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Empowerment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3초

정보보안 심리적 권한이 업무 스트레스를 통해 정책 저항 완화에 미치는 영향: 공정성 분위기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n the IS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Mitigation of IS Policy Resistance Through IS Role Str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 of IS Justice Climate)

  • 황인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12
    • /
    • 2022
  • 내부자의 정보 노출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조직 내부의 정보보안 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정보보안 정책 및 규칙이 조직원에게 적용될 때 정보보안 스트레스와 저항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부자의 정보보안 정책의 부정적 행동 원인과 완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개인(심리적 권한) 및 조직(공정성 분위기) 요인이 어떻게 상호 영향을 주어 부정적 행동을 완화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정보보안 정책을 내부자에게 반영하는 조직의 근로자에게 설문하여 표본을 확보했으며, 구조방정식모델링으로 가설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보안 관련 심리적 권한이 정책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업무 스트레스가 부분 매개 효과를 가졌으며, 공정성 분위기가 심리적 권한의 영향을 강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내부자의 정보보안 정책 저항 감소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므로, 조직 내부의 보안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다.

중소기업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 및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Small Musiness)

  • 홍완기;안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145-155
    • /
    • 2016
  • 중소기업의 경우 자본부족과 전문인력 부족의 문제로 획기적인 혁신을 추진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문인력에 의존하는 급진적 혁신이나 획기적 혁신보다는 담당업무의 개선이나 비용절감을 추구하는 점진적 혁신행동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혁신행동은 종업원의 업무에 대해 적극적 관심과 개선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없으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종업원들의 임파워먼트는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또한 혁신행동과 같은 적극적 행동은 조직이나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있을 때 더욱 적극적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강원 영서지역에 입지한 중소제조업체 종사자 315명으로부터 회수한 설문을 이용하였다. 임파워먼트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 및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인 의미감, 자율성, 자기효능감, 영향력은 모두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의미감, 자율성, 자기효능감, 영향력)와 혁신행동(아이디어개발, 아이디어실행)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의미감이 아이디어개발과 실행 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영향력과 아이디어실행의 긍정적 관계도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종업원들의 아이디어개발이나 실행과 같은 혁신행동을 제고함에는 의미감, 자율성, 자기효능감, 영향력과 같은 임파워먼트를 인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며, 특히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을 통하여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고, 직무에 정체성, 중요성, 자율성, 다양성 등을 부여하는 직무재설계를 통한 영향력이나 과업의미감 제고가 바람직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mpowerment and Academic Resili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 정미라;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45-35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학업탄력성, 긍정심리자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Y시와 S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9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먼트(r=.610, p<.001), 학업탄력성(r=669, p<.001)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탄력성이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58.7이었다(F=19.4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학업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리더의 리더십 역량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Performance)

  • 김미좌;박계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75-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의 경영 관리직 구성원 331명이 지각한 리더의 리더십 역량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리더십 역량이 심리적인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리더십 역량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네 가지 하위분야인 영향력, 효능감, 자율결정권, 과업의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리더십 역량이 높게 인식될수록 직무성과의 하위개념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네 가지 하위분야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는 영향력, 효능감, 자율결정권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이 없었으며 과업의미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력이 있었다. 리더십 역량과 직무 만족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직무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또한 리더십 역량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자율결정권을 제외하고는 조직몰입에 대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Service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rivate Security Guards)

  • 김의영;이종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28호
    • /
    • pp.7-31
    • /
    • 2011
  • 이 연구는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1년 천안, 아산시 소재 민간경비회사에 재직 중인 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연구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271명이다. 이 연구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의미성과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서비스인적자원관리, 서비스리더십, 서비스접점관리의 수준이 높아진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영향력과 의미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 직무만족, 성과의 수준이 높아진다. 셋째, 서비스지향성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서비스인적자원관리, 서비스리더십, 서비스접점관리가 증가할수록 조직몰입, 직무만족, 성과의 수준이 높아진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서비스지향성 및 조직성과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큐리티 기업의 관리자들은 종업원들의 특수한 근무환경을 이해하고 획일적이고 형식적인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종업원들이 근무환경의 변화에 따라 직무수행능력과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권함과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서비스 마인드가 향상되어 조직의 성과도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참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이슈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Job Commitment of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ssue Leadership)

  • 박봉제;신제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33-551
    • /
    • 2021
  •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이슈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국내 다양한 업종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PROCESS macro(Hayes, 2013)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설문을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측정시기를 분리하여 동일방법편의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적 리더십과 직무몰입 간 직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구성원의 직무몰입이 향상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참여적 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에서 이슈리더십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가 이슈리더십에 의해 강화된다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 간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on Individual Creativity: Moderating Role of Innovation Climate and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권상집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77-87
    • /
    • 2022
  • 기존 연구에서는 꾸준히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을 향상하는데 있어 리더십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수많은 연구가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언급하고 있지만 벤처창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업가적 리더십에 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이를 감안, 본 연구는 조직 내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및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토대로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 중소·벤처기업에 근무하는 161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의 효과는 조직의 혁신 분위기가 높을 때 더욱 강하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 내 혁신 분위기는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적인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리더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벤처창업, 리더십, 창의성 연구 영역에 중요한 학문적인 시사점을 제안했으며 후속 연구는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창의성을 강화할 수 있는 혁신과 관련된 맥락을 조절 및 매개변수의 관점에서 분석해야 할 것이다. 특히, 후속 연구는 산업 및 기업의 유형을 더 다양하게 포괄하는 연구를 진행,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필요한 교훈을 제시해야 한다.

융·복합 시대의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간 조직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convergence age -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강은구;이선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99-110
    • /
    • 2017
  • 융 복합 시대에 조직 구성원의 역할외 행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조직지원인식이라는 조직구성원의 인식에서 시작하여, 직무와 관련된 심리적 태도를 형성시킬 때, 조직 구성원은 조직시민행동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 조직지원인식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개인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설명해 주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지법을 활용한 실증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지원인식은 조직 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몰입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지원 인식과 조직 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시민행동이 발현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밝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역할외 행동을 유발시킬수 있는 다양한 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Impact of the Intermediate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한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02-314
    • /
    • 2011
  •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생존 유지를 위해서 리더의 새로운 역할이 강조되는 가운데, 최근에 주목 받는 리더십인 서번트 리더십을 전략적으로 잘 활용함으로써 조직성과를 극대화 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은행, 보험업, 증권, 컨설팅 등 서비스업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유효설문지 435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LISREL 8.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의 행동특성 중 공감과 도덕성을 제외한 성장, 비젼, 공동체형성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아지게 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종업원들에게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강화시켜 줄수록 조직 시민행동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의 행동특성 중 공감과 도덕성을 제외한 성장, 비젼, 공동체형성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임파워먼트를 통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부하들을 임파워시키고 이것이 자발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패션업체 판매원의 서비스교육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고객지향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 education and empowerment for sales person of fashion companies on customer orientati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 최정은;이경미;황선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1호
    • /
    • pp.28-41
    • /
    • 2014
  • The study focuses on verifying the effects of service education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290 salespeople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participated by completing a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with SPSS 16.0 and AMOS 7.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goodness of fi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rvice education of salespersons in fashion companies was shown to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compensation, whereas empowerment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rvice training and empowerment as experienced by salespersons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psychological satisfaction as part of the overall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directly to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where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compensation did not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Customer-orientation as influenced by service education and empowerment was revealed to have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rvice education of salesperson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nd their level of empowerment creat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se individuals.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those who create salesperson empowerment programs and salesperson management strategies for fashion companies. Such programs and management strategies can facilitate efficient job performance by salespersons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nd increase their level of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