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llant

검색결과 1,200건 처리시간 0.02초

HTPB 계열 추진제의 알루미늄 함량에 따른 충격감도 및 마찰감도 연구 (Impact Sensitivity and Friction Sensitivity of HTPB Based Propellant According to the Aluminum Content)

  • 김가희;박정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0-6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추진기관에 충전된 추진제의 알루미늄의 조성 불균일에 따른 추진제의 점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진제 내부의 알루미늄의 불균일한 분포를 모사하기 위해 알루미늄 함량을 14~20%까지 임의로 변경하여 충격감도, 마찰감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감도를 측정한 결과 50% 기폭 에너지 및 최소 기폭 에너지는 알루미늄 함량과 무관하게 50 J 부근의 값을 가진다. 이는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하여도 충격 자극에 추진제가 민감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마찰감도 결과에서는 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할수록 50% 기폭힘과 최소 기폭힘이 감소하여 추진제가 민감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추진제 발화 시의 "Hot Spot" 모델에 따라 충격 자극보다 마찰 자극에 의해 추진제 내부의 공간이 순간적으로 압축이 되어 발화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평판형 마이크로 고체 추진제 추력기의 설계, 제작 및 평가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Planar Type of Micro Solid Propellant Thruster)

  • 이종광;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7-84
    • /
    • 2006
  • 마이크로/나노 위성체 개발과 함께 위성체의 자세 제어 및 궤도 수정을 위한 마이크로 추력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양한 마이크로 추력기들 중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마이크로 고체 추진제 추력기를 소개하고, 추력기의 구성 요소들에 관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추진제 점화를 위한 마이크로 백금 점화기를 제작하여 형상 변수에 관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HTPB/AP 고체 추진제의 특성 연구를 수행하여, 추진제의 연소 속도를 측정하였다. 마이크로 챔버는 감광성 유리를 이방성 식각하여 제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들 요소들을 통합하여 마이크로 고체 추진제 추력기의 연소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합제 함량에 따른 HTPB/AP/Al 추진제의 특성 연구 (A Study on Properties of HTPB/AP/Al Propellant to Contents of Bonding Agents)

  • 이영우;하수라;장명욱;김태규;이정준;손현일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7-52
    • /
    • 2017
  • The propellant tile and crack which account for the greatest proportion of solid rockets are profoundly affected by visco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lid propellant. In this paper HTPB/AP/Al system propellant has been researched for the viscosity, mechanical properties and burning properties with type and contents of bonding agents. The viscosity of propellant was chang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contents of bonding agent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TPB/AP/Al system propellant were also varied. Considering both lower viscosity and stable mechanical properties, the optimum type and contents of bonding agents can b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to the HTPB/AP/Al system propellant.

지지부 위치와 벽면 두께변화에 따른 구형 인공위성 추진제 탱크의 강도해석 (Stress Analysis of the Spherical Satellite Propellant Tank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Location of the Lug and Tank Wall Thickness)

  • 한근조;장우석;안성찬;심재준;전형용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37
    • /
    • 1998
  • The structure of satellite consists of six parts which are control system, power system, thermal control system, remote measurement command system, propellant system and thrust system. In these parts, propellant system consists of propellant tank and thrust device. What we want to perform is optimum design to minimize the weight of propellant tank. In order to design optimal propellant tank, several parameters should be adopted from the tank geometry like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lug and variation of the wall thickness. The analysis was execut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for finding optimal design parameters. The structure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consisting of the initial thickness zone, the transitional Bone, and the weak zone, whose effects on the pressure vessel strength was investigated. Finally the optimal lug location and the three zone thickness were obtained and the weight was compared with the uniform thickness vessel.

  • PDF

몬테카를로방법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궤도전이 소요추진제량 추정에 관한 연구 (COMS GTO Injection Propellant Estimation using Monte-Carlo Method)

  • 박응식;허환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2-71
    • /
    • 2015
  • 정지궤도위성은 궤도상에서 위치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추력기를 사용하고 운용수명에 맞추어 적정한 양의 액체추진제를 탑재한다. 그러므로 정지궤도위성의 수명은 추진제 잔여량에 좌우되고 정확한 잔여추진제량 측정은 조기 수명종료로 야기되는 경제적 손실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후속위성의 대체나 위성망 운용계획 등에 매우 중요하다. 잔여추진제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로 PVT 방법, 열질량법, 회계식 방법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계식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천리안위성 이원추진시스템의 모델링과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천리안위성의 궤도전이 소요 추진제량을 분석하였다.

HTPB 라이너와 PCP 추진제와의 접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hesion of HTPB liner and PCP propellant)

  • 홍명표;서태석;임유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60-70
    • /
    • 2001
  • PCP추진제인 ADP-505추진제와 적합한 라이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추진제로부터의 고에너지 가소제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라이너의 바인다는 HTPB/DDI계로 선정하였고, EPDM 인슐레이션/라이너, 추진제/라이너, EPDM 인슐레이션/라이너/추진제의 박리 시험을 통하여 라이너 조성을 연구하였고, 예비 선정된 라이너로 접착력인 인장, 전단, 박리(peel)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추진제와 라이너간의 접착력은 박리값이 1.5∼l.8daN/cm, 인장력이 5.5∼6.0 bar, 전단력이 4.2∼5.0 bar로 우수한 편이다. 마찬가지로 인슬레이션/라이너/추진제간의 접착력도 박리력이1.8daN/cm, 인장력이 5.0∼6.0bar, 전단력이 4.5∼5.0bar로 우수한 편이다.

  • PDF

추진제탱크 얼리지 해석을 위한 기본모델 (Basic Model for Propellant Tank Ullage Calculation)

  • 권오성;조남경;조인현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1호
    • /
    • pp.125-132
    • /
    • 2010
  • 추진제가 배출되는 동안 추진제탱크를 적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가압가스의 질유량 및 총소모량을 파악하는 것은 가압제어시스템의 설계 및 가압제 저장탱크의 무게를 산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극저온 추진제탱크의 경우 얼리지 내부의 가압가스는 외부와의 열전달에 의해 비체적이 감소하므로 더욱 많은 추진제탱크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가압가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추진제탱크 얼리지 해석을 위한 기본모델을 만들어 얼리지 내부와 탱크벽면의 온도분포, 가압가스 소모량, 얼리지 내부에서 유입된 가압가스의 에너지 분포를 예측하였다. 현재 시험을 통한 프로그램의 수정보완이 진행되었으나, 본 자료에서는 기본적인 해석모델의 설명에 중점을 두었다.

친환경 추진제로서의 아산화질소 연료 혼합물 개발동향 (State of the Art in the Development of Nitrous Oxide Fuel Blend as Green propellant)

  • 권민찬;양준서;임성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61-1067
    • /
    • 2017
  • 1960년대 이후부터 하이드라진($N_2H_4$)은 로켓, 인공위성 또는 심우주 임무용 추진제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하이드라진의 높은 독성과 운영비용으로 이온성 액체 추진제(ADM, HAN) 및 아산화질소 연료 혼합물(NOFB)과 같은 친환경 추진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아산화질소 연료 혼합물(NOFB)은 이원추진제가 갖는 높은 성능과 단일추진제의 단순한 공급시스템 장점을 모두 갖는 추진제로서, 적절한 취급방법과 설계가 적용된다면 전통적인 하이드라진 추진 시스템을 대체할 만한 추진제로 사용가능할 것이다.

  • PDF

HTPE 둔감추진제 연소/점화/안전도 특성 연구 (The Study of Combustion, Ignition and Safety Characteristics of HTPE Insensitive Propellant)

  • 유지창;정정용;김창기;민병선;류백능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1-3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바인더로 HTPE)/BuNENA를 적용하고 산화제로는 AP와 AN, 금속 연료로 Al을 사용한 HTPE 둔감 추진제 2종에 대한 연소속도, 점화지연시간, 민감도 및 둔감특성을 HTPB 추진제와 비교 고찰하였다. 민감도는 HTPB 추진제와 HTPE 추진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점화지연시간은 HTPE 추진제가 2~3배 크게 나타났고, 둔감성에서는 HTPB 추진제가 EIDS 완속가열시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 반면 HTPE 추진제는 기준에 부합하였다.

  • PDF

다기준하(多基準下)의 혼성고체추진제 최적조성(混成固體推進劑 最適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Optimal Composition for Composite Solid Propellant under Multiple Criteria)

  • 정병희;김기배
    • 산업공학
    • /
    • 제1권1호
    • /
    • pp.17-26
    • /
    • 1988
  • This paper describes a nonlinear goal programming approach to the optimal composition of composite solid propellant taking multiple characteristics into consideration synchronously. The nonlinear goal programming model with response functions, restrictions and the optimal value of each characteristic is developed using Scheffe's "Experiments with mixtures" and preference weighting system. Objective functions are described based on process, performance and assurance characteristics. The systematic approach to optimal composition in this study is proved efficient through a CTPB-AL-AP propellant which is one of composite solid propellant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