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solving process

검색결과 1,655건 처리시간 0.029초

중학생의 환경에 대한 지식, 신념, 태도가 쟁점 기반의 환경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s)

  • 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118-130
    • /
    • 2007
  •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ents'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about environment on environmental issue-based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Therefore, we first developed the test instruments to measure second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belief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Then,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issue-based teach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environmental issue-based approach that consist of 3 lesson over an three weeks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beliefs are effective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 environment class. First, secondary school students knew well ecological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problem, and was entertaining most ecological beliefs. Seco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having attitude which is most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rd, secondary school students are referring necessity of development partially about environment point at issue of country level. But, they were retaining situation of preservation about environment point at issue of area level. It's not eas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ecause of many different variables, but the results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student's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ability applying environmental issue-based learning. And it's necessary to develop many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teacher's instruction method to enrich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issue-based learning.

  • PDF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Characteristics in Problem Solving)

  • 강윤수;김민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41-26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추론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섯 명의 고등학생들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에게 다양한 전략적 접근이 가능한 개방형 과제를 부과한 후, 그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관찰하였다. 문제해결 과정을 그들이 작성한 답안지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생들은 과제를 접할 때 문제이해 없이 성급하게 계산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학생들은 스스로 선택한 전략의 결과에 대해 수학적 근거를 고려하여 정당화하기보다 정답을 구했는지에 대해 더 관심이 많다. 셋째, 문제해결에 필요한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학생들은 과제와 관련된 선행지식을 활용하는데 능숙하지 못하다. 다섯째, 학생들은 지나친 일반화로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PDF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Mathematics)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이수기;윤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46-7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H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4명으로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17명 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STEAM 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과학과정 기술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전체 문제해결 능력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STEAM 활동 경험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Effects of Mental Capacity and Size of Chunk of Problem Solver and Mental Demand of Problem on Science Problem Solving

  • Ahn, Soo-Y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30-1043
    • /
    • 2002
  •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provides us a theoretical base from which we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human problem solving.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problem solving of the two kinds of tasks (content free, content specific). And the other purpose was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critical situ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Even the items of tasks with the same logical structure and content knowledge could have different sizes of mental dem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ntal demand of the problem, and the problem solver's mental capacity, might be the main factors in problem solving. Critical situation of both a group and an individual existed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free knowledge (FIT 752 task).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 in the tasks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electric circuit task).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for each individual in the task that need content specific knowledge, the critical situation of an individual existed in problem solving, but the critical situation of a group was not existed by were summed up the individual results.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의 진화 과정 분석과 과제 (A Study on the Evolution of 'Social problem-solving R&D model' in Korea)

  • 성지은;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83-110
    • /
    • 2023
  • 이 연구는 정부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진화과정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이 한국 사회에 자리 잡는 과정을 분석한다. 기업, 과학기술계, 시민사회에도 없었던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이 정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형성되고 이 모델에 따라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조직공동체가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새로운 혁신모델인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 그것을 지원·수행하는 조직공동체, 새 모델을 지원하는 제도가 공진화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틀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새로운 혁신모델이 형성·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종합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R&D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정책 방안을 다룬다.

농촌마을 내 사회자본이 주민주도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업무담당자들의 시각을 중심으로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Rural Communities in the Context of Developers)

  • 김정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64
    • /
    • 2014
  • With a shift in the rural development process toward a bottom-up approach, the need to enhance the endogenous capacity of communities has become the core of rur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scholars have paid close attention to social capital to identify ways to facilitate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but focused mainly o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local environment. That i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its various dimensions in the context of rural development initia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community residents'rural development initiatives and assesses the types of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such initiatives to propose optimal path for improving this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major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considering various stages of the rural development process. The survey considered a sample of 59 employees from public rural development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four paths were significant at the 5% level. Among these four paths, three set common goals. The effective channel was the path [common goals${\Rightarrow}$network${\Rightarrow}$cooperation${\Rightarrow}$problem-solving ability]. The key factor in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the endogenous ability of community residents to facilitate rural development initiatives. The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s should strengthe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help residents set their common goals.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 윤일규;김종혜;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4
    • /
    • 2010
  • 지금까지의 정보 교과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래밍 학습 결과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 및 타 교과에서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과 달리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개방형식의 전문가 설문과 연구자 숙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중등 정보 교과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연관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이며, 조작적 정의와 정보교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교과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학적 모델링 과정을 반영한 교과서 문제 재구성 예시 및 적용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reforming textbook problems for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 박선영;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3호
    • /
    • pp.289-309
    • /
    • 2018
  • There has been a gradually increasing focus on adopting mathematical modeling techniques into school curricula and classrooms as a method to promot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commonly realized in today's classrooms due to the difficulty in developing appropriate mathematical modeling problem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reformulation strategies for those problems with regard to mathematical model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across three grade levels, the majority of problems related to the real-world focused on the Operating and Interpreting stage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hile no real-world problem dealt with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extbook problems cannot provide students with any chance to decide which variables are relevant and most important to know in the problem situation. Following from these results, reformulation strategies and reformulated problem examples were developed that would include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These reformulated problem examples were then applied to a 7th grade classroom as a case study. From this case study, it is shown that: (1)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authentic events and questions would encourage students to better engage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nd solving the problem, (2)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the Identifying variables stage would better foster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nd their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and (3) the reformulated problems that included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could be applied to lessons where new mathematical concepts are introduced,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school classroom's incorporation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with specific reformulating strategies and examples.

대수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擬似(의사) 분석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에 대한 분석 - 중학생 대상의 사례 연구 - (An Analysis of the Pseudo-analytical Thought and Analytical Thought that Students Do in the Process of Algebra Problem Solving)

  • 박현정;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67-9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의 결과로 나타나는 성공과 실패에 대한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유사성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정답을 제시한 학생들의 사고과정이 반드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사(擬似) 분석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에 대한 Vinner(1997a, 1997b)의 연구내용을 근거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 연구 분석 결과, 학교 성적이 중상위권인 2명의 연구대상자들은 각각 의사(擬似) 분석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를 함으로써 대수 문장제 해결에서 성공하거나 실패하였다. 학생들의 의사(擬似) 분석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의 특징은 구조적 유사성의 구성에서 각 연구 대상자들이 인식한 해법 공식이 변형이 가능한 것인가의 여부와 해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 자신의 사고를 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해법으로 인식하는 공식의 형태가 어떠한 것이며, 그러한 해법을 어떻게 적용하는가를 유사성의 관점에서 문제 해결의 성공 여부와 관련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Balancing Redox Equations by Senior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Mental Capacity and Problem Solving Methdos)

  • 김충호;이상권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3-363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과학고 학생들의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른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여 산화 환원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일반고 학생 79명과 과학고 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요량 검사, 산화 환원 반응식 완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 유형별로 학생들의 문제 풀이 실패 유형과 성공 유형을 추출하여 분석틀을 개발하고 개발한 분석틀에 의하여 정신용량과 풀이 방법에 따라 실패 사례와 성공 사례를 분석하여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았다. 일반고 학생들과 과학고 학생들 모두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낮을수록 미정계수법을 많이 선택하였으며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신용량이 클수록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았다. 또한, 산화 환원 개념 이해 정도가 높은 학생들은 산화수법이나 이온 자법을 더 많이 선택하였고 정신용량에 관계없이 문제 풀이의 성공률이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풀이 과정을 분석한 결과 성공 유형은 산화 환원의 개념 이해 정도가 높고 풀이 방법에 관계없이 풀이 단계 수를 줄이 학생들이었다. 실패 유형은 물이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미정계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계산 과정 중 틀린 경우, 미정방정식을 잘못 세운 경우 문제 풀이 과정중 고려해야 할 변인을 모두 고려하지 못한 경우 풀이 과정이 복잡하여 중단한 경우였다. 산화수법을 선택한 학생들의 실패 유형은 산화수를 잘못 결정한 경우 질량균형 또는 전하균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