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ability.Statistics educ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초

교란순열에 대한 역사적 탐색과 교육적 확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Historical Analysis and Educational Extension on Derangement)

  • 서보억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1-77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of mathematical exploration through history'. In recent school educati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nd as a result, the study has conducted a study on permutations. Permutation is used in a variety of fields, and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eran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was made at current school mathematics level and academic mathematics level for Derangement. Seco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derangement was examined. Third, based on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was decided to be 'Derangement number's triangle(Rencontres number's triangle)', and the inquiry for education expansion was carried out. Fourth, we have presented data on concrete educational expansion by discovering various mathematical facts of the Derangement number's triangl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 and the presentation of new inquiry directions.

일본의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 최근 10년간을 중심으로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Trends in Japan - Focused on the last 10 years -)

  • 진영수;강홍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1-355
    • /
    • 2014
  • 이 연구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일본수학교육학회 발행의 학술지 '산수교육'에 게재된 논문 196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일본의 초등수학교육의 연구 동향을 제시하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일본의 초등수학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문의 분석 기준에 따라 연구주제로는 '수업설계 및 방법' (36.7%)이, 내용영역별로는 '수와 연산' (47.4%)이, 학년을 기준으로 하면 5, 6학년인 고학년 (21.4%)이 각 조사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다. 특징적인 것으로 학술지 '산수교육'에서는 영재아와 부진아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고 장애아에 대한 연구 (1.0%)는 극소수 이루어지고 있었다.

  • PDF

INCLUSION AND EXCLUSION FOR FINITELY MANY TYPES OF PROPERTIES

  • Chae, Gab-Byoung;Cheong, Min-Seok;Kim, Sang-Mok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2권1호
    • /
    • pp.113-129
    • /
    • 2010
  • Inclusion and exclusion is used in many papers to count certain objects exactly or asymptotically. Also it is used to derive the Bonferroni inequalities in probabilistic area [6]. Inclusion and exclusion on finitely many types of properties is first used in R. Meyer [7] in probability form and first used in the paper of McKay, Palmer, Read and Robinson [8] as a form of counting version of inclusion and exclusion on two types of properties. In this paper, we provide a proof for inclusion and exclusion on finitely many types of properties in counting version. As an example, the asymptotic number of general cubic graphs via inclusion and exclusion formula is given for this generalization.

수학수업의 흥미유발을 위한 수학사 및 예화자료 연구 - 수학I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y of Mathematics and Illustrations for Interesting in Mathematics Classes - Centering on Mathematics I of Highschool -)

  • 이덕호;이만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59-67
    • /
    • 2000
  • This study has been done to help teach mathematics on the spot of education by provid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illustrations concerning mathematics, which were rearranged for the level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highschool and intented to interest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es. The contents of teaching, according to each unit (Matrix, Sequence, Limit, Differentiation, Integration, Probability, Statistics) include the life of the representative mathematician, the historical background centered on episodes, questions linked with reality, questions making sensations in history and something for maxim in mathematics. If such contents are properly used, they are expected to be able to stimulate students' curiosity, a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ability in mathematics by causing them to show their ac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mathematics.

  • PDF

NOTE ON STRONG LAW OF LARGE NUMBER UNDER SUB-LINEAR EXPECTATION

  • Hwang, Kyo-Shi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1호
    • /
    • pp.25-34
    • /
    • 2020
  • The classical limit theorems like strong law of large numbers, central limit theorems and law of iterated logarithms are fundamental theori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ese limit theorems are proved under additivity of probabilities and expectation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trong law of large numbers under sub-linear expectation which generalize the classical ones. We give strong law of large numbers under sub-linear expecta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al sums and some conditions similar to Petrov's. It is an extension of the classical Chung type strong law of large numbers of Jardas et al.'s result. As an application, we obtain Chung's strong law of large number and Marcinkiewicz's strong law of large number for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random variables under the sub-linear expectation. Here the sub-linear expectation and its related capacity are not additiv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Multinomial Parameters with Known or Unknown Crossing Point

  • Lee, Ju-Young;Oh, Myongsi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6권3호
    • /
    • pp.947-956
    • /
    • 1999
  • We define a crossing point $x_0$ such that f(x)$\geq$g(x) for x$\leq$$x_0$ and f(x)$\leq$g(x) for x>$x_0$ where f and g ar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We may encounter suchy situation when we compare two histograms from two independent observations. For example two contingency tables where initially admitted students and actually enrolled stud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high school ranking may show such situa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cell probabilities when a crossing point exists, We first assume a known crossing point and find an estimator. The estimation procedure for the case of unknown crossing point is just a straightforward extension. A real data is analyzed for an illustrative purpose.

  • PDF

베이즈 추론을 수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의 실제 의미에 대한 일고찰 (A consideration of the real meanings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선용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
    • /
    • 2024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intellectual triggers for Bayesian inference and what key ideas contributed to its occurrence and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y reflecting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need for statistical inference about the parameter itself served as a trigger for the occurrence of Bayesian inference, and the most important idea for the occurrence of that inference was to regard the parameter itself as a probability variable rather than any fixed value. On the other hand,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is 'statistics education that expands the scope of uncertainty'.

중등교과과정에서의 사건의 독립에 관한 연구 -수학 개념들 간의 연결을 중심으로- (Stochastic independence of ev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course -Focusing on the connections between math concepts-)

  • 김성래;서종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99-214
    • /
    • 2012
  • 확률과 통계에서 사건의 독립 개념은 중요하고 유용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등 학교에서의 사건의 독립에 대하여 조사하고, 사건의 독립과 관련된 수학 개념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사건의 독립과 관련된 하위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사건의 독립과 관련된 개념들 간의 연결이 부분적으로 나타나 하위 개념과 상위 개념들 간의 연결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획득 영상의 정보 해석 : 유화의 영상 정보를 중심으로 (Oil Painting Analysis with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Acquired Image)

  • 류호;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63-167
    • /
    • 2018
  • 영상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확률적으로 디지털 영상을 해석하는 상황에서 참조영상이 정확한 경우는 이 영상을 기준으로 영상들의 공통부분을 추출하여 유사도를 판정하며 참조영상이 가변적인 경우는 획득영상을 기반으로 그 위에 몽타주영상을 작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영상들의 공통부분을 추출하여 유사도를 판정할 수 있다. 반면 미술작품의 진위판정과 같은 경우는 참조영상을 통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진위를 가리는 것이 어렵다. 이런 경우는 기술적인 부분보다 작가의 견해 전문가의 의견 등을 종합해서 결정해야 하는데 기술적 측면에서도 참조영상이 없으므로 해당 작가의 유사한 다른 그림의 특징점을 참조영상으로 정하여 진위파악을 진행한다. 특히 유화는 붓의 질감에 따른 다양한 특징을 볼 수 있기에 본 논문에서 유화의 특징점을 통해 해당 작가의 그리는 습관을 통계적으로 해석해보고 분석하여 작가의 동일함 여부에 대하여 고찰해본다.

짝 도우미 협력학습이 중학교 2학년 확률 및 도형영역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air Assistant Collabo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Figures)

  • 신행자;김성아;심규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61-2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짝 도우미 협력학습이 중학교 2학년 확률, 도형의 성질과 도형의 닮음 등 세 영역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9년 가을 학기에 OO도에 소재하고 있는 한 여자중학교의 2학년 2개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협력학습은 실험집단에서 매주 2-3회씩 문제해결 시에 실시되었고, 각 단원 종료 시에 두 집단 모두에서 학업성취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학업성취도검사와 설문조사는 통계처리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짝 도우미 협력학습은 확률과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효과적이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짝 도우미 협력학습을 통하여 집단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반성하고 공동체 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