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persica Batsch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2초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고지혈증 흰쥐의 생체 내 지질성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8-336
    • /
    • 2004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 활성 추출 물질이 생체내 지질 대사 이상 및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실험동물을 통한 혈청 지질개선 작용과 간 기능 효소의 활성 변동등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 기본 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과 돼지 기름, 콜레스테롤 등으로 유발된 고지혈증 군, 고지혈증을 유발한 군에 돌복숭아 5.0 g% 추출액을 각각 급여하여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 동맥 경화 지수, 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중성지방, 인지질 농도 및 혈당 농도 등에서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성 있는 농도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ST, ALT, LDH 및 ALP활성도 고지혈증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의 추출액이 지질 대사이상 등에서 모는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7-345
    • /
    • 2004
  • Streptozotocin(STZ 55mg/kg.,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있어서, 돌복숭아(Prunu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 추출액(5.0 g% extract)의 급여에 의한 혈당, 혈청지질 개선 효과 및 간 기능 효소의 활성 변화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 만을 급여한 대조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으로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비, 중성지방, 인지질 농도 등도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 -콜레스테롤 비 등은 추출액 급여로 인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혈청 AST, 혈청 ALT, LDH 및 ALP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저하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 활성 물질이 혈당 조절 기능 이상, 혈청 지질 대사 이상 및 간 기능 장애 등에서 오는 성인병 예방 차원 및 개선 작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facial cosmetic containing Prunus persica L. Batsch leaves extract on men's skin condition

  • Kwon, Hye-Jin;Jang, Hye-Rroon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703-711
    • /
    • 2017
  • Today, men's appearan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global fashion industry, including Korea, with such fashion concepts as the Metrosexual and Ubersexual. Domestic and overseas beauty and cosmetics related organizations are using this phenomenon for marketing and researching to improve the function of cosm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L. Batsch leaf extract on the skin condition after clinical application to male subjects with oily skin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cosmetics utilizing this extract. The cleansing bars were prepared by the MP method and the cleansing packs were prepared using natural ingredients. After 8 weeks of application, moisture, oil, erythema, melanin, pH, elasticity and tactile sensation were measured using MPA5.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zone moisture and T-zone oil after using the natural cleansing ba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other items. Howev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skin condition change items of the subjects in each group, and it was judged that the two kinds of formulations could be used at the same time to have a higher skin improvement effect. Thus, Prunus persica L. Batsch leaf extract demonstrates potential to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s item.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CAT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Free Fatty Acid, Creatine Phosphokinase and LCAT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1
    • /
    • 2005
  •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Sprague Dawley계 숫 흰쥐를 사용하여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물질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혈청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ecithin cholesterol acyltrasferase(LCAT) 활성 등 생체 내 지질 대사 이상 및 혈청 지질 개선 효과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과 돼지기름, 콜레스테롤 등에 의한 고콜레스테롤 유발 식이에 물 급여군(BCW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에 돌복숭아 $5.0 g\%$ 추출액을 급여한 군(BCP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 전해질 농도(Na, K, Cl)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해질 농도의 저하효과는 유의성 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중 유리지방산, 과산화지질 농도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 등은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와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LCAT 활성은 고콜레스테롤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성 흰쥐의 과산화지질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열수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Bat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2-278
    • /
    • 2005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5.0g\%$ extract)이 streptozotocin (STZ, 55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지질 및 당질대사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 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 흰쥐에 물 급여군(BSW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BSP군)을5주간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의 전해질 농도(Na, K, Cl)는 당뇨 유발군(BSW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BSP군)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나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청 유리지방산 및 과산화지질 농도, creatine phosphokinase활성 등에서 돌복숭아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인 농도와 활성 감소를 나타내었고, 혈청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하여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당질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tioxidant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imowicz

  • Cha, Bae-Cheon;Lee, Eun-Hee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0.3-200.3
    • /
    • 2003
  • Reactive oxygen species(ROS) are produced at a high rate continuously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 and various diseases. High level of hyaluronic acid with decreased molecular weight has been detected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rheumatoid arthritis. Hyaluronidase is an endohexosaminidase that initiates the degradation of hyaluronic acid with high molecular weight.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imowicz has been known as a korean folk medicine for treatment of neuritis and rheumatism. (omitted)

  • PDF

올리고당을 활용한 당절임 야생 복숭아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ligosaccharid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gar)

  • 정경미;최미애;박선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63-172
    • /
    • 201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preserved in suga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four groups: PS-A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100:0, w/w), PS-B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60:40, w/w), PS-C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40:60, w/w) and PS-D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mixed with sucrose and oligosaccharides at a ratio of 0:100, w/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 levels and soluble solid contents of PS-D sampl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however total acidity value were higher. In case of Hunter's value, the 'L', 'a' and 'b' values of all samples were affected by addition of oligosaccharides. No great difference occurred among samples in reducing sugar contents. Organ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lower addition of sucrose. The predominating organic acid components analyzed in all samples were lactic acid 156.15 g/100 g, tartaric acid 72.75 g/100 g and citric acid 32.90 g/100 g.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flavonoid, an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10.79{\pm}0.55mg\;GAE/mL$, $8.71{\pm}0.06mg\;CE/mL$ and 71.8%, 71.0% for PS-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use of oligosaccharides could increas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s of P. persica preserved in sugar.

야생 복숭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 차배천;이은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9-294
    • /
    • 2004
  •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생식물의 하나인 야생복숭아 가지에 대하여 그들의 MeOH 엑스를 필두로 한 분획물 엑스를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DPPH 법을 사용하여 야생복숭아 가지의 분획물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n-BuOH 엑스와 EtOAc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야생복숭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Ferric-Thiocyanate 법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시험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EtOAc 엑스가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Rancimat법에 의한 지질 산패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또한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tocopherol보다 우수하고 BHA보다는 약간 우수한 강력한 지질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다.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 시험에서는 항산화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인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ketoprofen보다는 약하나 ibuprofen과 indomethacin보다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야생복숭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의 활성 주성분 분획은 EtOAc 엑스임을 시사하였다.

복숭아씨로부터 분리된 안식향산에 의한 사과주스의 효소적갈변억제 (Inhibition of 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s by Benzoic Acid Isolated From Peach (Prunus persica Batsch) Seeds)

  • 이준영;홍순갑;최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07
    • /
    • 2000
  • Previously , the methanolic extract of peach sees was found to have a stro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an in vitro assay. Several phenolic compund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by solvent fractionation ,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 and one of them showing strong tyrosinase inhibition was identified as benzoic acid by UV, IR, $^1$H/$^1$$^3$C-NMR, and EI-MS spectrsopy. Benzoic acid (IC50= 250$\mu\textrm{g}$/ml) and L-ascorbic acid (IC50=28$\mu\textrm{g}$/ml),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s. In particular , benzoic acid inhibited markedly the enzymatic browing (melanosis) of apple juices at low concentration of 0.01% and 0.05, comparable to that of L-ascorbic acid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nzoic acid, one of an effective food preservatives, may be potentially useful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sulfites for the control of melanosis in fruit ju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