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7초

$^{31}$P NMR을 이용한 카올리나이트에 흡착된 인산염의 연구 (A Study of Phosphate Adsorption on Kaolinite by $^{31}$P NMP Spectroscopy)

  • 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6-195
    • /
    • 2000
  • To study phosphate adsorption on kaolinite, $^{31}$ P MAS NMR(magic angle spinn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has been used for kaolinite reacted in 0.1 M phosphate solutions at pH’s from 3 to 11. There are at least 3 different forms of phosphate on kaolinite. One is the phosphate physically adsorbed on kaolinite surface (outer-sphere complexes) or species left after vacuum-filtering. The second is the phosphate adsorbed by ligand exchange (inner-sphere complexes), and the third is Al-phosphate precipitates which are pH dependent. Most of the inner-spherer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are mainly on hydroxided Al(aluminol) rather than hydroxided Si(silanol). These are pertin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hosphate adsorption experiments on silica gel and ${\gamma}$-Al$_2$O$_3$ as model compounds, respectively. The two peaks with more negative chemical shifts(more shielded) than the ortho-phosphate peak (positive chemical shift) are assigned to be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The $^{31}$ P chemical shifts of the Al-phosphate precipitates are more negative than those of inner-sphere complexes at a given pH due to the larger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The chemical shifts of both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are more negative than those of inner-sphere complexes at a given pH due to the larger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The chemical shifts of both the inner-sphere complexes and surface precipitates become progressively less shielded with increasing pH. For the inner-sphere complexes, decreasing phosphate protonation combined with peak averaging by rapid proton exchange among phosphate tetrahedra with different numbers of protons is though to be the reason for the peak change. The decreasing shielding with increasing pH for surface precipitates is probably due to the decreasing average number of P-O-Al linkages per tetrahedron combined with decreasing protonation like inner-sphere complexes.

  • PDF

작약 추출물의 혈소판 작용에 관한 연구 (Effect of Extract from Paeoniae radix on Rabbit Platelets)

  • 박영현;손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1-515
    • /
    • 2002
  • 최근 동물성 식품 및 지방 섭취 증가로 인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로 혈소판 활성화가 직접적 원인인 뇌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이 증가되고 성인병 예방과 치료의 대처방안으로 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진경, 항균, 진통, 해열, 이뇨, 지한, 진정 등의 작용을 갖는 작약(Peoniae radix)으로부터 추출, 분리.정제한 분획물에서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분리.동정하였다. 작약에서 methanol, ethyl acetate의 용매추출과 이러한 추출물에서 컬럼 및 HPLC로 분리.정제한 2개 물질의 화학구조를 $^1$H-과 $^{13}$C-NMR 스펙트라 분석한 결과 benzoyloxypaeoniflorin과 paeoniflorin을 확인하였고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은 benzoyl-oxypaeoniflorin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내었다.

소수성의 이미다졸리움 이온성 액체 합성과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조사 (Synthesis of Hydrophobic Imidazolium Ionic Liquids and Studies of Their Physiochemical Properties)

  • 무함마드 살만;이수영;이혜진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77-2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PF6를 음이온으로 하며, 이미다졸리움 계열의 양이온을 변화시키면서 2종의 소수성을 띠는 이온성 액체 전해질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이온성 액체는 1-benzyl-3-but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zBIM]PF6와 1-pentyl-3-but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PBIM]PF6이며 이들 각각의 구조는 푸에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와 핵자기공명 분광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합성한 이온성 액체 전해질의 물리적(점도, 이온전도도, 열적 안정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BzBIM]PF6의 경우 [PBIM]PF6와 다르게 이미다졸리움 양이온에 π-π 분자 간 결합이 강하게 존재하는 벤질링 기능기를 가지고 있어서 열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서 더 우세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Sialyl Oligosaccharides Separated from Colostrum of Indonesia Dairy Goat

  • Taufik, Epi;Arief, Irma Isnafia;Budiman, Cahyo;Wibisono, Yusuf;Noviyanto, Alfi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6-440
    • /
    • 2022
  • The bioactive functions of oligosaccharides from human milk have been reported by many studies. Many of oligosaccharides isolated from colostrum and/or milk of dairy animals have been reported to have similar chemical structures with those in human colostrum and/or milk. It has been proved by several studies that the oligosaccharides with similar chemical structure shared common bioactivities. Among domesticated dairy animals, bovine/cattle, caprine/goat, and ovine/sheep are the most commonly used species to isolate oligosaccharides from their colostrum and/or milk. Several studies on the oligosaccharides from goat colostrum and milk have revealed similar properties to that of human milk and possess the highest content of sialyl oligosaccharides (SOS) as compared to other ruminants. Indonesia ranks first i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for goat milk production. Therefore, goat milk is the second most consumed milk in the country. The most reared dairy goat breed in Indonesia is Etawah Grade. However, oligosaccharides from Indonesia dairy animals including goat, have not been characterized. This is the first study to characterize oligosaccharides from Indonesia dairy animal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solate and characterize oligosaccharides, specifically SOS from the colostrum of Etawah Grade goats by using proton/1H-nuclear magnetic resonance. The SOS successfully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ere: Neu5Ac(α2-3)Gal(β1-4)Glc (3'-N-acetylneuraminyllactose), Neu5Ac(α2-6)Gal(β1-4)Glc (6'-N-acetylneuraminyllactose), Neu5Gc(α2-3)Gal(β1-4)Glc (3'-N-glycolylneuraminyllactose), Neu5Gc(α2-6)Gal(β1-4)Glc (6'-N-glycolylneuraminyllactose), Neu5Ac(α2-6)Gal(β1-4) GlcNAc (6'-N-acetylneuraminyllactosamine) and Neu5Gc(α2-6)Gal(β1-4)GlcNAc (6'-N-glycolylneuraminyllactosamine). This finding shows that Etawah Grade, as a local dairy goat breed in Indonesia, is having significant potential to be natural source of oligosaccharid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수지상 폴리(알릴렌 이써 설폰)에 도입된 지방족 알킬사슬 연결자길이에 따른 음이온교환막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Aliphatic Alkyl Chain Spacer Length Introduced into Branch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 김현진;유동진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09-218
    • /
    • 2022
  • Recentl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ion exchange membranes (AEM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scientific community around the world. Here, we fabricated a series of AEMs with branched structures with different alkyl spacers and conducted comparative evaluations. The introduction of these branched structure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ow ionic conductivity and stability problems that AEMs are currently facing. To this end, branched polymers with different spacer lengths were synthesized and properties of each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the branched structure were compared.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olymer was investigated by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nd the therm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branched anion exchange membrane with (CH2)3 and (CH2)6 spacers exhibited ionic conductivities of 8.9 mS cm-1 and 22 mS cm-1 at 90℃,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length of the spacer affects the ionic conductivity. Therefore, this study showing the effect of the spacer length on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membrane in the polymer structure constitu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judged to be very useful for future application studies of AEM fuel cells.

Effect of Temperature Abuse on Quality and Metabolites of Frozen/Thawed Beef Loins

  • Kwon, Jeong A;Yim, Dong-Gyun;Kim, Hyun-Jun;Ismail, Azfar;Kim, Sung-Su;Lee, Hag Ju;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41-349
    • /
    • 202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erature abuse prior to cold storage on changes in quality and metabolites of frozen/thawed beef loin. The aerobic packaged samples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refrigeration (4℃) (CR); freezing (-18℃ for 6 d) and thawing (20±1℃ for 1 d), followed by refrigeration (4℃) (FT); temperature abuse (20℃ for 6 h) prior to freezing (-18℃ for 6 d) and thawing (20±1℃ for 1 d), followed by refrigeration (4℃) (AFT). FT and AFT resulted in higher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alues than CR (p<0.05), and these values rapidly increased in the final 15 d. Cooking lo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p<0.05). In addition, cooking loss was lower in the FT and AFT groups than in the CR owing to water loss after storage (p<0.05).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vealed that frozen/thawed beef samples were influenced by temperature abuse in the structure of the fiber at 15 d. Metabolomic analysis showed differences among CR, FT, and AFT from partial least square discriminant analysis (PLS-DA) based on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 NMR) profiling. The treatments differed slightly, with higher FT than AFT values in several metabolites (phenylalanine, isoleucine, valine, betaine, and tyrosine). Overall, temperature abuse prior to freezing and during thawing of beef loin resulted in accelerated quality changes.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에 의한 황백으로부터 Berberine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Berberine in Cortex Phellodendri by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 김중배;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2-537
    • /
    • 2014
  • 황백(Cortex Phellodendri: CP)은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의 건조된 수피로부터 얻어진다. 이 수피는 한국의 전통 한약제로서 설사, 황달, 무릎과 발의 통증, 요도관 및 피부 감염증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이들 기능성 성분의 분리 및 정제는 박층 크로마토크래피, 컬럼 액체 크로마토크래피 및 HPLC와 같은 여러 분석법들이 동양의 약초연구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CP로부터 berberine을 분리하기 위해 향류분배 크로마토크래피법(CPC)으로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두 용매의 CPC 최적조성은 n-butanol: acetic acid: water(4:1:5 v/v/v)이었다. 이동상의 유속은 1,000 rpm 회전력에서 상승법으로 분당 3 mL 속도로 전개시켰다. CPC에서 분리된 분획분은 prep-HPLC로 정제하였다. $^1H$-NMR 스펙트럼은 4.10과 4.20 ppm에서 $3H(-OCH_3)$, 6.10 ppm에서 2H의 ($-OCH_2O-$) proton signal의 공명이 관찰되었다. 2개의 방향족 proton은 이중결합 패턴을 보였다. H-11과 H-12 doublet은 각각 7.98과 8.11에서 나타났다. $^{13}C$-NMR 스펙트럼에서는 C2와 C3의 methylenedioxy group($-OCH_2O-$), C9과 C10에 methoxy group($-OCH_3$)이 4개의 치환된 형태로 보였다. 분리 정제된 berberine의 화학구조는 $^1H$, $^{13}C$-NMR, ESI-MS 데이터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Urea와 Paraformaldehyde 반응산물(反應産物)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연구 (Studies on the Reactions of Urea with Paraformaldehyde)

  • 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1-49
    • /
    • 1991
  • Urea와 Paraformaldehyde를 이용(利用)하여 Ureaform을 제조(製造)할 목적(目的)으로 이 두 성분(成分)을 혼합비율(混合比率)과 반응시간별(反應時問別)로 반응(反應)시켜 얻어진 산물(産物)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반응시(反應時) 생성(生成)된 물질(物質)로 예상(像想)되는 Urea, Biuret, Triuret, Methylenediurea(MDU), Dimethylenetriurea(DMTU), Biuretmethyleneurea(BMU) 등(等)에 대해 Proton-NMR Spectrometer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NH_2$기(基)의 양성자가 Urea, MDU, DMTU의 경우 5.6ppm에서, Biuret, Triuret은 6.9ppm에서 확인(確認)되었으여 또한 NH기(基)의 경우에는 Biuret, Triuret가 각각(各各) 8.5, 9.5ppm에서, MDU와 DMTU는 6.5 ~6.6ppm에서 확인(確認)되었다. 이와같이 확인(確認) 동정(同定)된 물질(物質)을 HPLC로 정량분석(定量分析)하여 반응산물간(反應産物間)에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를 본 시험(試驗) 결과(結果)는 MDU와 DMTU는 Paraformaldehyde의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반면에 Biuret량(量)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간과 비장의 체적을 구하기 위한 3차원 영역 확장 기반 자동 영상 분할 알고리즘의 동물팬텀을 이용한 성능검증 (Evaluation of Automatic Image Segmentation for 3D Volume Measurement of Liver and Spleen Based on 3D Region-growing Algorithm using Animal Phantom)

  • 김진성;조준식;신경숙;김진환;전호상;조규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3호
    • /
    • pp.178-185
    • /
    • 2008
  • 간경변 및간암 환자의 증가로 간이식술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특히 공여자의 생체 간이식은 간이식술의 주된 분야를 차지하고 있으며 간이식 수술 전 공여자에서 간체적의 정확한 측정은 수술 후 공여자와 수여자의 간기능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며, 성공적인 수술과 환자의 예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환자의 간체적을 구하는 과정은 환자의 모든 CT 영상위의 간을 수작업을 통해 영상분할한 후에 3차원 간체적을 구하고 있으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으로 간과 비장을 문턱값처리, 형태학적 영상처리, 3차원 영역확장법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체적을 구하는 시간을 단축하였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물의 실제 간과 비장을 팬텀으로 제작하여 실제 측정한 체적과 알고리즘으로 분할된 영상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문턱치값의 설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는 특성이 있지만 자동으로 문턱치를 결정했을 때 비장과 간의 체적측정 오차는 9.27%, -4.52%이었으며, 수동으로 문턱치를 결정했을 때 최소 오차가 각각 0.2%, 0.17%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팬텀 연구를 통해 자동 분할 알고리즘으로 얻은 체적의 결과가 정확성과 재현성을 보여주어 추후 간체적을 구하는 보조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PDF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비율에 따른 젖소 우분의 대사체 탐색 (Research fecal metabolite according to fed different ratios of roughage to concentrate on lactating cow using 1H-NMR analysis)

  • 김현상;이신자;엄준식;이성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32-439
    • /
    • 2020
  • 이 연구는 급여하는 조사료와 농후사료 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우분 내 대사체 비교를 핵자기공명장치로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착유중인 젖소 6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HR 그룹=8:2, HC 그룹=2:8)을 달리 하였다. 우분은 직장을 통해 마리별 1회 채취 하였으며 대사체 분석은 SPE-800 MHz NMR-MS system을 이용하였다. 대사체의 정성 및 정량은 Chenomx NMR suite 8.4을 이용하였으며, 확인된 대사체들을 Metaboanalyst 4.0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 대사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program을 이용하여 Dunnett's test로 그룹 간 대사체 평균값을 비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변량 분석에서는 그룹간의 분리가 확인 되었으며 확인된 대사체 중 통계분석에는 77개의 대사체가 이용되었다. HC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대사체는 succinate를 포함한 dimethylamine, histamine, homovanillate, thymol, acetate, propionate, butyrate, isovalerate, valerate, imidazole, N-Nitrosodimethylamine 그리고 O-Acetylcholine 이다. HC 그룹에서 분석된 대사체들의 평균 농도가 HR 그룹에 비해 높았으며, 분석된 대사경로 또한 HR 그룹에 비해 다양했다. 연구결과, 핵자기공명분광장치를 통해 분석한 우분 내 대사체는 장내 미생물 뿐 만 아니라 체내 대사 그리고 향후 축산 관련 다양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