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Empowerment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19초

리더십,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dership,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Job Performance)

  • 김재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65-272
    • /
    • 2018
  • 급변하는 시장환경하에서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조직구성원들은 자신이 적절하게 보상을 받고 존중을 받고 있으면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리더십이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십은 조직공정성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공정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항만 종사자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이중 매개효과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 of Employees in Shipping and Port Companies on Customer Orientati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 조석중;전정호;이의연;이종민
    • 무역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5-92
    • /
    • 201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mpact of LMX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To conduct this study, we used 333 questionnaires collected by members of domestic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MX has no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customer orient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play a mediating rol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customer orient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Engagement play a dual mediating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once again confirmed behavior patterns such as cognition, emotion, attitude, and behavior of members 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plaining that these behavior patterns by way of social exchange theory.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is study confirmed that members in the management field need to utilize a customer orien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rganization's goal efficiently and effectively.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 최경숙;염영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5-32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279 nurses from 3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great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ree transformational leadership(charisma,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spiration) has 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empowerment did not inte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nurse managers should exerci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owering behaviors for nurses to be committed in organization.

  • PDF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Executives' Servant Leadership Level Perceived by Social Worke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 이주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307-328
    • /
    • 2010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사회복지사 인식한 사회복지조직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근무하는 375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正)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시민행동에 정(正)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에 조직시민행동 개념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조직 행정가가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 할 필요성이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 PDF

공유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박은미;서정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77-184
    • /
    • 2019
  • 현대 기업경영의 환경은 수평적 조직 구조화와 팀제도의 확산 등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개인적 차원의 리더십을 넘어 구성원 모두가 함께 지향할 수 있는 집단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도구인 PLS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공유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마지막으로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조직공정성 그리고 조직몰입과의 중요한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공유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간의 중요성과 영향 요인들이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탐색적 활동과 활용적 활동을 통한 개인 창의성 발현과정에 대한 연구: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Revealing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Emphasi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 최도영;이건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55-16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발현과정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 지식역량과 창의성 발현과정인 활용적 활동과 탐색적 활동과의 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측면에서 창의성 발현과정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업무에 창의성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역량은 이론적 가설과 동일하게 창의성 발현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역할인데,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높을 경우 탐색적 활동 중심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낮을 경우 활용적 활동 중심으로 창의성 발현과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성 발현과정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에 따라 구성원의 행동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융합능력이 점점 중요해지는 기업환경에서 창의성 관리나 조직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Roles of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Workers' Creativity in e-business

  • 함상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3-122
    • /
    • 2018
  • In today'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companies need to have proper strategies in place to meet the challenges that constant change presents. Being flexible, responding and adapting to changes can be valuable. However, they are essentially passive ways of dealing with situations. Creating new values and innovation are more active and effective strategies fora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As such, most companies in e-business should focus on developing creativity across the board. Employees' creativity has become a critical factor in e-business. This paper explains how to increase workers' creativity through authentic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it is not machines or computers, but people, that are ultimately still responsible for creating novel outcomes, this study emphasizes the overriding importance of members' ability and leader's roles, which greatly influence followers' levels of motivation. Authentic leadership encourages members to reach and display their potential, and enhances their intrinsic motivation. Moreover, memb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preconditions for creativity. Hence, these two dimensions- leadership and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will increase workers' creativity, which works to increase performance and create more opportunities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at the team or organization leve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crea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reativity in the e-business environment.

취업정신장애인의 작업환경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the Employed People with Mental Illness on Job Satisfaction)

  • 최희철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267-29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정신장애인의 작업환경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이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쟁고용 사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취업정신장애인 3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상사의 지원, 참여적 풍토, 보상체계의 순으로 취업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처음으로 정신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심리적 작업환경을 다루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 개념이 일반인근로자 뿐 아니라 정신장애인에게도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임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의 문항 적합도 (Item Goodness-of-Fi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Scale in Private Security Guards)

  • 김의영;김세형;이준우
    • 시큐리티연구
    • /
    • 제31호
    • /
    • pp.25-45
    • /
    • 2012
  • 시큐리티 요원이 인지하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큐리티 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큐리티 요원이 가지는 권한의 정도를 선행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에 대한 적합성이 현재까지 시큐리티 요원을 대상으로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보의 타당성이 불분명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큐리티 요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를 문항의 적합성, 문항의 신뢰도, 문항의 난이도, 웅답반응 범주의 적절성 관점에서의 문항 적합도를 규명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의 자기결정론 요인에서 문항 11번(내 업무수행 방식에 있어서 나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은 적합하지 않은 문항으로 나타나 향후 시큐리티 요원을 대상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규명할 시에는 문항 11번을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의 문항신뢰도가 높아 다른 시큐리티 요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도 결과의 일관성을 보인다. 셋째, 문항 12번(업무수행하는데 있어 독립적이며 간섭없이 일할 기회가 많다)을 응답하는데 어렵게 느끼는 반면 문항 1번(부서에 대한 나의 영향력은 크다)이 가장 쉽게 인지하고 있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의 문항난이도는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 척도의 5점 반응범주는 시큐리티 요원에게 적합한 것으로 규명되었다.

  • PDF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직무성과: 심리적 권한부여의 매개역할과 상사신뢰의 조절역할 (LMX and Job Performanc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Moderating Role of Supervisory Trust)

  • 나병문;이종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123-130
    • /
    • 2016
  •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심리적 권한부여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권한부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심리적 권한부여의 매개역할, 그리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심리적 권한부여 관계에 있어서 상사신뢰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시중은행에 근무하는 290명의 은행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첫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심리적 권한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권한부여는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권한부여는 LMX와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사신뢰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심리적 권한부여 간의 정(+)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권한부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상사신뢰 둘 다가 높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는 높은 질의 구성원 교환관계와 함께 상사에 대한 구성원들의 신뢰가 강할 때, 그들의 심리적 권한부여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를 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구성원들의 직무성과 향상에 있어서 높은 질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높은 수준의 심리적 권한부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