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col Design and Verifica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6초

기능 검증 및 성능 평가 통합 접근 방법을 통한 통신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SDL-OPNET 코-시뮬레이션 기법 (SDL-OPNET Co-Simulation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o Functional Verif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 양치평;김태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57-164
    • /
    • 2010
  • 우수하고 신뢰성 있는 통신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시스템에 대한 기능 검증과 성능 평가가 모두 필수적인데 반해 이들은 주로 형식 언어 도구를 이용한 기능 모델링과 전문 네트워크 성능 평가 도구에 의한 성능 모델링을 통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한 시스템을 별도로 중복하여 모델링 하는 것은 비용의 증가와 모델 간 불일치를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DL-OPNET 코-시뮬레이션을 통해 SDL로 설계된 통신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는 통합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Tau의 환경함수와 OPNET의 외부시스템 모듈을 이용하는 코-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InRes 프로토콜이 예로 사용되어 제안 기법의 적용가능성과 효용성을 보여준다.

희소 행렬의 특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등화기 설계법이 적용된 WCDMA 무선 신호 분석기 구현 (Implementation of WCDMA Air Protocol Analyzer with An Effective Equalizer Design using Characteristic of Sparse Matrix)

  • 신창의;최승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1-118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implementation of Air protocol analyzer and physical layer design algorithm. The analyzer is a measurement system providing real-time analysis of wireless signals between User Equipment (UE) and Node-B. The implemented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consists of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The waveform of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has been selected for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system. We designed the analyzer using equalizer algorithm and rake-receiver algorithm. Among various algorithms of designing the equalizer, we have chosen Linear Minimum Mean Square Error (LMMSE) equalizer that uses the inverse of channel matrix. Since the LMMSE equalizer uses the inverse channel matrix, it suffers from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al load, while it outperforms most conventional equalizer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efficient procedure of reducing the computational load required by LMMSE equalizer-based receiver.

저전력 비동기식 시스템 설계를 위한 혼합형 dual-rail data encoding 방식 제안 및 검증 (Mixed Dual-rail Data Encoding Method Proposal and Verification for Low Power Asynchronous System Design)

  • 지화준;김상만;박주성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96-10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dual-rail data encoding방식을 적용하여 비동기식시스템을 설계할 때, 신호천이를 줄이고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4-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과 2-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을 혼합한 dual-rail data encoding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dual-rail data encoding 4-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은 space state가 존재함으로 말미암아 신호 천이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많은 전력소비를 발생한다. 이론적으로 dual-rail data encoding 2-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은 dual-rail data encoding 4-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보다 빠르고 신호천이도 적지만 표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설계할 수 없다. 제안하는 혼합형 dual-rail data encoding 방식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Adder블록, Multiplier블록, Latch를 포함한 benchmark회로를 설계를 설계하였다. Benchmark회로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해본 결과, 제안하는 혼합형 dual-rail data encoding방식은 기존의 dual-rail data encoding 4-phase handshaking 프로토콜에 비해 35%이상 전력소비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고속 패킷 접속 규격 플랫폼 기반 연속적인 패킷 연결 프로토콜의 유연한 구조 설계 (The Flexible Design Architecture for a Continuous Packet Connectivity Protocol on High Speed Packet Access Platform)

  • 권현일;김경호;이충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2호
    • /
    • pp.30-3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 7 고속 패킷 접속 에볼루션 규격에 포함된 기능 중 기지국 수용 능력 향상, 지연 시간 단축, 그리고 단말소비 전력 감소를 목적으로 새롭게 추가된 연속적인 패킷 연결 프로토콜의 유연한 설계 구조에 대한 것이다. 상기 프로토콜이 3GPP 고속 패킷 접속 규격 기준으로 새롭게 추가된 기능임에 착안하여, 기존 설계 및 검증된 고속 패킷 접속 플랫폼에서 최소한의 하드웨어 변경 및 추가만으로 상기 프로토콜이 구현되도록 고려하였다. 상기 제안된 연속적인 패킷 연결 프로토콜은 비연속적인 송/수신 모드 관련 신호 생성부와 기존 고속 패킷 접속 플랫폼과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연속적인 패킷 연결 프로토콜은 셀룰러 이동통신 분야에 적합하도록 규정화된 검증 단계에 따라 기존 고속 패킷 접속 FPGA 단말 모뎀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검증되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경로 은닉 (Concealing Communication Path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차영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53-1358
    • /
    • 2014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전역 도청에 대응하여 통신 경로 상의 노드들을 은닉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수많은 속임수용 더미 패킷들이 발행되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싱크(기지국)와 근원지들을 포함하는 일정 크기의 원 형태 내에 존재하는 노드들로 국한되는 플러딩 기반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제안하여 노드들의 위치 기밀을 유지하고 생성되는 더미 패킷들의 수를 감축하고자 한다. 플러딩 크기는 보안 수준과 통신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제안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주요 특성을 검증한다.

상호 호환성 검증을 위한 IoT 기반의 CoAP 프로토콜 구현 및 실험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 of CoAP Protocol Based on IoT for Verification of Interoperability)

  • 김문권;김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12
    • /
    • 2014
  •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은 작은 용량의 메모리와 저전력 등 제한된 환경에서 센서나 구동체 노드 간에 통신을 지원한다. CoAP 프로토콜은 HTTP와 쉽게 상호 변환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 IoT)와 M2M (Machine-to-Machine) 환경에서 저전력 센서와 구동체 네트워크를 통한 기반 시설을 감시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IETF CoRE(Constrained RESTful environments) 워킹그룹(Working Group)에서 2010년에 CoAP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화를 시작하여 최근에 RFC(Request for Comments) 7252로 발표한다 [2].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운영 환경에서 CoAP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상호 호환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CoAP 클라이언트에는 윈도우 기반의 CoAP 프로토콜을 실현하고, CoAP 서버에는 리눅스 기반의 CoAP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상호 연동 실험을 실시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보안 프로토콜의 안전성 분석을 위한 정형적 방법론 (Formal Methodology for Safety Analysis of Security Protocols)

  • 김일곤;전철욱;김현석;최진영;강인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27
    • /
    • 2005
  • 유ㆍ무선 네트워크의 활성화와 더불어 중요 자원 혹은 사용자 정보 보호를 위해 다양한 보안프로토콜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많은 보안 프로토콜들은 개발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보안 취약점들이 하나둘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보안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EKE 프로토콜 분석 예제를 통해, 설계단계에서 보안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정형적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정형적 검증 방법론의 실효성을 보이기 위해, Casper 및 FDR 도구론 이용하여 BCY 프로토콜의 안전성을 분석한 후, 보안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BCY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퍼지서명볼트스킴을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 (An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Fuzzy Signature Vault Scheme)

  • 문현이;김애영;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4호
    • /
    • pp.172-1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경량화된 서명의 특징추출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전자상거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퍼지볼트스킴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서명은 간편하고 저렴한 생체정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인중수단이지만, 전자상거래시 저비용의 안전성을 확보한 프로토콜의 부재라는 취약성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밀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해내는 퍼지볼트스킴 및 서명의 특성에 적합한 특징추출기법을 설계하고, 이 특징추출 과정에서 적용된 매개변수들을 활용하여 서명 기반의 효율적인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본 프로토콜을 적용시의 효과는 1) 간편하고 저렴한 서명의 이용, 2) 서명처리 및 인증에 약 1초의 시간소비로 실시간 사용자 검증 가능, 3) 로그인 및 검증시 통신횟수 1회로 최저, 4) 사용자 인증과 동시에 비밀 값 획득 등이다.

프레임릴레이와 ATM망간 연동 프로토콜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Interworking Protocol of Frame Relay and ATM Network)

  • 강성용;최동영;김동영;변지섭;박석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1999
  • ATM을 근간으로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은 융통성 및 효율성, 고속의 정보 전송 능력으로 인해 미래의 통신망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같은 초고속 정보 통신망은 완전히 구축되기 전까지는 프레임릴레이 등과 같은 기존의 망들과 혼용해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망 발전의 중간 단계에서 경제성이나 기술의 효용성 문제로 기본망과의 연동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교환 가상 채널(Switched Virtual Channel SVC) 기반의 제어평면 연동을 고려하여 프레임 릴레이와 ATM간의 신호 연동을 중심으로 망간 연동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 PDF

ESTEREL을 이용한 MESI프로토콜의 정형 설계 및 검증 (Formal Design and Verification of MESI Protocol Designed by ESTEREL)

  • 김민숙;김진현;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40-42
    • /
    • 2001
  • 캐쉬 일관성 프로토콜의 하나인 MESI 프로토콜은 다중 프로세싱 환경에서 각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캐쉬, 메모리 등의 통신 개체들을 조정하는 일종의 규칙들 중 하나이다. 프로세서의 수가 많아지고 시스템이 복잡해 질 경우 MESI 프로토콜을 정확하게 설계하고 그 동작을 분석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정형기법 도구인 ESTEREL을 이용하여 MESI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그 동작의 안정성을 검증하여, 시스템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