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e efficiency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폰을 활용한 항공사의 협업 사례 연구: 훈련 기간과 운영 기간의 차이 분석 (An Asian Airline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Collaboration: From Training to Operations)

  • ;;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03-313
    • /
    • 2018
  • 공항에서 품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항공사 직원들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지식을 개발하여 공유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항공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협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적응적 구조화 이론과 미디어 일치성 이론에 근거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미디어 일치성, 생산적 산출물로 이어지는 이론적 프레이워크를 개발하였다. 아시아에 거점을 둔 항공사A를 대상으로 훈련 및 운영 기간 동안 33명 인력으로부터 S사에서 제작한 10대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대화한 내용이 담긴 6개월간의 음성 파일을 수집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에 기초하여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따라 훈련 기간과 운영기간으로 나눠 이 음성 파일을 분류했다. 정성적 정량적 콘텐트 분석에 기반을 둔 훈련 기간과 운영 기간 간 차이 분석결과, 사회적 상호작용 단계에서는 갈등 관리에서 업무 관리로, 미디어 일치성 단계에서는 품질에서 양으로, 생산적 산출물 단계에서는 효율에서 몰입으로 주요한 전환이 발생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사 현업 인력들이 훈련기간 스마트폰 기능의 학습에 중점을 두는 반면, 운영 기간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지식 관리를 수행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생물체(生物體)로부터 천연화합물(天然化合物) 추출(抽出)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II보(報) : 지방(脂肪)을 제거한 치자로부터 치자색(色) 색소(色素) 추출(抽出)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Natural Compounds from Plants and Microorganisms Part 2. Extraction of Orange-yellow Pigment from Defatted Gardenia)

  • 유주현;유승곤;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6
    • /
    • 1975
  • 미쇄(微碎)한 치자분말(粉末)에서 Orange-Yellow 색소(色素)를 추출(抽出)하면 짧은 시간(時間)에서 $log\;t^{1{\cdot}15}$에 비례(比例)하였고 최적(最適) 추출시간(抽出時間)은 30분(分)이 선정(選定)되었으며 온도(溫度)가 상승(上昇)함에 따라 $log\;T^{3{\cdot}73}$에 비례(比例)하였고 최적(最適) 추출온도(抽出溫度)는 $40^{\circ}C$가 선정(選定) 되었으며 시료(試料) 0.1 g당(當) 용매량(溶媒量)의 증가(增加)에는 $log\;S^{3{\cdot}7}$의 색소(色素) 추출량(抽出量)을 나타냈고, 지방(脂肪)을 완전(完全)히 제거(除去)한 시료(試料)는 전혀 제거(除去)하지 않은 시료(試料)보다 $0.6(O.D\;448\;m{\mu})$만큼의 좋은 추출효과(抽出效果)를 보였다. 이들을 綜合하여, $P_{total}{\simeq}1.15\;log\;t+3.73\;log\;T+3.7\;log\;S-4X-6.4$ $P_{total}$: total amounts of extracted orange-yellow pigment from Gardenia. t: extraction time $(0.5{\sim}60\;min)$ T: extraction temperature $(5{\sim}50^{\circ}C)$ S: volume of solvent $(5{\sim}50\;ml)$ X: fat contents $(0{\sim}15%)$ 와 같은 수정(修正)된 실험식(實驗式)을 유도했다.

  • PDF

노후산업단지의 쇠퇴 영향요인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Typology and Factors Affecting the Decline in Old Industrial Parks)

  • 박환용;박지호
    • 부동산연구
    • /
    • 제27권4호
    • /
    • pp.7-20
    • /
    • 2017
  • 본 연구는 노후산업단지의 쇠퇴영향요인을 진단하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노후산업단지를 유형화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노후산업단지의 재생방안으로 연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착공시점을 기준으로 20년이 경과한 94개소 노후산업단지에 대해 17개 지표를 측정 및 분석하였으며, 그 중 장치산업단지 5개소를 제외한 89개소 노후산업단지의 15개 지표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15개 지표는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1은 '시가화 가능성', 요인2는 '생산 효율성', 요인3은 '기반시설 쾌적성', 요인4는 '입지 잠재성', 요인5는 '지원시설 충족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5개 요인점수의 하위 25%에 해당하는 산업단지를 추출하고 어떠한 쇠퇴영향요인이 잠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인분석 결과 시사점은 '시가화 가능성'은 산업단지내 입주 기업업종과 토지이용과의 관련성을 내포하고 있다. '생산효율성'분야는 기업들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지원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반시설 쾌적성'요인은 자생적인 재생유도보다는 정부 및 지자체가 직접 관여하여 물리적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입지잠재성' 요인은 광역급 인프라 구축, 산단내 기반시설의 개선 및 정비, 지가상승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를 고려하거나 산업구조고도화를 위한 업종변경 등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원시설 충족성'은 필요한 지원시설 공급을 위해 노후산업단지의 정확한 쇠퇴진단을 통해서 유휴부지를 발굴하거나 국 공유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겠다.

Nutritional and productive parameters of Holstein/Zebu cows fed diets containing cactus pear

  • Borges, Lucas Daniel Alcantara;Rocha, Vicente Ribeiro Junior;Moncao, Flavio Pinto;Soares, Camila;Ruas, Jose Reinaldo Mendes;Silva, Fredson Vieira e;Rigueira, Joao Paulo Sampaio;Costa, Natanael Mendes;Oliveira, Laura Lucia Santos;Rabelo, Walber de Olive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73-138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scertained effects of cactus pear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roughage in the diet of F1 Holstein/Zebu cows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inges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Methods: Eight cows with $72{\pm}11$ days of lactation were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simultaneous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used: Diet 1, sorghum silage as exclusive roughage; Diet 2,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dry matter basis); Diet 3,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cv. Roxo) as exclusive roughage; Diet 4,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The roughage:concentrate ratio was 75:25. Results: Dry matter intake (p = 0.01) was higher with sorghum sil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dry matter intake (p = 0.01), crude protein (p<0.01), ether extract (p = 0.01), non-fibrous carbohydrates (p<0.01)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p = 0.01) among the diets. Cactus pear in the diet reduced water intake by 44.52% (p<0.01). The nitrogen balance was 59.71% and 27.49% lower in animals treated with exclusive sorghum silage and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relation to diets with elephant grass and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respectively (p<0.01). The diets did not influence the milk production (p = 0.70), 3.5%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p = 0.72) or feed efficiency (p = 0.61). Conclusion: The association of cactus pear with sorghum or elephant grass silage does not alter milk production, reduces the intake of dry matter and water and improves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건설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의 대안 제시 (Using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to Resolve Construction Labor Shortage Problems)

  • 이복남;우성권;장철기;구본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969-974
    • /
    • 2006
  • 국내 건설현장 기능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현재 국내 건설현장은 신규 인력 진입 저조에 따른 공급 부족과 기능 인력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등 양적, 질적인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여기에 현재 계획되고 있는 대규모 국가사업으로 향후 건설현장 기능 인력의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건설현장 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의 공급 확보 정책은 시대의 흐름과 기술 발전에 따른 미래 전망을 고려해볼 때,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며, 기술적 접근을 통해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기술 발전을 통한 기능인력 수요 감소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 프로세스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야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기능인력 수요 저감의 핵심이 되며 연구개발 노력이 필요한 분야로서 1) 건설 자동화 및 기계화 확대를 통한 기능 인력의 대체, 2) 고성능 건설 자재 개발 및 활용으로 현장 작업량 저감, 3) 정보화 기술 도입으로 현장 작업대기 시간 감축에 의한 생산성 향상, 4) 모듈화, 선조립, 공장제작 등 선작업 방식의 적용을 통한 현장 기능 인력 수요 저감 및 생산성 향상, 5) 재설계/재시공 예방으로 추가 작업 발생 방지, 6) 기능 및 직종 통합에 의한 다기능 인력 양성, 7) 시공 프로세스 개선에 의한 작업 생산성 향상 등의 7가지 주제를 제시하였다.

Effect of Different Seasons on the Performance of Grey Giant Rabbits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 Bhatt, R.S.;Sharma, S.R.;Singh, Umesh;Kumar, Davendra;Bhasin, 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6호
    • /
    • pp.812-820
    • /
    • 200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90 progeny (winter -74; summer -59; rainy -57) of 12 Grey Giant rabbits (10 female +2 males),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seasons in a year, on their reproductive, growth and productive performances along with feed efficiency,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The daily meteorological attributes recorded during winter (October to March), summer (April to June) and rainy (July to September) seasons, and analysed were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rainfall. Various biological parameters recorded were doe weights at mating and kindling, litter size at birth, litter weight at birth, kit mortality, litter size at weaning, litter weight at weaning, weekly body weight up to 98 d and weaner mortality. Individual weight gains, dressing percentages, meat weights, liver weights, raw-pelt weights, processed pelt weights and processed pelt areas at slaughter on d 84 and 98, respectively were also recorded. The feed and fodder compositions and their nutritive values during different seasons were also analysed. Average ambient temperature during winter, summer and rainy seasons were $13.2{\pm}2.8$, $22.4{\pm}3.7$ and $24.8{\pm}2.3^{\circ}C$, respectively.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and total rainfall for winter, summer and rainy seasons were $68.9{\pm}1.5$% and $48{\pm}26.6$mm, $66.3{\pm}4.8$% and $125.6{\pm}56.8$ mm, and $77.3{\pm}1.3$% and $116.3{\pm}90.4$ mm, respectively. The weight of doe at mating and kindling, litter size at birth, litter weight at birth and litter size at weaning were comparatively higher whereas litter weight at weaning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as compared to summer and rainy seasons. The kit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while the weaner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rainy season. At 84 d, the live weight per doe, slaughter weight, dressing percentage and liver weigh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than summer and rainy. Similarly, the gain in weight and meat weight at 84 and 98 d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The weight of raw pelt and processed pelt were recorded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while no difference in the area of processed pelts during different seasons could be observed. No difference in the biological performance could be observed between sexes in any of the seasons. Roughage analysis revealed comparatively higher crude protein percent and lower crude fibre percent during summer and rainy seasons than in winter. The roughage dry matter intake was comparatively higher during summer and rainy seasons vis-a-vis constant amount of concentrate supplied during all the three seasons.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whereas that of crude fiber, acid detergent fibre and cellulose were negative during winter. Interestingly, the feed:gain was exceedingly well during winter than in other seasons and it is concluded that it was the best season for production of rabbits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Lactobacillus reuteri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율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to Laying Hens on Laying Performance, Availabi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 김상호;박수영;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5-271
    • /
    • 2004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가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480수를 공시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채취한 L. reuteri avlbro2 배양물이었으며 첨가수준은 0.1, 0.2, $0.4\%$였다. 산란율은 $0.2\%$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P<0.05), 난중은 모든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1일 산란량 역시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첨가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모든 첨가구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계란의 중량등급별 분포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왕란과 특란의 비율이 향상되고 대란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LR $0.4\%$첨가구가 건물 및 조단백질 이용율이 무첨가 대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 및 Haugh unit, 난황색은 처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장과 맹장 내용물의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유산균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E. coli와 Salmonella는 처 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 급여는 산란율과 난중, 산란량이 증가하고 사료효을이 개선되었으며 영양소 소화율의 증진 및 장내 유익균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것으로 생각한다.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생육시기별수도(生育時期別水稻)의 가리부족(加里不足)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 -II 수량(收量)에 대(對)한 가리결제(加里缺除)의 영향(影響) 및 수량(收量)과 양분함량(養分含量)과의 관계(關係) (Sensitivity of rice Plant to Potassium Stress of Various Growth Stages -II Effect of potassium depression on grain yield and its relation to nutrient content)

  • 박훈;목성균;김성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3-175
    • /
    • 1974
  • 수도생육시기별(水稻生育時期別) 2 또는 3 주간(週間)의 가리결제(加里缺除)가 수량(收量), 수량구성인(收量構成因) 및 영양함량(營養含量)에 대(對)한 영향(影響)을 진흥품종(振興品種)을 사용(使用) 사경재배(砂耕栽培)(1973년 K 40ppm)로 검토(檢討)하였다. 1. 수량(收量)의 분산분석(分散分析)은 2 주결제(過缺除)에서 1% 수준(水準)의, 3주결제(週缺除)에서 5%수준(水準)의 처리간(處理間)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2.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회감(悔感)한 시기(時期)는 출수(出穗)까지 2주간(週間)(42% 감수(減收))이고 이를 중심(中心)으로 멀어짐에 따라 감수성(感受性)은 점차 감소(減小)하였다. 이앙후(移秧後) 30일간2주간결제(週間缺除)는 모두 증수(增收)하였으나 3주결제(週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출수후(出穗後) 약(約) 30일(日)까지 가리결제(加里缺除)는 감수(減收)되었다. 3.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확지수(收穫指數), 등숙율(登熟率) 및 입중(粒重)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가지며 수당입수(穗當粒數)와도 상당히 관련되어있으며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 상대전건물생산량(相對全乾物生産量)은 주당수수(株當穗數), 수당입수(穗當粒數) 및 엽초십간에서만의 K 또는 K/Ca+Mg와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다. 이는 근(根)의 가리(加里)는 수기(受器)의 건설(建設)과 생산구조(生産構造) 및 효율향상에 기여(奇與)하는 반면 엽초십간의 가리(加里)는 급기(給器) 즉(卽) 생산구조(生産構造)의 건설(建設)에 주(主)로 기여(寄與)하는 것을 의미(意味)한다. 4. 상대수량(相對收量)은 근(根) 및 엽초십간중의 K와, 근중(根中)의 K/Ca+Mg 또는 결제처리전(缺除處理前)에 대(對)한 후(後)의 이의 비율(比率)과 유의상관(有意相關)을 갖는다. 이는 가리부족(加理不足)이 근(根)에서 크게 일어나며 K/Ca+Mg는 K보다 근(根)에서 K 부족시(不足時) 더 큰 의미(意味)를 갖는 것을 나타난다. 5. 수량(收量)과 관련(關聯)하여 한 부위(部位)에서의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 역할(役活)과는 생육전기간(生育全期間)에 동일(同一)하다고 한다면 엽신(葉身)에서는 3% 엽초십간에서는 4% 근(根)에서는 1%가 호적수준(好適水準)이다. 근(根)에서 K/Ca+Mg는 2.5로서 이 값은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 불변(不變)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가리결제(加里缺除)로 Na가 증가(增加)하는데 가리부족(加里不足)에 가장 감수성(感受性)이 적은 시기(時期)의 엽초에서 특히 현저하여 K결제(缺除)에 대(對)한 감수성(感受性)이 큰 시기(時期)(생육후기(生育後期)) 또는 기관(器管) 근(根)에서는 Na의 K부분대체역할(部分對替役割)이 극미(極微)한 것으로 보였다.

  • PDF

광역에너지이용 통합 최적화 운전 시스템 개발 및 경제적 효과 (Development and Economic Effect of Integrated Optimum Operation System using Wide Area Energy)

  • 이훈;김래현;장원석
    • 에너지공학
    • /
    • 제18권4호
    • /
    • pp.221-2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수도권 지사별 실태 및 영향인자 진단 분석을 통해 개별지사와 연계지사간의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운전을 할 수 있는 최적화 운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실제보다 최적화 운전시 어느정도 경제적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지사별 실태조사를 통해 보일러, 펌프, 관련Tag(온도, 압력, 연료량)등 다양한 인자를 진단/분석하였고 최적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방대한 1년간 데이터를 인자별 Data base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지사별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한 결과, 최적화 선호도는 "소각장 >한전수열 >CHP >PLBs >PLBw"이었으며 연계를 제외한 각 지사별 실제운전과 최적화 운전 비용차이가 거의 없었다. 한편, 통합운영 최적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와 동일한 총 생산열량과 동일한 한전수열량과 같은 고정인자는 변동치 않고 단지 연계공급/수급열량만을 프로그램을 통해 최적조건(가장 저렴하고 효율적인 열량을 우선공급하는 조건)으로 효율적으로 운전한 결과, 사계절별 임의로 선정된 2~4일에 대한 일일 절감율 2.45~6.80%, 일일 절감액 22,727천원~60,077천원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겨울철에 제일 많은 수요량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절감비용을 얻을 수 있었고 수요량이 적은 여름철이 절감비용이 가장 작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1년간 실제 열량 생산비용 대비 연간 절감비용을 환산하면 이론적으로 84억원이며 이는 수도권 전지사의 연간 총 열생산 비용(3,070억원)의 2.74%이상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도구 디자인과 GUI 연구를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Mobile Device Design -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Tool & it's GUI for Office Workers in the Near Future -)

  • 양승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1-42
    • /
    • 2006
  • 본 연구는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새로운 작업 패턴 및 작업공간의 변화에 합당한 적절한 기술과 이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찾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고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사무환경을 급속도로 변화시켜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들의 업무와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모바일기기 디자인의 실험에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 미래 작업환경은 5년의 기술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시각이 적용 되었다. 근 미래의 사무환경의 실험적인 경험을 얻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제공하는 사무환경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이 실험적인 미래 사무공간에서 사용될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합된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인 bON은 근 미래의 사무실에서 사용될 업무를 위한 도구인 동시에 커뮤니케이션 기기이다. 사용자가 자기 자리를 떠나 있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된 bON은 업무와 커뮤니케이션이 하나로 통합된 도구로서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모습을 띠고 있다. bON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기의 물리적인 작업공간으로부터 자유롭게 떠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어떤 시간, 어떤 공간으로도 자신의 업무정보와 개인정보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매우 복잡하고 큰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써 작은 모바일기기인 bON은 사용자의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여러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하고 방대한 기술 및 관련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현장관측과 밀착 인터뷰 등의 실제적인 조사방법을 통한 문제발견은 보다 현실성 있는 디자인 제안을 가능하게 했다. 더욱이 제한된 크기의 스크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각적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GUI의 시도와 제안은 향후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