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Brand Preferenc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PB제품의 구매선호도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B(Private Brand) Products Preference)

  • 박영근;김창완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89-201
    • /
    • 2002
  • 최근 유통시장의 개방과 외국의 대형 유통업체의 국내 진출과 대형 도 소매점의 등장등으로 인해 국내외 유통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IMF 체제 이후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며 가치 지향적인 구매 행동이 증대되고 있고, 제품의 가치를 고려해서 보다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계획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NB제품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다는 경쟁우위만을 지니고 있던 과거의 전통적인PB 제품개념과는 달리 품질면에서 NB와 유사하거나 혹은 그보다 더 월등하면서도 가격면에서는 다소 저렴한 PB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PB제품은 수입 및 라이센스 브랜드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고객의 욕구에 대한 탐색 및 개발전략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으로는 PB제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택한 변수 들, 즉 가격의식성, 정보탐색 경험 품질지각 등이 PB제품 구매선호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PB제품의 실제 구매경험이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자료들을 토대로 연구가설들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PB제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대형 도 소매업체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PB제품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대형 할인점 의류 PB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lothing PB(Private Brand) Preference of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s)

  • 신수연;홍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3-354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intrinsic cues, extrinsic cues, private brands familarity, store loyalty) influencing clothing PB preferenc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cision types.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from 316 female customers in front of the discount sto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using T-test,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private brand preference were influenced by store loyalty and PB familiarity. Secondly, Differences are found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cision types. That is the price-conscions consumers regard store loyalty, PB familiarity, extrinsic cues, and PB preference more importantly than the value-conscious consumers.

쇼핑가치와 상표제휴가 인터넷 쇼핑업체의 PB의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 and Brand Alliances on Purchasing Behavior for Apparel Products of Internet Private Brand)

  • 황선진;김희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7-258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consumer's shopping value, brand alliances and apparel product involvement on purchasing behavior. The subjects of 172 hedonic shopping value and 208 utilitarian shopping value were chosen to participat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main results of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an Internet Private Brand(PB) did not form brand alliance with a National brand(NB), utilitarian shopping value consumers did not differ in preference irrespective of whether product involvement was high or not. However, when the PB formed brand alliance with well-known NB, the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the high involvement apparel product than the low involvement product. 2. When an Internet PB did not form brand alliance with well-known NB,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consumers' word-of-mouth intent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apparel product and low involvement apparel product. 3. It was revealed that when an Internet PB did not form brand alliance,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consumers showe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than that of the low involvement product.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Chemyon(Social Face) and Consumption Sit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and Brand Preference)

  • 정보라;김미정;윤지현;이주화;한지수;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15-24
    • /
    • 2022
  • 본 논문은 자기제시와 브랜드 선호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과 사용상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충남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공적 사용 상황에서든 사적 사용상황에서든 상징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두 가지 상황 모두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자기제시의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면민감성의 주효과는 공적 상황에서 기능적 브랜드 선호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할 뿐 다른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제시와 체면민감성의 상호작용효과를 보면, 공적 상황에서든 사적 상황에서든 체면에 대한 민감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들은 자기제시 수준과 무관하게 브랜드 선호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용 상황이 공적이든 사적이든 체면민감성은 자기제시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침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중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욕실디자인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 수도권 브랜드 아파트 거주자의 연령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Rates of Bathroom Design in Mid-class Apartment Residents - Focused on Residents's age of Brand Apart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 신경주;황윤정;이지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2-2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fundamental sources and guidelines of bathroom designs of brand apartments in Korea. The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conditions of bathroom, satisfaction rates, and preference rates of residents in Mid-sized apartment units of the top five brand apartments based on construction capacity and brand popularity. A total of 427 samples, acquired via internet survey,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SPSS PC+ window version 15.0. The conclusions of the article are as follows: 1) Fixtures and products which fulfill various behaviors, as well as multi-functional space programming, are demanded. 2) Developing clear standards of basic bathroom fixtures and environments is also required in further research and to be applied to practical bathroom design. 3) The bathroom fixtures and environments ought to accommodate all age groups. 4) Respondents preferred a separated dry floor, either toilet or sink portion, to a full-dry or full-wet floor. 5) Respondents of all age groups considered bathroom as a private space, thus it should facilitate various privat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dequate and sound bathroom design as key information.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 제휴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소재 브랜딩을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the Alliance between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Focused on Ingredient Branding-)

  • 조성도;정강옥;박진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2호
    • /
    • pp.3-22
    • /
    • 2004
  •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는 경쟁관계로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유통업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품질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조업자 브랜드와 제품의 일치 정도가 중간일 때 소비자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에서 기능적 위험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능적 위험이 높을 때는 소비자들이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의 높은 일치성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능적 위험이 낮을 때는 중간정도 일치할 때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다.

  • PDF

유인 및 타협효과가 유통업체 브랜드(PB)의 선택확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Attraction and Compromise Effects on Choice Probability of Private Brands)

  • 최영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06-1814
    • /
    • 2015
  • 유통업체에서 PB(Private Brand)의 선택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 PB보다 열등한 다른 PB를 사용하는 전략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고자 2개의 현실적인 실험방법을 통해 PB의 유인 및 타협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업체 브랜드(NB; National Brand)와 PB에 새로운 브랜드인 무상표(GB :Generic Brand)를 추가한 경우 유인 및 타협 효과가 발생하여 PB의 선택확률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1에서는 NB와 PB의 특성상 경쟁대안과 표적대안의 선호도와 선택확률의 차이가 많은 경우에도 유인브랜드 진입 시 표적대안인 PB의 선택확률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2에서는 경쟁사 PB를 열등한 대안에 위치시킬 때도 유인효과가 발생하여 자사 PB의 선택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통업체 상표의 지각된 정보단서가 이의 지각품질, 지각희생 및 선호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Private Brand′s Perceived Cues on It′s Proneness)

  • 김성배;전인수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6권2호
    • /
    • pp.19-40
    • /
    • 2002
  • 기존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통업체 상표가 제조업체 상표에 비해 평균 23.3%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갖는다고 한다. 하지만 유통업체 상표가 소매점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미국의 경우 25-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4%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그 이유를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상표가 갖는 정보의 단서효과에서 찾고 있다. 유통업체 상표가 갖는 정보단서가 이의 선호로 연결되는 과정을 지각가치의 수단-목표모델로 설명하여 10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은 E-마트 서부산점에서 포장소비재를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중 흥미로운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재단서 중 상표태도가 유통업체 상표의 정보단서로서 가장 중요하며,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내재단서가 정보단서로 중요함이 새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제조업체 상표를 준거가격으로 사용하는 지각가격도 유통업체 상표의 정보단서로 중요하였다. 끝으로, 정보단서와 선호를 연결하는 지각가치를 구성하는 두 요소인 지각품질과 지각희생 중 지각품질만이 유통업체상표 선호와 정(+)의 관계를 보여, 혁신층에 가까운 4%는 위험추구적 성향이 강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경기지역의 대형할인점 유통업체브랜드(PB) 선호특성에 대한 실증연구 (A Empirical Study on Preference Property for the Private Brand(PB) of Large Discount Stores in Gyeonggi-Do)

  • 김정인;이재학;한규백
    • 유통과학연구
    • /
    • 제5권2호
    • /
    • pp.101-117
    • /
    • 2007
  • 최근 유통산업의 성장과정에서 신유통업태의 등장과 대형할인점의 다점포화 전략으로 유통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대형할인점들은 저가격 전략 및 상품차별화 등을 위해 유통업체브랜드(Private Brand: PB)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 경기불황으로 인해 실용적이고 합리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신세대 주부 및 직장인이 주요 고객층으로 자리 잡으면서 과거 지향해 오던 저가전략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될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최근 대형할인점들은 신규고객 확보를 위해 지방 출점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간 소비자 태도, 소득 및 소비패턴 등의 격차로 인하여 지방출점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형할인점들은 출점지역의 고객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유통업체브랜드(PB)의 소비자 선호의 지역간 특성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다. 즉, 이러한 유통업체의 경쟁적 지방 점포확장과 소비자의 가치관의 변화는 지역간 출점을 앞두고 있는 대형할인점에 대한 PB상품 선호와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PB상품 선호도와 선택된 변수들을 중심으로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의 구매의도와 관련하여 경기지역 도시의 지역간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