271-288.   DOI
69 Grzywacz, J. G., & Bass, B. L. (2003).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1): 248-261.   DOI
70 Hochschild, A. 1999. The Second Shift, BY; Avon Books.
71 McNall, L. A., Nicklin, J. M., & Masuda, A. D. (2010).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family enrich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5(3): 381-396.   DOI
72 Medley, M. L.(1976).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A causal model. Journal of Gerontology, 31(4), 448-455.   DOI
73 Park, J., & Liao, T. F.(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 change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91.   DOI
74 Spitze, G.(1988). Women's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5-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