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solving Skills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강혜승;김윤영;이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D와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4학년 184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IBM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60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9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45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은 문제해결능력(r=.537, p<.001), 의사소통능력(r=.507, p<.001), 자기효능감(r=.54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 능력에 대해 문제해결능력(${\beta}=.283$, p<.001), 자기효능감(${\beta}=.249$, p<.001), 전공 지원동기(${\beta}=.182$, p=.002), 의사소통능력(${\beta}=.176$, p=.016), 대인관계(${\beta}=.101$, p=.082)의 순으로 총 42.8%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에서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게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DML(Debriefing for Meaning Learning)를 적용한 응급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Effectiveness of Simulation Prctice Education on Emergency Using Debriefing for Meaningful Learning of Nursing Student)

  • 김소명;김수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577-1586
    • /
    • 2021
  • 본 연구는 DML(Debriefing for Meaning Learning[이하 DML])를 적용한 응급 시뮬레이션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D 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중 중재군 38명, 대조군 35명, 총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비판적 사고능력(t=-3.144, p=.002), 문제해결 능력(t=-3.248, p=.002), 의사소통 능력(t=-4.051, p<.001)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DML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에서 PBL 기반 영어과학수업을 위한 문제 개발 연구 (Problem Development for PBL-based English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38
    • /
    • 2020
  •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문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초등학교 영어과학 수업에 적합한 PBL학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 개발을 위해 교육 내용 파악 단계, 학습자 특성 파악 단계, 문제 발견 단계, 역할과 상황 설정 단계, 문제 작성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개발 단계를 바탕으로 Y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어 교과 과정 중 하나인 영어과학 수업에서 PBL 학습법이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5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 여전히 많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업, 모범 답안을 위한 지식 습득, 획일적인 평가가 아닌 21세기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반드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발표력,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PBL 학습법에 적합한 문제 개발은 지속해서 연구되어야 한다.

수학 교과에서의 상황맥락적 문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 (A study of th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situation-contextual problem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민경;민선희;김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2호
    • /
    • pp.149-1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and to show efforts o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inking skills. In this research, two hund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and the status abou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As a result, most of teachers replied that situation-contextual problem would be useful and applicable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and creative thinking skill.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 SUNG, Eunm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249-2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respondents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life-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 the data set was analyzed that nationally collected from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I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680 samples were used in the study that were 343 males and 337 females of university students. A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er score th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ll variables. Also, learning agility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Thinking skills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융합수업 운영이 사회맞춤형교육과정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onvergence Learning on Self-Oriented Learning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in Social Customized Curriculum)

  • 김혜숙;송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99-107
    • /
    • 2020
  • 본 연구는 융합수업 운영이 사회맞춤형 교육과정 간호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전공만족도 및 취업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비교연구로, C대학의 교육과정을 수강한 간호학과 졸업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융합수업 적용 전보다 적용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전공만족도는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요구에 맞는 간호대학 내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답안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과 대학 내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o Measur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박인숙;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0-23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3차원 평가 틀(과학내용, 과학 탐구 기능, 사고력)을 개발하였으며, 이 평가 틀에 맞추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현장 과학 교사들의 검토를 거쳐 예비 검사에 투입할 3과제로 구성된 4개 문항을 확정하였고,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문항의 구체적인 채점 기준과 배점을 결정하였다. 완성된 최종 검사 도구는 내용 및 평가 기준에 대한 과학 교육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의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중학교 1, 2, 3학년 320명에게 투입되었으며,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받았다. 채점 결과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틀과 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교 급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급성 흉통환자간호 실습교육의 효과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Acute Chest Pain)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15-1521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급성 심근경색증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적용하고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규명한 단일군 전후 원시실험설계이다. 대상자는 총 137명이었으며 중재기간은 2011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6주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시행하고 중재 전후를 평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17.0을 사용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사고가 증대될수록 문제해결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판적사고 능력과 문제해결력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프로그램은 간호학생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임상현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실습교육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더 다양하고 적절한 실습교육방법에 대한 개발과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Perception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3-134
    • /
    • 2017
  •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technological advances continue to sweep through the computing world, and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has become globally instituted. In South Korea, informatics subjects have been modified in the 2015 curriculum and are now compulsor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despite substantial financial investment and numerous studies promoting informatics education, there continues to be a serious lack of pre-service teachers capable of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their perceptions of App Inventor, and how use of the program affected teacher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In the pre-test,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ost-test reveal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itially showed interest in using App Inventor; however, after practice-teach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growing negativity toward the program when they made errors and the functional limits of App Inventor became apparent. Although most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ould not use App Inventor in their classes, the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indicate tha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a basis for building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App Inventor and creating an educational plan for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 조연순;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9-343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하여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을 내용 지식, 과정 지식, 창의적 사고 기능의 3요소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내용 지식은 에너지, 변화, 구조, 상호작용, 안정성의 5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과정 지식은 관찰, 분류, 측정, 의사소통, 추론, 예측의 기본 과정 지식과 가설설정, 실험설계, 실험, 자료수집 및 처리 통합적 과정 지식으로 구성하였다. 창의적 사고 기능은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로 규정하고, 확산적 사고의 요소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비판적 사고 요소로는 적절성, 신뢰성, 정교성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창의적 사고 기능이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보고 5가지의 과학적 문제해결 단계를 선정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확산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의 요소들을 각각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