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Provider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7초

PP 산업에 대한 전략집단 개념의 적용 (Applying Strategy Group Concept to Program Providers(PP) Industry)

  • 여현철;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7-370
    • /
    • 2011
  • 본 논문은 전략집단 이론을 활용하여 PP 사업자의 분석에 대한 현황,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모색했다. 기존 전략집단 개념을 활용한 PP사업자 분석의 한계는 전략집단의 도출이 통계결과에 따라 PP의 채널 특징만을 반영했다. 그렇기 때문에 전략 및 전략집단의 유형을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분류하기 어려웠고 일반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PP의 전략 변수 선정은 기업 및 사업부 수준(분석수준), 자원 및 경쟁범위와 관련된 변수를 사용했다. 향후에는 보다 적절한 절차에 따라 변수를 객관적으로 선정하여 자의성에 대한 논란을 피해야 할 것이다. PP 사업자의 전략집단 연구의 개선방향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전략 집단 분류 변수를 요인분석하고 몇 개의 요인으로 축약하여 분류기준이 되는 핵심 변수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산업 전문가들로부터 변수를 크로스 체크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대리변수를 지양하고 PP 산업 특유의 속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경영자가 인지적 차원에서 지각할 수 있는 전략집단 모델을 연역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전략집단의 분류 기준에 이동장벽과 분리기제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전략집단간 성과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PP 전략집단의 동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한다.

The Consumer Rationality Assumption in Incentive Based Demand Response Program via Reduction Bidding

  • Babar, Muhammad;Imthias Ahamed, T.P.;Alammar, Essam 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64-74
    • /
    • 2015
  • Because of the burgeoning demand of the energy, the countries are finding sustainable solutions for these emerging challenges. Demand Side Management i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managing the demand with an aim to support the electrical grid during the peak hours. However, advancement in controls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aggregators are appearing as a third party entity in implementing demand response program. In this paper, a detailed mathematical framework is discussed in which the aggregator acts as an energy service provider between the utility and the consumers, and facilitate the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mand side management by introducing the new concept of demand reduction bidding (DRB) under constrained direct load control. Paper also presented an algorithm for the proposed framework and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the algorithm by considering few case studies and concluded with simulation results and discussions.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노인돌봄의 변화에 대한 연구 (The Impact of the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on its Family Caregivers: Focusing on Family Caregiving Arrangement)

  • 양난주;최인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1-56
    • /
    • 2013
  • 한국에서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요양욕구가 인정된 모든 노인에게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이라는 사회적 지원을 제도화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 노인돌봄의 사회적, 제도적 환경은 새롭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서 가족돌봄의 위치와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이를 위해 공식적인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에 대한 가족돌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공식과 비공식, 제도적 서비스와 가족돌봄의 통합으로서 노인돌봄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 안에서 공식적 돌봄의 역할과 가족돌봄에서 일어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이용하는 가족돌봄자(노인의 배우자 및 자녀) 중 재가서비스 이용자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내용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된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등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개별 사례별로 상이한 비중과 의미로 이용되고 있었다. 공식돌봄과 비공식 가족돌봄의 결합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서로 다른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인돌봄을 구성하는 양상, 가족돌봄자가 다양한 돌봄자원을 동원하며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돌봄혼합의 양상, 중증노인이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형성되는 노인돌봄의 양상, 그리고 무엇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실화과정에서 공식돌봄과 비공식돌봄을 일치시키는 변종(hybrid)방식으로 가족요양보호사 방식의 노인돌봄 양상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화되고 공식화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재가서비스 이용이 실제 다양한 노인의 욕구와 가족돌봄자원이라는 현실을 만나면서 다양한 노인돌봄의 양상으로 현실화되고 있는 것을 드러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이는 노인돌봄이 공식, 비공식 돌봄의 결합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며 공식적 돌봄서비스의 공급이 실제 가족돌봄의 조건과 현실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공급에서 노인이용자의 삶의 조건이자 공간으로서 가족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보호조치 의무 위반의 판단 (Judgement of Violation of the Protection Dut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 강주영;김현지;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7-26
    • /
    • 2016
  • SK컴즈, 옥션, KT 등 대형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이용자의 정보가 유출되는 정보유출사고가 국내에서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이러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사고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책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존 법령 위반 또는 법 일반원칙인 신의칙 위반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신의칙상 책임 범위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신의칙상 보호조치 의무의 범위의 불확정성은 기업들에게 불만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 범위를 어떻게 확정할 것인지 그 판단범위로서 객관적인 지표의 제시가 필요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법의 성격상 보호조치 의무의 범위를 확정하여 법령에 규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제도 차원에서 고민할 것이 아니라 융합적 차원에서의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부분, 법제적 부분, 관리적 부분으로 나누어 융합적 관점에서 사업자의 주의의무 위반의 범위를 예견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모바일폰을 이용한 초등학생 비만관리 복합지원의 잠재적 이로움 : 프로그램 제공자 측면에 대한 질적 연구 (Leveraging Multimodal Supports using Mobile Phones for Obesity Management in Elementary-School Children: Program Providers' Perspective from a Qualitative Study)

  • 박미영;심재은;김기랑;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8-247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oviders' perspectives on current challenges in implementing a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ildhood obesity and adoption of mobile phone as a potential solution of leveraging multimodal delivery and support in a school setting. Method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ith 23 elementary-school teachers, 6 pediatricians, and 6 dieticians from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Results: Current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of obesity-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for obesit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deduced as two themes each. Lack of tailored intervention due to limited recipient motivation, lack of individualized behavioral intervention, and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solvable by mobile technology-based personalized intervention which brings about interactive recipient participation, customized behavioral intervention, and ubiquitous accessibility. Lack of sustainable management due to stigmatization, limited interactions between program providers and inconsistent administrative support can be handled by multimodal support based on school setting using mobile platform providing educa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oward larger scale and interactive networking between program participants, and minimizing administrative burden. Conclusions: Adoption of mobile-based health management program may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of child obesity program such as lack of tailored interven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via personalized intervention and multimodal supports although some concerns such as increased screen time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a further study.

집단 변인에 따른 임신 및 수유에 관한 의식 및 영양 교육 요구도 비교 - 임신수유부, 의료전문인, 여대생 집단 비교 - (Perception and Service Needs about Nutrition Education of Pregnant and Lactating - To Compare with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Health Specialist and College Women -)

  • 안홍석;이영미;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7-337
    • /
    • 2006
  •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utrition education contents and material through the basic data from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consumer. And also,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attitude and needs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P breastfeeding specialist), present consumer (PC,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nd future consumer (FC, college women). There were types of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needs and attitudes toward child and maternal nutrition, as well a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13 breastfeeding specialists who served at medical related institutions, 197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nd 309 college women.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 Win 12.0,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s on breastfeeding was 'medical specialist's support' (3.51) and the next one was 'knowledge of maternity care practice' (3.39). And the importance score of determinating factors on breastfeed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p < 0.001). The groups of consumer (3.50 at PC and 3.59 at FC) considered the service provider (3.32) more important. The service providers considered a more effective determining factor to be 'husband and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than the others (p <0.001). 2) To compare the effective factors of breastfeeding practic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vice providers were more significantly considered than the otters such as 'attendance of intervention program' (p < 0.001). But the PC group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factors wis 'mother's job after delivery'. 3) The self-evaluated score of the breastfeeding knowledge was the most high in SP; the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knowledge score of nutritional aspects in human milk was most highly evaluated. But maternity care practice and public acceptance marked the lower evaluation score than other issues. 4) The desirable types of educational material was mass media, and the next was printed matter such as booklets. Two kinds if consumers preferred DVD or VCR tapes than and the service provider group (p < 0.001). 5) The priority contents of nutrition service PC group wanted the information about infant care more than maternal care (p < 0.05), but FC group's prior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PC group (p < 0.001). The priority of SP group pointed out the information of practical child care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e needs of nutrition service, education channels, and perception toward effective factors on consumer behavior chang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suggest that consumer oriented nutrition service programs must be developed.

국내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전략집단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ategic Groups of Program Providers(PP) and the Performance in Korea)

  • 여현철;김재범;이상식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6권
    • /
    • pp.387-419
    • /
    • 2009
  • 유사한 자원을 가지고 유사한 전략을 사용하는 기업들의 집합체로 정의되는 '전략 집단 (strategic group)' 개념은 기업과 산업의 중간에 위치하여 산업조직론과 전략경영의 접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었던 '전략 집단'의 개념을 방송채널사용 사업자(Program Provider) 산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PP시장에는 몇 개의 전략 집단이 존재하며, 집단 간 전략적 변수의 차이는 무엇이며, 전략 집단별 PP의 성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40개 상업 PP를 분석하였다. 전략 집단 분류 변수를 이용,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전략 집단 구분시 군집 형성에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큰 변수는 운영 효율성(4.05), 가격(3.83), 규모, 즉 SO 송출수(3.56), 수신료 의존도(2.58), 수평 결합(2.16) 등의 순이었다. 전략 집단간 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성과 변수 간에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략 집단 간에 가입자당 매출액은 유의적 차이가 있었지만, 매출액 영업 이익률, 현금흐름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역사가 오래된 PP가 성과가 높거나 전략 집단 형성에 크게 기여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역사 변수 역시 집단 구분이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의료인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The Effect of a CPR Training for Non-Healthcare Providers)

  • 오윤희;김복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8-28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PR training for non-healthcare providers by checking the performing ability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teaching class. Method: This study was a single primary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pre and post test. Study subjects were 37 office staffs who participated in all test from March, 10th, 2005 to April, 18th, 2005. The tools of this study were CPR performing evaluation sheet and CPR teaching computer program. Data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repeated ANOVA and Bonferroni with SPSS 12.0 program. Result: The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by the step of test. The CPR practice performing ability of learning experienc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score than non experience group. The self-confidence about CPR practice when faced emergency situation was increased after practice training. Conclusion: One to one CPR practice teaching method using simulation by CPR teaching specialists was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ability of CPR practice of non-healthcare providers in a tertiary hospital than self-study.

  • PDF

Relationship Brand Orientation and Internal Brand Equity at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 Organization Change Readiness Effect

  • TOBING, Rudy P.;SUROSO, SUROSO;HALIM, Rizal Edy;ALIF, Guna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2호
    • /
    • pp.181-193
    • /
    • 2020
  • The midst competition makes a brand all together with its offering products and services is becoming a crucial element for company existence. This requires direct involvement from internal organizational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c branding. According to Asosiasi Penyelenggara Internet Indonesia (APJII), Indonesia's internet penetration is among the highest in Asi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strategic role of brand orientation withi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for maximizing return on the company's financial and non-financial benefits by proposing organization change readiness variable. The data collection is taken using an online survey with a non-parametric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 68 qualified respondents for data analysis using SEM-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Partial Least Square). The result indicates partial hypotheses on the constructed model between variables brand orientation, brand commitment, and internal brand equity is acceptable. Another finding is stated hypotheses on organization change readiness as moderation is not accepted and means there is no significance to the constructed model. The main conclusion resumes associative human memory can shape up organization change readiness inside internal toward then brand. Relevant cues generate information received in the human brain then will create common associative and becoming social identity on internal brand equity.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의 경험 (Experiences of Problem drinkers Participation i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Moderate Alcohol Drinking)

  • 강경화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1-13
    • /
    • 2018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문제음주자 관점에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명함으로써 탐색적 이해를 보여주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질적 기술 연구 설계가 사용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13명의 문제음주자와 개별 면담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내용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알코올 정보,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 자기효능감과 행동 변화 측면에서 4개의 주제 및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직장 내에서 운영된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개인별로 동기 수준에 차이가 있었으나,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대체로 수용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자를 신뢰하는 참여자일수록 음주행동 변화를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문제음주자는 충분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음주 폐해에 대한 인식과 변화 동기의 증진 및 행위기술인 자기효능감의 획득을 통하여 문제음주 행동 변화에 유용한 접근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등 다양한 일차건강관리 현장에서 알코올중독 예방을 위한 조기개입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