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 qualification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복지사의 역량과 숙련도 표준에 관한 탐색적고찰: 영국 사회복지사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etency and Proficiency Standards for Social Workers: Focusing on the Case of British Social Workers)

  • 윤희숙;최소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29-33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역량 및 숙련도에 관한 영국 사례 검토를 통해 한국 사회복지사의 전문역량과 숙련도 기준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별히 초고령사회를 앞둔 시점에서 노인돌봄과 관련된 영국 사회복지사협회와 보건보호전문직협의회의 역량 및 숙련도 기준 고찰을 통해 한국 노인복지 분야 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제고 하고자 하였다. 영국은 전문역량구조를 제시하므로 사회복지사의 자격 단계별 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역량에 기반한 사회복지사 자격취득을 촉진하고 있다. 또한, 보건 및 보호 분야 전문가의 자격 단계별 숙련도 기준을 일반 기준과 세부 기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고, 이러한 숙련도 기준에 준거해 돌봄분야 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제시하고 있다. 영국의 사례 고찰을 통해 한국 사회복지사의 역량과 숙련도 제고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공통 역량-사회복지 전문분야의 역량-사회복지사의 숙련도'를 연결하는 표준제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협회와 사회복지사협회의 역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기술사 관리 총괄부처 선정 및 특급기술자 제도 개선방안 (Strategic Improvement of Professional Engineers System)

  • 박기형;김선국;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5-270
    • /
    • 2004
  • 우수 기술사의 육성 및 활용은 과학기술 및 국가산업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기술사 관리 총괄부처의 부재, 특급기술자 제도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기술사의 경쟁력은 떨어지고 관련 제도도 기술사 상호인증을 위한 국제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기술의 복잡화 $\cdot$ 융합화 및 국제 기술서비스 시장의 개방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기술사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이 논문은 기술사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도적인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결과를 분석 $\cdot$ 평가하고 기술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문가 면담조사 등을 수행하여, 기술사 관리 총괄 부처 선정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고 특급기술자 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사 자격검정 업무를 기술사법으로 이관할 수 있는 방향과 근거도 제시하였으며, 특급기술자들을 국가기술자격제도로 흡수하는 방안과 기술사와 학 $\cdot$ 경력자 간의 우대내역 차별화를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에 근무하는 영어 원어민 교사에 대한 국내 영어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lish Teachers toward Native English Teachers)

  • 강문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15-623
    • /
    • 2013
  • 세계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공교육에서의 원어민 교사 수업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질 높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원어민 수업으로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이 논문에서는 영어교육에서의 원어민영어교사 활용 종합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 연구에서 한국인 협력교사들의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식은 영어 원어민 교사의 투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보건교육 관련 교과목의 표준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Standards for Courses in Health Education)

  • 오영아;최승희;김광기;김명;김영복;김혜경;배상수;이주열;지영건;최연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22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for health educator training, standards for university curriculum o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educator training, and ultimately to help settl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Results and Conclus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ofessional taskforce meetings, we discuss: 1) Principles for course standards; and 2) Objectives and content standards for 9 required courses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he curriculum standards could be used for the course evaluation run by Korea Health Educator Qualification Management Office, and as a guiding principle for the development of courses and curricula for health education and health educator training.

응급처치 교육 강사 자격요건에 대한 학교보건법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ised direction of the school health act for first aid instructor qualification)

  • 김지원;강민성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2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he instructors of first aid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School Health Act. Method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pproval provisions for qualifying as first aid educators under the School Health Act,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nd prior studies of first aid education. Results: The comparison of the studies demonstrated some key points. First, the first aid education of teacher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knowledge of professional instructors. Second, the doctors,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 were suitable as specialized first aid instructors. Third, for qualifying as first aid instructor, only the EMTs required more than five years of career. Conclusion: We suggest that all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qualify to become first aid educators. Additionally, the requirement of EMTs to have more than 5 years of career to qualify as an instructor should be eliminated.

로봇기술자격증 4급 현황 및 초등학생을 위한 제언 (A current situation of qualifying examination to robotic technology and a propos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은;한정혜;백주훈;김진오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5-270
    • /
    • 2010
  • 로봇 전문지식에 대한 객관적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개발한 로봇기술자격시험에는 초등학생도 응시할 수 있는 급수가 있으며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의 심사를 받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활성화인데 반해, 아직 로봇기술자격시험에 대한 초등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기술자격시험의 추진배경 및 검정 기준, 자격증 운영 조직, 내용 및 출제 방향, 급수별 검정 내용, 문제 예시 및 응시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로봇기술자격시험 4급이 초등학생을 주 타깃으로 실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문제의 난이도 및 측정 내용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로봇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일학습병행제 NCS기반자격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연계 과정 개발 연구: 기계설계기사 자격 사례 (A Study on Curricula Development to Accommodate Both Course-Based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Program and NCS Based Certificate Program of Work and Study in Parallel: A Case on the Qualification of Mechanical Design Engineer)

  • 최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1-59
    • /
    • 2019
  •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제를 운영하는 계약학과 입장에서 NCS기반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교과 편성이 가능한가에 대한 연구로 두 자격 간 주요내용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기계설계 직무중에서 과정평가형 자격으로 공고된 기계설계기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양측 자격의 편성 기준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향후 운영상의 문제점을 예측하고 극복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일학습병행제와 과정평가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전문 교육기관으로 공급자 중심의 교육훈련과 수요자 중심 기술 자격의 격차를 최소화하고 학습근로자의 학업 성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현장주도 교육과정 편성이 용이하도록 몇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간 융합 타당성 탐구 (Explor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Qualifications and the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 김영준;권량희;도명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82-91
    • /
    • 2021
  • 이 연구는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의 융합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문헌의 수집 및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현행 추진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제도의 한계와 반성을 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인평생교육 학적토대 및 정의체계 구축,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전문역량 경력개발경로 설계,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기반의 유관기관 재구조화,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자격 유형 고도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이란 종합 범주에서 자격의 가치와 기능이 아주 중요하다는 측면을 비롯하여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기반화 관점과 적용모델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로봇교육을 위한 로봇기술자격증 현황 및 제언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on Qualification Test of Robotic Technology for Robot Education)

  • 백주훈;김진오;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1-58
    • /
    • 2011
  • 국내외적으로 STEM교육과 창의성 신장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로봇교육이 주목받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최근 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 로봇경진대회, 영재교육 등을 중심으로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에 대한 전문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로봇기술자격시험이 개발되어, 초등학생에서 일반인가지 그 응시규모가 해마다 늘어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의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로봇교실이 활성화인데 반해, 아직 로봇기술자격시험에 대한 초중등 교사에 대한 인식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봇기술자격시험의 추진배경 및 검정 기준, 자격증 운영 조직, 내용 및 출제 방향, 급수별 검정 내용, 응시자 현황분석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로봇기술자격증의 현황을 살펴본 바, 문제의 난이도 및 측정 내용에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로봇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이 뒷받침이 필요하며, 방과 후 교실과 연계하여 자격증 시험을 확대하는 등의 향후 로봇교육의 객관적 인지적 평가기준으로서 자리매김 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민간경비 자격검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Qualification Criteria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 최정택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143-167
    • /
    • 2009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선진국은 민간경비산업의 전문화를 위해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합리적이지 못한 선발기준과 교육시스템 운영으로 과점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직업면허제도'를 통하여 자격증 소지자나 경비업체, 교육기관 및 위탁자의 지대추구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경비산업 종사자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자격증 발급 및 지정교육기관을 통한 기본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적은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 선발 및 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찾아본 결과, 이원화된 검정제도와 교육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그리고 경비업체 운영자 및 최고관리자(임원)의 전문성과 운영능력에 대한 검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원화 되어있는 경비지도사 자격증 제도와 경비원 교육 이수 제도를 '공인자격검증제도'로 단일화하며, 그 자격검정 대상은 관련 종사자 전체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한 과점현상으로 발생되는 후생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율경쟁이 가능하도록 지정교육기관의 수를 늘리고 경비원들의 교육 및 취업(업체) 선택에 자율권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최소화 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부터 이해관계자, 시민단체 까지 모두 참여하는 거버넌스 네트워크 형태의 '민간보안산업위원회'와 같은 새로운 관리 감독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