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str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Efficacy

화학 문제 해결력과 자아 효능감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e difference (bias) between self-efficacy and chemistry problem-solving ability was investigated for 96 (male: 48, female: 48) high school students. A self-efficacy instrument was administered, which asked the confidence in solving algorithmic and conceptual problems successfully. Their chemistry problem-solving ability was then assessed with 10 algorithmic and 10 conceptual problems as same in the self-efficacy instrument. Although students had higher scores in the algorithmic probl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lf-efficacy to solve the two different forms of problems. Therefore, the bias scores in the conceptual problem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algorithmic problems. Two-way ANOVA results for the bias in the algorithmic problems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the previous achievement level. Analysis of simple effects indicated that the bias scores of high-achieving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igh-achieving girls. While most high-achieving boys were in the overconfident category, high-achieving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underconfident category.

고등학생 96명 (남 : 48명, 여: 48명)을 대상으로 자아 효능감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차이(편향)를 조사하였다. 먼저 수리 문제와 개념 문제의 성공적인 해결에 대한 자신감을 묻는 자아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자아 효능감 검사에서 제시된 것과 동일한 수리 문제 10문항과 개념 문제 10문항으로 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력을 측정하였다. 수리 문제 해결력 검사 점수가 개념 문제 해결력 검사보다 더 높았으나, 문제의 유형에 따른 자아 효능감의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편향 점수는 수리 문제에 비하여 개념 문제에서 더 높았다. 수리 문제에서의 편향에 대한 이원 변량 분석 결과, 성과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단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위 수준 남학생의 편향 점수가 상위 수준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대부분의 상위 수준 남학생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 평가하였지만, 상위 수준 여학생은 과대 평가하는 경우보다 과소 평가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