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참다래 궤양병 발생상황과 시설재배에 의한 방제 (Occurrence of Kiwifruit Bacterial Canker Disease and Control by Cultivation Ope)

  • 고숙주;이용환;차광홍;이승돈;김기청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9-183
    • /
    • 2002
  • 1999년 3월부터 4월까지 전남과 경남지역의 참다래 주산지 172 포장에서 발병상황을 조사하였다. 해남, 완도, 진도, 장흥, 보성 등의 17개 포장에서 적갈색 수피터짐 증상이 조사되었으며, 발병주율은 2.2~100%로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궤양병에 의해 폐원된 면적은 22.8 ha.로 피해가 심한 지역은 완도 13 ha, 진도 3.9 ha, 고흥 3.6 ha등이었다. 1996년부터 1997년까지 2년에 걸쳐 줄기와 잎에서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줄기에서 2월 중순부터 3월 상순에 초발하여 4월 하순까지 발병하였으며, 잎에서 는 4월 하순에 병징을 보이기 시작하여 5월에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6월 하순까지 발병하였다.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의 생장적온은 $25^{\circ}C$, 22, 27, 17순이었고, 5와 3$0^{\circ}C$에서는 생육이 부진하였고, 33$^{\circ}C$이상에서는 생육하지 못하였다. 비가림하우스와 파풍망하우스재배는 궤양병 전염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채소 재배에서 사용하는 농용 항생제에 대한 주요 식물병원세균의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Resistance of Phytopathogenic Bacteria to Agricultural Antibiotics)

  • 김지연;백광현;이선영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68-1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3종의 농용 항생제를 대상으로 Pectobacterium carotovorum,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Clavibacter michiganensis subsp. michiganensis, C. michiganensis subsp. capsici 및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를 포함하는 식물병원세균 91 균주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양한 농도의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에 의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분광학적으로 균주 생장을 확인하였다. 주성분으로 옥시테트라사이클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합제된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기준 농도의 100배에서도 모든 균주가 생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트렙토마이신이 주성분인 농용 항생제의 경우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의 농도에서 91개 균주 중 각각 4%와 2%에서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리다마이신에이의 경우에는 안전사용농도와 그 10배, 100배의 농도에서 각각 97%, 93%, 73%의 균주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P. carotovorum이 발리다마이신에이에 가장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리다마이신에이 단독성분을 통한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농용 항생제 발리다마이신에이에 저항성을 가지는 균주와 가지지 않는 균주 간의 경향성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물병원세균에서 항생제 저항성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참다래 궤양병 발생 특성 및 수간주입에 의한 방제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Occurring in Korea and Its Control by Trunk Injection)

  • 고영진;박숙영;이동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24-330
    • /
    • 1996
  • 암수 딴그루인 참다래 품종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결실수(암나무)인 Hayward와 수분수(숫나무)인 Matua에서 궤양병의 발생 차이를 조사한 결과 Hayward의 이병엽율은 18.0%인 반면에 Matua의 이병엽율은 2.4%였다. 또한 Hayward와 Matua의 잎에 형성된 병반에서 분리된 궤양병균의 균총수는 생체중 1 g당 각각 1.8$\times$10\ulcorner개와 2.1$\times$10\ulcorner개로 Hayward에서 Matua보다 약 10배 가량 많은 궤양병균이 검출되었다. Hayward 신초에 존재하는 궤양병균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줄기 조직보다는 잎 조직에서 많은 궤양병균이 검출되었으며 새로 나온 잎일수록 궤양병균의 밀도는 낮게 검출되었다. 궤양병 방제를 위하여 스트렙토마이신 수간주입에 의한 궤양병 치료효과는 50.7~53.7%였다. 수간주입시 약량을 주당 2 L에서 3 L와 4 L로 증가시킴에 따라 치료효과도 32.3%에서 58.1%와 71.0%로 각각 증대되었는데, 수간주입 약제와 수간주입 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궤양병 치료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Kiwifruit Pollens

  • Kim, Min-Jung;Jeon, Chang-Wook;Cho, Gyongjun;Kim, Da-Ran;Kwack, Yong-Bum;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43-149
    • /
    • 2018
  • Flowers of kiwifruit are morphologically hermaphroditic and survivable binucleate pollen is produced by the male flow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icrobial diversity in kiwifruit pollens by analyzing amplicon sequences of 16S rRNA. Four pollen samples were collected: 'NZ' was imported from New Zealand, 'CN' from China in year of 2014, respectively. 'KR13' and 'KR14' were collected in 2013' and 2014' in South Korea. Most of the identified bacterial phyla in the four different pollens were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However, the imported and the domestic pollen samples showed different aspect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The domestic pollens had more diverse in diversity than the imported samples. Among top 20 OTUs, Pseudomonas spp. was the most dominant specie. Interestingly, a bacterial pathogen of kiwifruit canker,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was detected in 'NZ' by the specific PCR.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microbial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formation in kiwifruit pollen.

2014년과 2015년 전남 보성에서의 키위 궤양병의 계절별 발생소장 (Seasonal Prevalence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in Boseong in 2014 and 2015)

  • 손경인;김경희;최으뜸;김광형;이영선;정재성;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17-226
    • /
    • 2016
  • 궤양병에 의해 자연감염된 전남 보성군 조성면 헤이워드 과수원에서 2014년과 2015년 궤양병 발생소장을 주기적으로 조사했다. 줄기궤양병은 2014년에 2월 중순부터 2015년에는 3월 초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 줄기에서 세균 유출액이 흘러내리기 시작하여 4월 하순 무렵까지 지속되다가 5월에 접어들면 더 이상 세균유출액을 관찰할 수 없고 줄기 표면에 궤양병 병반만 나타났다. 2014년 줄기궤양병 감염률이 44.7%였지만 2015년에는 69.7%로 급증하였는데, 주간부까지 감염된 나무들은 1년 후 대부분 고사했다. 잎궤양병은 5월 초순부터 잎에 연두색 둥근 달무리 증상이 나타나고 점차 노란 테두리를 가진 갈색 점무늬 병징이 변하면서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습한 조건에서는 노란 테두리가 없는 갈색 점무늬들이 관찰되었다. 2014년에는 7월 중순까지 2015년에는 7월 하순까지만 잎에 새로운 병반들이 형성되었으며 이미 형성된 병반에서도 Psa는 검출되지 않았다. 기온이 다시 내려간 2014년 10월 하순 무렵에 잎에서 다시 새로운 병반이 잎에 드물게 나타났다. 꽃봉오리에는 개화전 5월 중순 무렵에 꽃받침이 괴사되는 꽃봉오리들이 관찰되었다. 키위 궤양병의 모니터링 적기는 줄기와 잎, 꽃봉오리 모두에서 궤양병 병징이 나타나고 Psa가 잘 분리되는 5월로 확인되었다. 전남 보성에서 2년 동안 기상자료에 따른 궤양병의 발생소장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키위 궤양병의 병환을 작성했다.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Strains against Kiwifruit Bacterial Canker Pathogen

  • Kim, Min-Jung;Chae, Dae-Han;Cho, Gyeongjun;Kim, Da-Ran;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473-485
    • /
    • 2019
  • Kiwifruit (Actinidia spp.)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crop and a bacterial canker diseas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 is the most destructive disease in kiwifruit production. Therefore, prevent and control of the disease is a critical issue in kiwifruit industry worldwide. Unfortunately, there is no reliable contro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interest in disease control using microbial agents is growing. However, kiwifruit microbiota and their roles in the disease control is mainly remaining unknown. In this study, we secured bacterial libraries from kiwifruit ecospheres (rhizosphere, endospere, and phyllosphere) and screened reliable biocontrol strains against Psa. As the results, Streptomyces racemochromogenes W1SF4, Streptomyces sp. W3SF9 and S. parvulus KPB2 were selected as anti-Psa agents from the libraries. The strains showed forcible antibacterial activity as well as exceptional colonization ability on rhizosphere or phyllosphere of kiwifruit. Genome analyses of the strains suggested that the strains may produce several anti-Psa secondary metabolites.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develop biocontrol strains against the kiwifruit canker pathogen and the disease management strategies.

참다래 신품종 '골드원', '레드비타', '감록'의 주요 병해충 발생 (Occurrences of Major Diseases and Pests on 'Goldone', 'Redvita', 'Garmrok', New Cultivars of Kiwifruit)

  • 김민정;채대한;권영호;곽용범;곽연식
    • 식물병연구
    • /
    • 제24권2호
    • /
    • pp.123-131
    • /
    • 2018
  • 전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참다래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신품종 육성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새롭게 육성된 품종은 과실 특성뿐만 아니라 병해충 발생 양상에 대한 자료가 전무하기 때문에 연속된 조사를 통해 기존 재배 품종인 '헤이워드'와 비교한 기초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참다래의 주요 병해충으로 알려진 점무늬병과 궤양병 그리고 노린재류에 대한 발생 조사를 3년간 실시하였다. 지역과 재배 환경에 따르면 기온이 높을수록 점무늬병이, 강수량이 많을수록 궤양병의 발생빈도가 높았고, 노지 재배보다는 비가림 재배에서 병 발생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신품종 간에 '감록'은 노지 재배 환경에서 다른 품종들에 비해 병에 매우 감수성인 것으로 보였으나, 비가림 재배 환경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노린재류 발생 조사에서는 페로몬 트랩을 포장 내부에 설치했을 때 과실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여 농가 외부에 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참다래 잎에서의 궤양병 감염 위험도 모형 (A Forecast Model for Estimating the Infection Risk of Bacterial Canker on Kiwifruit Leaves in Korea)

  • 도기석;정봉남;좌재호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68-177
    • /
    • 2016
  • 한국에서 발생하는 참다래 잎에서의 궤양병의 감염위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Magarey 등(2005)의 일반 감염 모형식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모형과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KVH PSA-V 모형을 2015년 서귀포시 남원읍의 녹색참다래 헤이워드 품종 재배 과원과 표선면과 성산읍 신산리의 황색 참다래 Hort16A 품종 재배 과원들에서 수집된 기상 조사 자료와 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할표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자체 개발한 모형과 뉴질랜드에서 개발한 KVH PSA-V 모형, 감염 판단기준을 31로 조정한 KVH PSA-V 모형들은 실제 병이 일어났을 경우에 감염이 일어났다고 경고하는 비율인 probability of detection값이 모두 80% 이상으로 한국의 참다래 궤양병 방제 의사 결정지원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하였다. 모형이 일어나는 현상을 정확히 예측하는 지표인 proportion of correct는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감염 위험 예측 모형이 가장 높은 51.1%를 나타내고 실제병이 일어났을 경우에 감염이 일어났다고 경고하는 비율인 probability of detection과 모형의 경고에 따라 방제를 결정하였을 때에 효율성 지표인 critical success index도 각각 가장 높은 수치인 90.9%와 47.6%를 나타내어 한국에서 발생하는 참다래 궤양에 대해서는 KVH PSA-V 모형보다 더 우수한 모형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새로 개발된 모형은 한국의 참다래 재배자들의 궤양병 방제를 위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어 궤양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