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mume extract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4초

유자 및 매실추출물 첨가가 천연건조 한우 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 extracted from Citrus junos seib. or Prunus mume. on the quality traits of sun-dried Hanwoo beef jerky)

  • 임동균;김종주;서강석;남기창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2호
    • /
    • pp.243-25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n-dried Hanwoo beef jerky added with the extract of Citrus junos seib. or Prunus mume. Hanwoo beef shank muscles were sliced, marinated, and sun-dried at $25^{\circ}C$, relative humidity of 35%.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Hanwoo beef jerky aerobically packaged were analyzed during the storage of $25^{\circ}C$. The moisture content of beef jerky with Citrus junos seib. was the lowest among the treatments after 20 d. Citrus junos seib. and Prunus mume jerky after 10 d had significantly lower aw than those after 0 and 20 d (p<0.05). The pH values of jerky generally ranged from 5.76 to 5.84. The pH value of Prunus mume jerk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jerky samples (p<0.05). Prunus mume jerky showed significantly lower TBARS value than the others after 20 d (p<0.05). Citrus junos seib. jerky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than the others during the storage (p<0.05). Prunus mume samples after 10 d had significantly higher $L^*$, $a^*$, and $b^*$ values than the others (p<0.05). With regard to sensory properties, Citrus junos seib. and Prunus mume jerk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than the control (p<0.05). The extracts of Prunus mume will be used in sun-dried Hanwoo beef jerky as a natural agent to retard lipid oxidation and to improve meat color.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2-451
    • /
    • 1999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ㅣ$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템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c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 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켰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生育을 하였으며 S. typhimurium는 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0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매실의 항미생물 활성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unus Mume)

  • 임재웅;이규봉
    • 한국조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리학회 2001년도 하계정기학술세미나
    • /
    • pp.29-41
    • /
    • 2001
  • 본 연구는 매실을 천연 항균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매실을 물과 methanol로 추출 한 extracts를 paper disc법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한 후 MeOH extract를 용매별로 분획한 각각의 fractions으로 paper disc법과 그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높은 fractions을 비탁법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액체 배지 상에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변패균인 M. leteus는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에 의해서 저해 되었고 또한 $H_2O$ 획분과 CHCl$_3$ 획분도 저해활성을 보였다. 한편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uOH 획분 100ppm 첨가 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했다. 매실의 EtOAc 획분과 BuOH 획분은 B. cereus, B. subtilis와 S. epidrimidis에 대해서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다. 저해농도 시험에서는 B. cereus는 BuOH 획분 100ppm, B. subtilis는 EtOAc 획분 100ppm, S. epidrimidis는 EtOAc 획분 100ppm에서생육을 하지 못했다. G(-)세균은 매실성분에 의해서 저해를 받지만 G(+)세균에 비하여 저항성이 컸다. E. coli는 EtOAc 획분 500ppm에서 미약한 생육을 하엿으며 S. typhimurium는EtOAC 획분, BuOH 획분 모두 1,000ppm에서 생육을 전혀 하지 못했으며 P. vulgaris는 BuOH 획분 100ppm, V. parahaemolyticus는 BuOH 획분, EtOAc 획분 100ppm에서 전혀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효모중 S. cerevisiae IF1950은 EtOAc 획분 500ppm에서 50%의 저해를 받았으며 S. cerevisiae ATCC4105는 1,000pm의 EtOAc fr. 에서 50%의 저해를 하였다. 항곰팡이 실험에서는 A. niger에서만이 아주 미약한 저해를 보였다.

  • PDF

혹명나방에 대한 매실나무 추출물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ies of Prunus mume Extract Against Rice Leaf 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Guenee))

  • 박은미;김연국;황정택;문종민;황태환;이종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400
    • /
    • 2010
  • 흑명나방 3령 유충에 대한 매실나무 부위별(줄기+꽃, 열매) 메탄올 추출물의 살충활성과 용화율 및 용무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매실나무 열매에 대한 살충률은 4,000 ppm에서 34%, 8,000 ppm에서 36%, 16,000 ppm에서 40%, 32,000 ppm에서 58% 값을 보였고, 줄기+꽃에 대한 살충률은 4,000 ppm에서 38%, 8,000 ppm에서 45%, 16,000 ppm에서 58%, 32,000 ppm에서 75%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매실나무 열매와 줄기+꽃 추출물을 혹명나방에 처리하였을 때 용화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낮아졌다. 용무게는 대조구과 처리구에서 별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용화율과 용무게에 대한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매실나무 열매 추출물보다 줄기+꽃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또한 혹명나방의 섭식저해율은 두 가지 추출물에서 60%이상의 살충률을 보이며 섭식저해와 더불어 섭식독으로써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오매 추출물들의 항산화 및 세포 활성 (Antioxidant and Cell Activity Using Extracts of Mume Fructus)

  • 배유경;최태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8-394
    • /
    • 2011
  • Mume fructus is the roasted fruits of Prunus mume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his study, mume fructus extracts were prepar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including hot water extract (sample1), fermentation extract using Lactobacillus (Sample2-LP and sample-LA) and ethanol extract (sample3).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water extract. Sample 3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DPPH radical scavenging. The cytotoxicity of the sample 2-LP was in the range of 83.3% cell viability at $300{\mu}g/m{\ell}$ concentration. Mume fructus extract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hibited melanogenesis and NO synthesis was inhibited.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lantarum (sample2-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than other extracts. It suggests that sample 2-LP could be potentially used as a resource of materials for functional cosmetics.

한국산 Prunus 속 종자의 항균성과 청산배당체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Seeds of Prunus Species)

  • 이인란;김경숙
    • 생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0-126
    • /
    • 1988
  • HPLC analysis of three Prunus species, Armeniacae Semen. Persicae Semen, and Mume Semen, showed that 24. 06 mg/g, 5. 79 mg/g and 3/ 10 mg/g of amygdalin in the MeOH extract and 3. 59 mg/g, 5. 41 mg/g and 13. 48 mg/g of benzaldehyde in the MeOH extract hydrolyzed with ${\beta}-glucosidase$ were contained respectively. The MeOH extract of Mume Semen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wo species of bacteria (E. coli and B. subtilis) while that of Armeniacae Semen showed mild, and that of Persicae Semen showed no effect. Against A. niger,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was observed with Armeniacae Semen and only mild activities with Persicae Semen and Mume Semen. None oh the three inhibited the growth of S. cervisiae. The above results may possibly be suggestive of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s of amygdalin and benzaldehyde in the test extracts with the antimicrobial potencies.

  • PDF

수종 한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 박춘근;방경환;이승은;차문석;성정숙;박희운;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8
    • /
    • 2001
  • 수종의 한약계를 70%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으로 생균수의 측정, 생육저해환의 측정, 최소저해농도와 최소사멸농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크기는 Rubus coreanus > Sanguisorba officinalis > Eriobotrya japonica > Prunus mume > Crataegus pinnatifida로 나타났다. 생육저해환은 복분자가 16.5 mm, 지유 14.3 mm, 오매 14.0 mm, 산사 12.7 mm로 측정되었다. MIC는 지유가 5mg / ml로 가장 낮았으며, MBC는 복분자가 10mg / ml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중 복분자, 비파엽, 산사, 오매, 지유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보존료를 개발하여 식품에 적용한다면 그 기대효과가 상당히 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매실과 오미자 추출물의 항균성과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 김영숙;박영선;임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93-897
    • /
    • 2003
  •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8가지 sample에 대하여 항균성의 효능이 있는 것을 탐색하여 의약연구의 기초자료 및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기능성 식품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항균활성 실험에서 6mm paper disc에 대한 공시 균주에 대한 오미자와 매실은 모든 사용한 균주에 대해 6-10 mm였으며, 대추와 구기자는 1mm 정도였고 솔잎 등은 거의 보이지 않거나 0.5 mm 정도 clear zone이 생성되었다. 1차screening test에서 항균력을 보인 B. subtilis, E. coli KCCM 11591, P. aeruginosa KCTC 1750, C. albicans 균주의 성장억제도는 사용균주 농도를 희석하여 S. chinenis H-20에 대한 농도의 의존성을 10cm petri dish에서 control과 비교할 때 $50\;{\mu}L$는 5배 정도 저해하였으며, $75\;{\mu}L$에는 완전 저해효능이 있었다. 배양초기와 배양5시간에 S. chinenis H-20를 $75\;{\mu}L$ 첨가한 것에 대한 항균력은 변화가 없었다. 즉 S. chinenis H-20은 유전정보전달을 저해하는 항생물질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S. chinenis H-20을 배양 5시간에 첨가하여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B. subtilis, S. aureus, E. coli를 완전히 저해하였다. 매실과 오미자를 첨가한 고추장의 관능평가를 볼 때 전체평가에서 찹쌀고추장이 3.39로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매실고추상은 4.29로 약간 '좋다'로 오미자고추장은 2.43으로 '약간 나쁘다'로 나타났다. 찹쌀고추장을 대조군으로 할 때 매실 고추장의 견고성은 4.45배, 오미자고추장은 1.78배 높았다.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 배지현;김기진;김성미;이원재;이선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13-71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매실 추출물을 0.5%, 5%, 10%, 15% 및 20% 함유한 매실음료를 제조하여 이들의 위암, 대장암, 간암 및 자궁암 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항암효과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세포독성 test 및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또한 12주간의 매실음료 섭취가 운동선수들의 체내 수분대사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 20%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매실음료의 경우 위암 세포주인 SNU-16에 대해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0\;{\mu}g/mL$ 농도에서는 유의적인 세포수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매실음료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6일간 배양시켰을 때 SNU-16 세포주의 형태학적 변화를 볼 수 있었고 fibroblast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매실음료를 섭취한 운동선수들의 경우 혈중 Na, K 및 Cl농도는 안정시에 비해서 운동 중 회복기에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으며 12 주간의 음료섭취 후 두 그룹 모두 거의 동일한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장염비브리오 항균활성을 위한 탱자와 매실의 추출조건 최적화 (Extraction Process Optimization of Poncirus trifoliata and Prunus mume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 이영근;최영환;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0-646
    • /
    • 2006
  • 비브리오식중독의 피해를 저감시키는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에서 V. parahaemolyticus균에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진 탱자와 매실의 최적 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열수로 추출한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 조건은 $80{\sim}100^{\circ}C$에서 30분간, 매실의 경우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 추출한 시험액의 저지환이 각각 14.8 및 16.6 mm로써, 최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NaOH, $K_2CO_3$$NaHCO_3$의 알칼리 식품첨가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실험에서, NaOH를 첨가한 경우 탱자의 항균활성은 증진되지 않았으나 매실의 항균활성은 다소 증진되었으며, NaOH 이외 알칼리들은 공시 식물체들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NaOH의 첨가농도를 단계적으로 달리하고 80, 100 및 $120^{\circ}C$에서 추출한 결과, 탱자의 경우 앞서의 열수추출 결과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하고 $120^{\circ}C$ 에서 추출한 조건에서 저지환 직경 19.9 mm의 최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탱자와 매실을 주정으로 진탕추출하고 주정을 제거하여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에 NaOH를 단계적으로 첨가하고 $100^{\circ}C$에서 30분간 물로 재추출한 결과, 주정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전반적으로 물추출한 결과보다 낮고 NaOH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의 감소를 나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탱자의 최적추출조건은 $80{\sim}100^{\circ}C$의 열수로 30분간, 매실은 NaOH를 0.05N 농도로 첨가한 $120^{\circ}C$의 열수로 30분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