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Efficacy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9초

실습교육 평가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 (Learning Motivations,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76-6186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 수기술 향상을 위해 사전 동영상 학습방법을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상관성 조사연구였다.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간호과 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기본간호학실습 만족도, 사전 동영상 시청의 도움정도, 체크리스트 활용 실기평가의 적절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문제해결과정은 전공만족도, 기본간호학실습만족도, 사전 동영상 시청의 도움 정도, 체크리스트 활용 실기평가의 적절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학습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과정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사전 동영상 학습방법을 활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평가방법은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과정과 관련이 있었다.

임상 실습과제 방법에 따른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팀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만족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 김정효;박미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2-490
    • /
    • 2014
  • Purpose: This research compares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ask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eaching methods applied to nursing students, and determines whether variations exist. Method: This research experimen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a nonequivalent group. The subjects were 36 learners of action learning methods and 39 learners of nursing course methods, and the research took place from October through December 2012. Results: Prior to the training, the general features and measurable variables of the two groups of subjects were similar, and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in both groups were elevated compared to pre-training. In particular, in comparison with the nursing course,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scores, the action learning method receiving high scores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2.92, p=.005) and task satisfaction (t=2.54, p=.013)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ors not only conduct th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teaching methods, but also incorporate action learning.

문제중심학습 기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사실험 연구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a non-randomized trial)

  • 송영아;김민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9-23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based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in the nursing care of women undergoing induction of labor.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52 nursing students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in the first week, and then engaged in self-directed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simulation. In the second week, lectures about emergency nursing care for induction of labor and drug administration were give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PBL in the first week and lectures in the second week.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7 to May 19,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sher exact 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Before-and-aft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t=-5.47, p<.001) and self-efficacy (t=-5.87, p<.001). Critical thinking abil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core for satisfaction with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program was 3.64±5.88 out of 5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PBL education using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Although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PBL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strategy to enhance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Stress,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n Subjective Happin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

  • 변은경;김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67-17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41.91±9.53점이었다. 주관적 행복감은 학업스트레스(r=-.523, p<.001)와 부적상관관계, 자기효능감(r=.515, p<.001), 문제해결능력(r=.466,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스트레스(β=-.351, p<.001), 자기효능감(β=.255, p<.001), 문제해결능력(β=.132, p=.049)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7.2%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하기 위하여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고,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연하;김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89-598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의 2학년 간호학생 404명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 형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5월 2일부터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ANOVA, t-test, Scheffe test, Person's 상관계수와 multiple stepwis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08(0.42)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38점(0.38)점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의 총점은 평균 102.42(13.50)점이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t=4.53, p=.034), 학점(F=14.42, p<.001), 대인관계(F=8.25, p<.001)와 전공만족도(F=18.4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성별(t=8.07, p=.005), 학점(F=4.57, p=.011), 대인관계(F=8.82, p<.001) 및 전공만족도(F=13.16,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문제해결능력은 학점(F=8.58, p<.001), 대인관계(F=6.63, p=.001)와 전공만족도(F=14.2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1.7%이었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열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변은경;박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45-25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열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B시의 간호대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평균 4.00±0.51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는 전공만족도(F=9.476, p<.001), 수업만족도(F=3.079, p=.048)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은 학습열의(r=.560,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r=.634,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학습열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r=.769,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열의(β=.177, p=.031), 학업적 자기효능감(β=.498, p<.001)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1.0%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열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Survey on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Skill and Self-efficacy on Patients Safety Competencies)

  • 김효선;한숙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98-608
    • /
    • 2016
  • 본 논문은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정하여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6개월 이상 경력의 임상간호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환자안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제해결능력(${\beta}=.403$, p<.001)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beta}=.156$, p=.005),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beta}=.137$, p=.002), 비판적 사고성향(${\beta}=.130$, p=.018)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는 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에 대해 42.3%(adj $R^2=.423$) 설명하였다(F=20.305, p<.001).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은 학부과정에서부터 강조되는 것으로 실제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안전을 최일선에서 다루는 임상간호사에게는 더욱이 필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의료기관 자체 내에서 임상간호사를 위한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전략과 활동들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환자안전사고 발생 시 적극적인 보고를 독려하는 한편 환자안전사고 보고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면밀히 사정하여 보완하여 보고율 향상과 더불어 환자안전역량 강화에도 힘써야 할 것이다.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강혜승;김윤영;이홍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D와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4학년 184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IBM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60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9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45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은 문제해결능력(r=.537, p<.001), 의사소통능력(r=.507, p<.001), 자기효능감(r=.54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 능력에 대해 문제해결능력(${\beta}=.283$, p<.001), 자기효능감(${\beta}=.249$, p<.001), 전공 지원동기(${\beta}=.182$, p=.002), 의사소통능력(${\beta}=.176$, p=.016), 대인관계(${\beta}=.101$, p=.082)의 순으로 총 42.8%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에서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게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학 문제 해결력과 자아 효능감 (Chemistr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 전경문;서인호;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4-220
    • /
    • 2000
  • 고등학생 96명 (남 : 48명, 여: 48명)을 대상으로 자아 효능감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차이(편향)를 조사하였다. 먼저 수리 문제와 개념 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묻는 자아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자아 효능감 검사에서 제시된 것과 동일한 수리 문제 10문항과 개념 문제 10문항으로 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였다. 수리 문제 해결력 검사 점수가 개념 문제 해결력 검사보다 더 높았으나, 문제의 유형에 따른 자아 효능감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편향 점수는 수리 문제에 비하여 개념 문제에서 더 높았다. 수리 문제에서의 편향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 성과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단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위 수준 남학생의 편향 점수가 상위 수준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대부분의 상위 수준 남학생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 평가하였지만, 상위 수준 여학생은 과대 평가하는 경우보다 과소 평가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 PDF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on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Perception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3-134
    • /
    • 2017
  •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technological advances continue to sweep through the computing world, and education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has become globally instituted. In South Korea, informatics subjects have been modified in the 2015 curriculum and are now compulsor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despite substantial financial investment and numerous studies promoting informatics education, there continues to be a serious lack of pre-service teachers capable of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 programm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their perceptions of App Inventor, and how use of the program affected teacher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self-efficacy. In the pre-test,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post-test revealed that the two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itially showed interest in using App Inventor; however, after practice-teach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growing negativity toward the program when they made errors and the functional limits of App Inventor became apparent. Although most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would not use App Inventor in their classes, the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efficacy indicate tha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a basis for building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App Inventor and creating an educational plan for teaching computational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