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ing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to Resolve Construction Labor Shortage Problems

건설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의 대안 제시

  • 이복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 ;
  • 우성권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장철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 ;
  • 구본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관리연구실)
  • Received : 2006.07.06
  • Accepted : 2006.10.31
  • Published : 2006.11.29

Abstract

Labor shortages are a serious problem for Korea's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blem i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here is a shortage in supply as due to a decrease in the influx of new labor, and existing workers are less productive as they age. The problem will only get worse as more and more major public projects are being planned. Options for increasing the labor supply are somewhat limited, and thus efforts need to be made to adopt new technologies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field work and their processes. This paper introduces seven innovation technologies that have the best potential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thus reduce the burden of labor shortage problems. These include 1) Substitution by use of robotics and automation, 2)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Innovative materials to reduce on site field work, 3) increase in productiv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4) improved productiv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odules, and prefabrication, 5) prevention of rework and redesign, 6) diversification of labor by integrating labor skills, and 7) improved productivity by standardizing site processes.

국내 건설현장 기능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현재 국내 건설현장은 신규 인력 진입 저조에 따른 공급 부족과 기능 인력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등 양적, 질적인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여기에 현재 계획되고 있는 대규모 국가사업으로 향후 건설현장 기능 인력의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건설현장 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의 공급 확보 정책은 시대의 흐름과 기술 발전에 따른 미래 전망을 고려해볼 때,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며, 기술적 접근을 통해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기술 발전을 통한 기능인력 수요 감소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 프로세스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야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기능인력 수요 저감의 핵심이 되며 연구개발 노력이 필요한 분야로서 1) 건설 자동화 및 기계화 확대를 통한 기능 인력의 대체, 2) 고성능 건설 자재 개발 및 활용으로 현장 작업량 저감, 3) 정보화 기술 도입으로 현장 작업대기 시간 감축에 의한 생산성 향상, 4) 모듈화, 선조립, 공장제작 등 선작업 방식의 적용을 통한 현장 기능 인력 수요 저감 및 생산성 향상, 5) 재설계/재시공 예방으로 추가 작업 발생 방지, 6) 기능 및 직종 통합에 의한 다기능 인력 양성, 7) 시공 프로세스 개선에 의한 작업 생산성 향상 등의 7가지 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정석(2001) 건설기능인력의 안정적인 확보, 일간건설신문
  2. 심규범(2002) 건설기능인력의 수급실태 및 대응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3. 심규범(2001) 건설기능인력의 수급 현황 및 고령화 실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 원영호 외 3명(2002) 기성 콘크리트 파일 두부정리 자동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Vol. 18, No. 9
  5. 이복남, 우성권(2002) 생산성 향상을 통한 건설현장 기능인력 수요 절감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6. 이준복(2001) 건설 자동화시공 장비개발 및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Vol. 17, No. 7
  7. 조영석(2002) 원자력발전소의 효율적인 시공관리를 통한 생산성 향상. 건설관리,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3권 제2호
  8. 건설연구사(1995) 건설공사표준품셈
  9. 현대산업개발 발표(1997) 경부고속철도 노반공사 4-2공구 공법사례
  10. 일간건설신문(2002) <심층진단> 현장기능인력 수급대책 있나(2)
  11. 한국물가자료협회(2000) 월간물가자료
  12. ACI (2001) The US Concrete Industry Technology Road Map
  13. Burleson et al. (1998) Multi-skilled labor utilization strategies i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4, No.6
  14. CII (1999) Strategic Planning Committee Vision 2020,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15. CII (2001) Determinants of Craft Labor Productivity,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RS 143-1
  16. Haas, C. T. and Fagerlund, W. R. (2002) Preliminary Research on Prefabrication, Pre-assembly, Modularization and Off-site Fabrication in Construction.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17. Jergeas, G. and John Van der Put (1999) Constructability - realizing the benefits, PMI 1999 Annual Sympos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