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Evaluation

검색결과 5,755건 처리시간 0.039초

사서교육훈련 효과성 입증을 위한 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Demonstrating Effectiveness of Librarian Education Program)

  • 박옥;김신영;장경원;차성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73-199
    • /
    • 2017
  • 교육훈련 평가는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내용을 측정, 관찰하여 품질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교육훈련 변경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는 행위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사서교육 훈련프로그램 교육과정의 성과와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서교육훈련 직무교육의 효과성을 객관적이고 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선행연구,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훈련 교육과정 현황조사, 이해관계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육훈련 평가체계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평가체계 및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훈련과정의 현실적인 평가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계층적 분석 과정을 이용한 학교급식 운영 품질 평가 분야의 중요도 분석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to Estimate Weights of Evaluation Categories for School Food Service Program in Korea)

  • 이민아;양일선;이보숙;김현아;박소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1호
    • /
    • pp.74-83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identify the evaluation categories, areas, attributes, and criteria of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using both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analyses, (2) def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categories, areas, attributes, and criteria of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3) organize the evaluation system to improve quality of the school food service in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04 to collect data from 172 dietitians, 15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10 professionals of school food servic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PSS 12.0 for Windows and Excel,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dicated that relative importance of evaluation category was 0.4319 (food service manage ment), 0.2369 (nutrition education), 0.1455 (satisfaction) and 0.0912 (parent involvement program). 'Sanitation, safety and facility (0.1739)' was the most important area among the subcategories of food service management, followed by nutrition management (0.1581), procurement (0.1375), production (0.1345),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0.0662), planning (0.0644), food service evaluation (0.0585), financial accountability (0.0555), and information management (0.0554). There existed a relative importance on the three areas of the nutrition program and satisfaction evaluation category: students (0.5281, 0.6221), parents (0.1812, 0.1491), and teachers (0.1838, 0.1618). In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evaluation category, relative importance of committee and monitoring management was 0.4658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was 0.3724. The quality of food and service to school children can be improved by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for the school food service program.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개발 예산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overnment's R&D Budgeting Evaluation System in Korea)

  • 박병무;이기종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19-839
    • /
    • 2009
  • R&D 규모의 확대는 평가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가 전제이다. R&D 예산 및 사업에 관한 시스템 평가는 예산의 조정 배분과 사업의 성과에 대한 평가로 구분된다. 이 논문은 예산의 조정 배분과 관련한 예산평가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예산평가 시스템의 핵심 관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후행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과 평가의 관점을 예산평가에 보다 긴밀하게 연계시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이를 위해서 전반적인 종합조정의 시스템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예산은 정책 기획 집행으로 연결되는 과정이다. 사업을 매개체로 하여 정책에 부합하는 기획내용에 따라 예산을 활용하여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개발사업의 구조 체계와 예산항목(코드) 구조와의 연계 강화가 중요하다. 이것은 의사결정 시스템 차원에서 정책과 예산의 연계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예산의 조정 배분, 정책과 사업의 성과평가, 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관련 시스템 상의 연계 강화와 운영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기능이 정책기획 중심이 되어야 하며 정책부터 평가까지의 전과정상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운영지원 체계로 개편되어야 한다. 조정 배분과 성과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평가 시스템이 되려면 이들의 집행일정과 조사 분석의 내용과 시기가 보다 효용성이 높아져야 한다.

  • PDF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3-245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를 적용, 평가하여 독서치료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2006년 2학기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도서관학 특강' 교과목을 수강한 39명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이들 중 사례 5명의 학생들에게 보고서 형식의 '자기평가'를 내용분석한 질적 평가와 자아정체감 측정을 통한 양적 평가 모두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성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1) 이 프로그램은 독서치료의 원리인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이 일어나 독서치료가 내면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독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해외 Co-op 프로그램의 성과평가 사례분석 및 IPP 제도를 위한 적용방안 연구 (Co-op Performance Evaluation: Literature Review and Suggestions for the IPP Program)

  • 엄기용;오창헌;하준홍;조재수;김남호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98-103
    • /
    • 2012
  •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실행되는 한기대 IPP 제도는 실행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며, 그 효과성 또한 아직 불확실하다. 따라서 한국형 IPP 제도의 실효성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운영체계 및 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체계적인 성과평가모형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IPP 제도의 성과평가 방안을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기반하여 제시한다. 이를 위해 외국의 다양한 Co-op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평가방법과 평가지표를 찾아내고, 이를 Kirkpatrick의 4단계(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그리고 결과평가)에 매핑한다. 이러한 성과평가모형을 통해 IPP 프로그램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고용노동부나 대학 내 학부 과 등 관련 이해관계자 집단들을 설득하고 지원을 얻는데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PP 제도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간호리더십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 on Improvement in Nursing Leadership Ability)

  • 장금성;김복남;정석희;김윤민;김정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0-5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rsing leadership program outcome evaluation system, required for accreditation of nursing education. Methods: A methodological design was used. To ensure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evaluation system, learning objectives for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job descriptions for nurses in Korea were verifi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s in the five attributes of the nursing leadership concept. The nursing leadership program outcome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Kim & Park's developmental model (2008). Results: The nursing leadership program outcome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cluding implementation level, education curriculum, level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rubrics, and Close-the-Loop. Conclusion: The developed evaluation system can be actively used in nurs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graduate nurses.

환경교육 교수.학습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연수의 실시 및 평가 연구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eaching-Lear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 최돈형;이미옥;윤성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183-19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in- 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development / implement team is form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team is compos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20 teachers were selected to implement the program. Then, through various researches such as interview, monitoring, and survey,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After the evaluation, the feedback on the program was collected in order to apply the final adjustments and changes to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to include the wide range of theories and real life cases. It focuses on certain topic, and is implemented through workshop type training metho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The major motive of the participants wa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workshop, 69.1% of the program i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learning theory, and 71.4% i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is focused on the real life teaching method that could be used in many schools. However, the parts on environmental education philosophy, psychology, and evaluation was not included as a part of the program. Also,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students learn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as not introduced as a part of the program as well. It is due to the limited time frame of the training program, as well as its focus on the training method of environmental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through monitoring, the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successful in terms of focusing the goal of the program arou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learning theor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method, which was the motive of the participant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iffered from participants to participants based on their majo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 did not last long enough. The future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background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o have various programs prepared for various groups of people. We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developed program will be appli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licence training" in the future.

  • PDF

CIPP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교육 평가 -만족도 및 재추천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Education Using the CIPP Model -focus on factors which influenced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 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10-523
    • /
    • 2012
  • 본 연구는 CIPP모형을 활용하여 항공서비스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CIPP모형의 상황평가(Context), 투입평가(Input), 과정평가(Process), 산출평가(Product)를 중심으로 요인을 도출하고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와 재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투입평가(I)의 인적자원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교육지원,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상황평가(C)의 요구진단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이 아니라 교육의 목표,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성과를 높여야 하며,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을 위해서는 항공사의 요구진단보다는 교육목표, 상호작용, 교육지원, 직무성과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의 정부인정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the government's recognition regarding the program accrediting organizations in Higher Education)

  • 김경수;황명구;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7-98
    • /
    • 2012
  •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 인정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가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을 인정하는 평가모형을 설정하고, 평가부문 및 평가항목,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의 개념을 설정하고,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 평가모형을 설계하였다. 평가 모형은 고등교육 프로그램 평가인증기관에 대한 정부인정사업의 절차를 반영하여 정부인정기관으로서의 기본적인 요건에 부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적격성 검토를 수행하는 예비평가단계, 법령 및 관련 규정에 제시된 평가영역별 지정기준에 대한 충족 여부를 검증하는 본 평가단계의 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평가영역에 따라 평가부문,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들을 개발하였고, 심층적 검증을 위해 평가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2개 평가영역, 5개 평가부문, 24개 평가항목 및 33개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체험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 연구 (An Evaluation of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 박태윤;노경임;최돈형;박현주;이은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9-5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EE) programs. For the evaluation, an evaluation chart was developed. The chart was consisted of twenty evaluation items in the following six categories : 'goals & objectives', 'instructional planning', 'instruction', 'learning outcomes & evaluation', 'features of program', and 'program operation'. One hundred sixty five site-based EE programs, fun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0, were evaluated. After the evaluation, the programs were also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gions, organizations, and amount of fu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wareness, participation, and attitude were addressed in the purpose of the programs, while knowledge and skills were not. The diversity of activities and teaching strategies of the programs were insufficient. Cultural aspects, fairness, originality, and accuracy were also insufficiently addressed.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such programs were needed to be considered to a larger degree. From the analysis of programs according to categories, Choongbuk province in the regional aspect and schools in the organizational aspect got higher scores than others. Overall, the more funding the program received, the higher score it got in evaluation. Some improvements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site-based EE were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