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agation loss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sis of Radio Interference through Ducting for 2.5 GHz WiMAX Service

  • Son, Ho-Kyung;Kim, Jong-Ho;Kim, Che-Young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94-100
    • /
    • 2012
  • Radio interference has been occurring i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on the southern seashore in Korea. Monitoring the radio interference signal revealed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radio interference was a radio ducting signal coming from the seaside of Japan.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interference on WiMAX service using a 2.5 GHz frequency band between Korea and Japan. We focus on the interference scenario from base station to base station and we use the Minimum Coupling Loss (MCL) method for interference analysis and the Advanced Propagation Model (APM) for calculating the propagation loss in ducts. The propagation model is also compared with experimental measurement data. We confirm that the interfering signal strength depends on the antenna height and this result can be applied to deployment planning for each system with an interference impact acceptable to both parties.

전자기파 부분방전 신호의 권선 투과 특성 (Partial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 Penetration Characteristics Throughout Transformer Winding)

  • 주형준;한기선;윤진열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809-813
    • /
    • 2010
  • Frequency domain measurement of propagation loss for ultra high frequency (UHF) partial discharge in the winding of power transformer using a spectrum analyzer and pulse generator is presented.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using a network analyzer with and without a winding. Using a network analyzer simplifies the measurement and offers better dynamic range and frequency range. It also provides precise propagation loss within the winding in frequency domain at UHF range. We applied this method to measure UHF propagation loss of transformer mock-up, modeled 154 kV 20 MVA power in KEPCO substation.

5G 주파수 대역에서의 실내 복도 전파 경로손실 측정 및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indoor corridor propagation path loss in 5G frequency band)

  • 김형중;최동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688-69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에 활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인 3.7 GHz, 28 GHz에 대한 건물 복도에서 채널 전파 경로손실을 측정하고, CI (Close-In), FI (Floating-Intercept) 채널 모델과 비교·분석하였다. 전파 경로손실 측정을 위해 송신기 (Tx)로부터 수신기 (Rx)를 10 m 씩 이동시키며 측정을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 3.7 GHz, 28 GHz에서의 CI 모델의 PLE (Path Loss Exponent)값은 각각 1.5293, 1.7795이며, 표준편차는 각각 9.1606, 8.5803으로 분석되었다. FI 모델에서 α값은 각각 79.5269, 70.2012, β값은 각각 -0.6082, 1.2517이며, 표준편차는 각각 5.8113, 4.4810으로 분석되었다. CI 모델과 FI 모델을 통한 분석 결과에서 FI 모델의 표준편차가 CI 모델에 비해 적으므로 FI 모델이 실제 측정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FR-4 composite 기판을 이용한 microstrip 전송선의 광대역 전송 특성 해석 (Wideb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on FR-4 composite substrate)

  • 홍정기;김영국;이해영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3A권2호
    • /
    • pp.69-77
    • /
    • 1996
  • We analyzed wideb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a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based on FR-4 composite substrate using the wideband complex dielectric constant model and the phenomenological loss equivalence method. The loss calculated by constant relative permittivity and loss tangent is greatly overestimatd compared to that calculated by the frequency-dependent complex relative permittivity. This wideband analysis can be helpful to characterize high-speed and high-density transmission lines associated with the wideb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and shows that the FR-4 composite substrate has high potential of high frequency circuit applications in terms o fthe propagation loss.

  • PDF

A SPATIAL PREDICTION THEORY FOR LONG-TERM FADING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 Yoo, Seong-Mo
    • ETRI Journal
    • /
    • 제15권3_4호
    • /
    • pp.27-34
    • /
    • 1994
  • There have been traditional approaches to model radio propagation path loss mechanism both theoretically ad empirically. Theoretical approach is simple to explain and effective in certain cases. Empirical approach accommodates the terrain configuration and distance between base station and mobile unit along the propagation path only. In other words, it does not accommodate natural terrain configuration over a specific area.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 predic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radio propagation path loss accommodating complete natural terrain configuration over a specific area. Statistical uncertainty analysis is also considered.

  • PDF

저층 고밀도 건물 교외 환경에서 3 GHz 및 24GHz의 건물 인입 손실과 클러터 손실의 전파 모델 결합 (Propagation Model Combination of Building Entry Loss and Clutter Loss in Suburban Environment with Low-Rise High-Density Buildings at 3 and 24 GHz)

  • 김동우;오순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37-24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저층 고밀도 교외 환경에서 신호의 클러터 손실(Clutter loss)과 건물 인입 손실(Building entry loss)을 측정 후 분석했다. 선정된 환경에서 BEL, CL, BEL과 CL 결합 등 3가지 전파 모델을 측정하였다. 각 모델 측정 결과 바탕으로 BEL과 CL을 결합하였을 때의 수치를 분석했다. 각각 주파수에서 BEL과 CL 결합 측정값은 27.55dB 와 26.12dB 였으며, 계산값과 차이는 -4.19dB와 5.82dB였다. 측정이 건물 내부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차이는 미미해 보인다. 따라서 BEL과 CL의 각각 측정값 합산과 결합 모델의 측정값을 비교하였을 때 -4.19dB와 5.82dB 오차를 도출하였고, 본 결과는 유사한 사례의 전파 모델 분석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illimeter-wave directional-antenna beamwidth effects on the ITU-R building entry loss (BEL) propagation model

  • Lee, Juyul;Kim, Kyung-Won;Kim, Myung-Don;Park, Jae-Joon;Yoon, Young Keun;Chong, Young Jun
    • ETRI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7-16
    • /
    • 2020
  • Assuming omnidirectional antenna reception, the ITU-R recently developed a new propagation model on building entry loss (BEL) for 5G millimeter-wave frequency sharing and compatibility studies, which is a simplified outdoor-to-indoor path loss model. Considering the utilization of high-gain narrow-beamwidth beamforming, the omnidirectional-based ITU-R BEL model may not be appropriate to predic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directional beamforming scenarios.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s of beamwidth on the ITU-R BEL model. This study is based on field measurements collected with four different beamwidth antennas: omnidirectional, 10° horn, 30° horn, and 60° horn. The measurement campaigns were conducted at two types of building sites: traditional and thermally efficient buildings. These sites, as well as the measurement scenarios, were carefully chosen to comply with the ITU-R BEL measurement guidelines and the ITU-R building types. We observed the importance of accurate beam alignment from the BEL variation range. We were able to quantify the beamwidth dependency by fitting to a model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eamwidth.

서울 및 대전지역에서의 전계강도와 경로손실 분석 (Analysis of Field Strength and Path Loss in Seoul and Daejeon Area)

  • 송기홍;정인명;김종호;양기곤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4권2호
    • /
    • pp.4-10
    • /
    • 1993
  • 이동통신에서, 전파경로는 이동국의 위치변동때문에 시간 및 공간에 따라 변한다. 전파경로 손실은 주 파수와 거리뿐만 아니라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따라 탄라지브로 이동 전파신호의 전파 경로손실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고에서는 대전 및 서울 지역에서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단구간 중앙치,500m 거리별 평균치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로손실 특성이 예측모텔과 유사하였으며, 특히 단구간 중앙치 는 기지국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의존하며, 표준편차는 2-1OdBuV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시간영역에서 수직 다이폴의 전파경로손실 특성 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n Radio Propagation Path Loss Characteristics of Vertical Electric Dipole in Time Domain)

  • 홍익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558-156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에서 완전도체 접지평면 위 수직 전기 다이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해석을 통해 전파의 거리에 따른 전파경로손실을 해석하였다. 자유공간에서 수직 전기 다이폴의 해석은 시간영역과 주파수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논문에서는 특히 접지면 위 수직 다이폴을 기지국으로 가정한 전파경로손실특성을 시간영역에서 해석하였으며 접지면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근접장의 위치변화와 모바일에서 수신되는 과도응답을 관찰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지표면 레이더 및 신호처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3차원 광선추적(Ray tracing)법을 이용한 실내 전파(傳播)특성 분석 (A Study of Indoor Radio Wave Propagation using 3D Ray Tracing Method)

  • 채규수;임중수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7-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광선추적 기법을 이용한 실내 환경에서의 전파특성 분석을 위한 3D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전파특성 분석 결과들은 2차원 평면에서 거리에 따른 신호의 손실(Path Loss) 위주로 연구가 진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서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ITU 모델을 사용하여 입체구조의 실내 환경에서 전파의 수신신호의 세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150MHz와 2GHz대역의 손실 특성이 비교 되었고 예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수신기의 위치에서 수신 신호는 전파경로상의 벽면에서 손실되는 전력에 따라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송신기의 출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