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Management Best Practice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Non-linear modelling to describe lactation curve in Gir crossbred cows

  • Bangar, Yogesh C.;Verma, Med Ra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2호
    • /
    • pp.3.1-3.7
    • /
    • 2017
  • Background: The modelling of lactation curve provides guidelines in formulating farm managerial practices in dairy cow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suitable non-linear model which most accurately fitted to lactation curves of five lactations in 134 Gir crossbred cows reared in Research-CumDevelopment Project (RCDP) on Cattle farm, MPKV (Maharashtra). Four models viz. gamma-type function, quadratic model, mixed log function and Wilmink model were fitted to each lactation separately and then compared on the basis of goodness of fit measures viz. adjusted $R^2$,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kaike's Informaion Criteria (AIC)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a (BIC). Results: In general, highest milk yield was observed in fourth lactation whereas it was lowest in first lactation. Among the models investigated, mixed log function and gamma-type function provided best fit of the lactation curve of first and remaining lactations, respectively. Quadratic model gave least fit to lactation curve in almost all lactations. Peak yield was observed as highest and lowest in fourth and first lactation, respectively. Further, first lactation showed highest persistency but relatively higher time to achieve peak yield than other lactations. Conclusion: Lactation curve modelling using gamma-type function may be helpful to setting the management strategies at farm level, however, modelling must be optimized regularly before implementing them to enhance productivity in Gir crossbred cows.

EVMS 최종공사비 예측 모델 최적성과지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Best Performance Index for Estimate at Completion Forecasting Model on the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EVMS))

  • 김선규;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01-107
    • /
    • 2000
  • 2000년 7월 1일 건설교통부는 EVMS를 공공부문에 도입하는 것을 입법예고 하였다. 그러나 EVMS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고,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에 의해 제안된 또 하나의 실패사례가 될 것이라는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EVMS는 미국 국방성에 의해 1967년부터 많은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강력하고 효율적인 프로젝관리 도구로 검증된 C/SCSC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아무리 훌륭한 도구라 할지라도 한국과 미국 건설사업 환경 및 제도의 차이로 인해 미국의 건설체계 도입 적용의 많은 실패 경험을 무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그 동안 국내에 적용된 일부 EV자료를 통해 EVMS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인 최종사업비예측(EAC) 모델에 대한 국내환경 적합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여 EVMS의 성공적인 국내 도입에 일조 하고자 한다.

  • PDF

WEPP 모형을 이용한 밭포장과 밭유역의 토양 유실량 추정 (Applications of WEPP Model to a Plot and a Small Upland Watershed)

  • 강민구;박승우;손정호;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1호
    • /
    • pp.87-97
    • /
    • 2004
  • The paper presents the results from the applications of the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model to a single plot, and also a small watershed in the Mid Korean Peninsula which is comprised of hillslopes and channels along the water courses. Field monitoring was carried out to obtain total runoff, peak runoff and sediment yield data from research sites. For the plot of 0.63 ha in size, cultivated with com, the relative error of the simulated total runoff, peak runoff rates, and sediment yields using WEPP ranged from -16.6 to 22%, from -15.6 to 6.0%, and from 23.9 to 356.4%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respectively. The relative errors for the upland watershed of 5.1 ha ranged from -0.7 to 11.1 % for the total runoff, from -6.6 to 35.0 % for the sediment yields. The simulation results seem to justify that WEPP is applicable to the Korean dry croplands if the parameters are correctly defined. The results from WEPP applications showed that the major source areas contributing sediment yield most are downstream parts of the watershed where runoff concentrated. It was suggested that cultural practice be managed in such a way that the soil surface could be fully covered by crop during rainy season to minimize sediment yield. And also, best management practices were recommended based on WEPP simulations.

국내 오염부지 조사 개선을 위한 US EPA 스마트 스코핑 기술 소개 (Introduction to US EPA Smart Scoping Technical Guide for Improving Pollution Site Investigation)

  • 김보민;김한석;권만재;조호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2_spc호
    • /
    • pp.70-85
    • /
    • 2020
  • This paper introduces the 'Smart Scoping for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Technical Guide' issu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 2018, which describes the use of smart scoping during lifecycle of remedial investigation projects. This paper also briefly summarizes the guidelines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investigation of South Korea. The smart scoping practices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robust and realistic conceptual site model that is very useful for investigations and evaluations of the contaminated site.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tools relevant for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a conceptual site model. The smart scoping recommends the use of previous investigation data and implementation of best proven strategies for successful remedial investigation project. The use of smart scoping in contaminated site investigation will provide better management of contaminated sites.

린(Lean) 개념을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 연구: 낭비 제거의 가시화를 중심으로 (How to Implement 'Lean' Principles into Software Development Practice?: Visualization of Delays and Defects)

  • 황순삼;김성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74
    • /
    • 2011
  • 소프트웨어 산업은 아직도 뿌리깊은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어떻게 보면, 제조업과 같은 보다 성숙한 산업의 모범사례로부터 뭔가를 배워야 할 지 모른다. 제조업에서의 '린' 원칙을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는 것도 한 방안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공학 문헌에서 이런 '린' 원칙은 시도해 볼만 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들 원칙을 실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가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린' 원칙을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안의 핵심은 낭비제거라는 린의 관점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프로젝트에서의 리드 타임과 결함을 누적 흐름도(Cumulative Flow Diagram)을 통해 관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 방안을 실제 프로젝트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고 적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Estimating USLE Soil Erosion through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 Her, Y.G.;Kang, M.S.;Park, S.W.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7호
    • /
    • pp.3-14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I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GIS-USLE system) to estimate soil erosion and evaluate its effect on concentrated upland plots in Godang district, Korea. This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ArcView environment using A VENUE script. Three modules were used in the GIS-USLE system, namely pre-processing, the USLE factors calculator module, and post-processing. This system benefits from a user friendly environment that allows users with limited computer knowledge to use it. This system was applied to 1,285 individual upland plots ranging from 0.005 to 1.347 ha in size with an average slope steepness of 14 %. The rainfall distributions were estimated using the three methods, namely Mononobe and Yen-Chow with Triangle and with Trapezoid type, and then used to calculate the rainfall erosivity factor. The soil erosion amounts from the 1,285 individual plots in the study area by 2 year return period with a 24h maximum rainfall amount of 154.6 mm were estimated at 5 tons/ha on average. Slope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soil erosion estimation, as expected. The prototype model was applied to the project area, and the results appeared to support the practical applications. By examining many fields simultaneously, this system can easily provide fast estimation of soil erosion and thus reveal the spatial pattern of erosion from fields in a region. This study will help estimate and evaluate soil erosion in concentrated upland districts and identify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온톨로지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념 모델 설계 (Design of A Model of Software Process Concept Based On Ontology)

  • 신병호;최이권;이상범;정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9
    • /
    • 2008
  • 소프트웨어가 대형화되고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개발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렵다. 개발과정의 종합적인 체계를 제시하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는 성숙되고 능력 있는 개발 조직이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개발 활동과 절차라 할 수 있는데, 전반적 개발과정의 관리에 관련되어있다. 하지만 복잡하고 일반 개발자에는 생소한 개념이 많아 이를 도입하여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이나 성숙도 측정 모델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는 제대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 프로세스의 도입 및 개선 시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에 관련 프레임워크들의 복잡한 개념을 표현하고 이들 간을 연관시킨 모델을 제시한다.

  • PDF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산지유통조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직화·규모화·전문화를 중심으로 (A Study 0n the Improvement of the domestic in producing area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retail environment: Focused on organized, scaled, Specialization.)

  • 김대윤
    • 산경연구논집
    • /
    • 제2권2호
    • /
    • pp.5-14
    • /
    • 2011
  • 1996년도의 유통시장개방을 계기로 소매유통 환경이 급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소매유통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화를 통한 규모화가 산지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산지에서는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소규모 개별농가가 조직화를 통해 전문화·대규모화 되어 가고 있고, 품목별·지역별로 특화되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소비지 시장에 대한 경쟁력 강화라는 관점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시장대응상의 산지유통조직의 조직화·규모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한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산지 조직화 배경 및 필요성, 국내 산지유통조직의 현황 및 문제점, 국내·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를 살펴보고, 조직화·규모화를 중심으로 향후 산지유통조직 경쟁력 제고방안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농산물 소매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산지유통조직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1) 원물수집 체계 다양화를 통한 가동률 향상 및 조직화 강화, 2) 전문화된 품목의 광역연합마케팅 추구를 통한 규모화 실현, 3) 국외 산지유통조직 우수사례인 프랑스 "브레따뉴 청과물 경제위원회"와 같은 관리 운영조직 설치 및 운영, 4) 국내에 적합한 산지유통조직모델 개발을 위한 지원체계 확립 등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 산지의 경우 산지조직화·규모화에 성공한 각종 사례분석을 통해, 조직적 규모화의 과정 속에서 생겨나는 각종 어려움과 그에 대한 극복방식 등을 일반화 시켜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아태지역 식품안전관리 협력과 역량강화를 위한 APEC의 활동 (The Activities of APEC to Reinforce the Cooperation and the Competence of Food Safety Management in Asia Pacific Region)

  • 이꽃임;황명실;윤혜정;이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6-181
    • /
    • 2012
  • 지속적인 식품안전 사고와 확대된 국제교역은 국제기구들로 하여금 식품안전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법 규제, 조치들, 협력 네트워크,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었고, 특히 나라 간 식품안전 기술조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집중하고 있는 현실이다. APEC 또한 2007년 식품안전협력포럼(FSCF)를 신설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식품안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노력을 하고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35개의 activity들이 진행되었고 APEC 프로젝트 절차에 따라 추가로 20여개가 준비 중이다. FSCF에서 수행되는 activity들은 생산에서 소비까지 식품안전 관리에 있어서 국제 최고의 기준과 조치들을 사용함으로 인해 공급사슬 내 에서의 이해당사자들의 능력을 키워 무역을 증진시키고 공중 보건을 지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서 APEC 지역 내 식품안전 정부기관들, 산업체, 학계, 국제기구 등 전문가들 간의 다자간 협력 필요성이 요구되어 교육훈련기관네트워크(PTIN)가 차후에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식품 안전과 관련한 과학적 기술적 정보를 교류하고 안전관리 교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식품안전 분야에서의 국제적인 공조는 필수적이다. 이에 우리나라가 APEC FSCF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태지역 회원국들의 식품안전기술 향상에 기여할 뿐 아니라 국내 교육지원 프로그램과의 연계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새만금 유역에서 논 최적관리기법의 수질개선 효과와 정책고려사항 (Effect of Paddy BMPs on Water Quality and Policy Consideration in Saemangeum Watershed)

  • 김종건;이수인;신재영;임정하;나영광;주소희;신민환;최중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4-313
    • /
    • 2018
  • 새만금 간척지의 농지 간척 사업은 대부분 2020 년까지 완공 될 예정이며, 그 시기 토지의 관개용수 활용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관개수의 수질은 드물게 목표 농도를 충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최적관리기법(BMPs)인 토양검정시비(SO#1), SO#1과 SO#3의 복합처리(SO#2), 배수물꼬(SO#3), 완효성 비료시비 (SO#4) 방법을 관행재배(CT: Control)와 비교하여 논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및 정책개발 시의 고려사항을 기술하였다. 논에서의 유출 저감은 SO#3(25%)와 SO#1(27%)에서 관행재배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SO#4(9%)와 SO#2(7%)에서 낮게 나타났다. 논 유출량의 NPS 오염물질 농도와 부하는 변화의 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BMPs 중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농민들의 인식조사 결과, 농민들은 실제 BMP 구현의 한계로 기존 관행적인 영농활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PS 오염물질 관리와 관개수 절약을 위해서 농민 교육 및 지원과 함께 관개물꼬 및 논의 담수심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