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performance

검색결과 927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김선옥;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4-43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searc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CC)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P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L) and CC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208) given to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NOVA and Scheffe's test. Moreov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sults: Proving Solving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SC.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SL)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academic performance of last semester, support for nursing, and SC. Moreover, PS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SL and CC, and SL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CC. Conclusion: Education strategy should include methods of increasing the PS of student to improve CC in nursing education. Moreover, SL education should be used to increase nursing tasks and effective adaptation to their circumstances as a clinical nurse after graduation.

물리문제(物理問題) 해결과정(解決過程)에서 중학생(中學生)들의 사고과정(思考過程)의 특성(特性) 분석(分析)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nking Processes in Solving Physics Problems)

  • 박학규;이용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7
    • /
    • 1993
  •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nking processes and problem spaces when they solved the physics problems. Ten ninth grade students in Chon-Buk Do,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ir thinking processes in solving 5 physics problems on electric circuit. "Thinking aloud"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es were recorded using an audio tape recorder and transfered into protocols. The protocols were analyzed by problem solving process coding system which was developed by Lee(1987) on the basis of Larkin's problem solving proces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On the average 2.85 items were solved among 5 test items, and only one person could solve all of the items correctly. (2) Problems were solved in sequence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planning, carrying out the plan, and evaluating steps regardless of the problem difficulty. (3) In regard to the thinking process ste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ood solvers and the poor ones. But in the detail performance of problem solving, the former was different from the latter in respect with using the design of general solving procedure. (4) The basic problem spaces by the item analysis were divided into two classes. One was the problem space by using Qualitative approach in problem solving, and the other was one by using Quantitative approach. As novices in physics problem solving, most of the students used the problem space by using the Quantitative approach.

  • PDF

공대생들의 협동학습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 및 갈등관리 유형과 팀 수행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Team Performance i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안정호;임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0-45
    • /
    • 2011
  •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공대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 및 갈등관리유형이 팀 수행 성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공대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갈등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능력 증진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팀 수행 성적이 상, 하위 30%에 해당하는 집단 간에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의 두 가지 차원(변화에 대한 지향, 의사결정의 중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위권은 대개 개량스타일(76.7%)과 과제중심스타일(65.1%)에 해당된 반면, 하위권은 혁신스타일(72.2%)과 사람중심스타일(86.1%)에 해당되었다. 갈등관리유형의 경우, 상위권은 경쟁논리형(22.8%)과 순응타협형(17.7%), 하위권은 순응타협형(20.3%)과 방임체념형(12.7%)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문장제 해결에서 구조-표현을 강조한 학습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Learning to Solve Word Problems through a Structure-Representation Instruction.)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3호
    • /
    • pp.361-384
    • /
    • 2003
  • 본 연구는 연립일차방정식에 관한 문장제에서 IDEAL 문제 해결 모형을 바탕으로 "구조-표현"을 강조한 교수-학습을 실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구조-표현을 강조한 학급의 학생들이 이를 강조하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동치문제, 동형문제, 유사문제를 더 정확하게 구별하였다. 또한, 구조-표현을 강조한 학급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급의 학생들보다 문맥에 대한 이해 및 불완전한 정보 추출에서의 오류, 미지수간의 내적 관계에 대한 수학적 기호표현으로의 불완전한 전이 오류, 적절하지 않은 방정식 생성 오류의 발생 빈도가 적었다. 그리고, IDEAL 문제 해결 모형의 문제의 확인 단계(I)와 문제의 정의 단계(D)에서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문제를 읽고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직접 변환 모델과 구조 도식 모델이 나타났다.

  • PDF

연구개발팀의 환경 성숙도 및 인지적 다양성과 정서적 수용이 연구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Maturity, Cognitive Diversity and Affective Acceptance on the Performance in the R&D Team)

  • 박경환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1-1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odel of performance in new product R&D project te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blem solving. The quality and commitment of the problem solutions in R&D project team depend on the team's cognitive diversity and affective acceptance. The higher cognitive diversity is, the higher quality of solutions is. And more affective acceptance is, more commitment to the problem solving is. The environmental maturity of team, and quality and commitment of problem solutions in R&D project teams are supposed to relate to the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PDF

문제해결학습의 알고리즘 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lgorithm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 이영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73-178
    • /
    • 2020
  •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과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과의 협업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인재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과학 기반의 인공지능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해서는 문제 해결 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해결 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을 받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의 컴퓨팅 사고력 진단을 실시한 결과와 학기 말의 만족도 조사와 학업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진단한 결과와 문제 해결 학습, 교수법, 강의 만족도, 기타 환경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 해결 학습이 강의 만족도와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해서 문제 해결 학습 기법과 함께 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추구한다면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ly Gif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G-CPS) model)

  • 남흥숙;박문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3-22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의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존의 영재교육 자료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수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와 연산영역의 내용과 관련된 '연산빙고게임'을 토대로 수학영재학급의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창의적 산출물 평가틀'의 요소 중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별로 속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수행 능력에 있어서 모든 학생이 점차로 향상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구성주의 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tructivist Science Program on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mong Young Children)

  • 박혜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01-424
    • /
    • 2008
  • 아동의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활동을 지향하는 구성주의 과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13주에 걸쳐서 실시한 집단(26명)과 비교집단(27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이 모두 향상되었다. 창의성중 뚜렷한 향상을 보인 영역(유창성, 독창성, 정교성)과 그렇지 않은 영역(개방성, 추상성)이 발견되었다. 반면 모든 문제해결력의 영역(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능력, 문제에 대한 결론짓기)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있어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서의 앨리스(Alice) 활용 사례 연구 (Study on Applying Alice for Supportive Methodolog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 백정희;주문원;최영미;임영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1-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을 멀티미디어공학의 특성에 맞는 교과과정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3D 인터랙티브 저작도구인 앨리스를 사용하여 설계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업에서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의 각 단계가 구체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앨리스를 활용한 설계프로젝트가 멀티미디어공학부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서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함을 보였다.

  • PDF

공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질문생성 전략 활용 플립러닝 수업 설계 (Design of Flipped Learning with Strategic Questioning to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Engineering)

  • 임경화;안정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5-81
    • /
    • 2016
  • 본 연구는 교과지식에 기반하여 공학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으로 질문생성 전략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제시하고 있다. 설계한 플립러닝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정규학부 공학교육과정과 재직자 계약학과 공학교육과정에 적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적용사례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및 평가 의견을 조사하고 학습자 문제해결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이후 수업 설계에서 보다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