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Concern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2초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and User Resistance in the Big Data Age)

  • 이환수;임동원;조항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5-139
    • /
    • 2013
  •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빅데이터 기술은 대량의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 수집, 저장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원하지 않는 민감한 정보까지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해당 기술의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표적 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는 서비스이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이 올린 수많은 개인 정보로 인해 오히려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생성하거나 공개한 정보일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활용되거나 제3자를 의해 악용되면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환경에서 인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의 과잉이 프라이버시 위험과 염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사용자 저항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설문과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개인정보 과잉 현상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자아불일치 및 공동체 의식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rivacy Concerns, Self Discrepancy and Sense of Virtual Communities)

  • 곽수환;류성열;이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60-369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아불일치 및 커뮤니티의 공동체 의식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먼저,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가 자아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터넷 사용기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은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을 고려하였으며, 커뮤니티에 대한 공동체 의식 요인은 소속감과 몰입감을 고려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 중 정보에 대한 수집, 통제, 인식의 요인 중 인식의 요인만이 자아불일치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때 인터넷 사용기간은 정보의 인식 및 통제가 자아불일치에 주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자아불일치가 커뮤니티에 대한 소속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불일치가 소속감에는 부(-)의 영향을 주지만, 몰입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Social Log-in Service

  • Kim, Yujin;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93-200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로그인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를 유발하는 원인 및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주인-대리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 모델을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염려와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각된 위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따라 소셜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잠재적 손실보다 기대되는 이익이 클수록 사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로그인 서비스 기업들이 고객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서비스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정보보안우려감이 e-신뢰도와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환비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E-Trust and E-Loyalty : The Moderating Role of Switching Cost)

  • 문윤지;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14
  • 인터넷의 등장으로 기업은 보다 효율적으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B2C 영역에서 인터넷정보우려감과 e-신뢰도, 그리고 e-충성도 간 상호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인터넷정보우려감에 관한 기존연구의 구성요인들을 통합함으로써 보다 총체적인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인터넷정보보안우려감의 세 가지 요인들은 e-신뢰도를 통해 e-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e-신뢰도는 e-충성도와 정보보안우려감 간 관계에서 매개요인 효과를 보이는가?, 마지막으로 전환비용은 e-신뢰도와 e-충성도 간 관계를 조절하는가?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호텔 웹사이트를 통해 숙박을 예약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가설과 e-신뢰도의 매개효과, 그리고 전환비용의 조절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개념적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정보보안우려감, e-신뢰도, e-충성도 간 관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제공하였으며, 실무적 차원에서는 날로 그 시장이 커지고 있는 온라인 시장에서 충성도를 관리할 수 있는 주요요인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The role of corporate image and privacy concerns in adopting online travel services

  • Tapanainen, Tommi;Nguyen, Thi Thanh Hai;Dao, Kien Trung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3호
    • /
    • pp.1-2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rporate image and privacy concerns in intention to use of online travel services using data from Vietnam.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to a student sample at the Foreign Trade University in Hanoi, which has a high concentration of young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online travel in Vietnam. The paper based questionnaire was directly delivered to the respondents. After sorting to eliminate unfit samples, the number of responses was 541, which exceeds 500, the minimum number typically required. To test the hypotheses,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structs in the model. We also us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coefficient to evaluate the total impact of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online services.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corporate image is positively associated to intention to use online services. It found a link between corporate image and privacy concerns, which suggests another way for firms to address their customers' privacy concerns; corporate image, which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in traditional offline sales channels, but not in online services, should receive higher attention in IS research. Online travel businesses, besides increasing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trust in their services, should focus on build a reliable corporate image, which can not only promote the service use but also help to eliminate users' the privacy concerns.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Privacy on Online Environment)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3-186
    • /
    • 2014
  • 스마트 미디어 시대에 온라인 환경에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 포탈 웹 사이트, 기업 웹 사이트 등 인터넷에 연결된 정보시스템의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 중 하나는 정보프라이버시 염려 관련 되어 있다. 따라서 국내외 정보시스템, 마케팅, 기타 분야의 주요저널을 중심으로 프라이버시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프라이버시 염려 관련 국내외 연구의 리뷰를 통하여 연구경향과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을 고려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 PDF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집합적 효능감이 이용자들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ocial Network Services)

  • 채성욱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39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became popular and many users disclose their personal and sensitive information like private story, photographs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posting and sharing. Despite the privacy concerns in SNSs, individuals continue to disclose their identity online. This phenomenon is called 'privacy parado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NS context and to explain privacy paradox phenomenon. Drawing upon the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306 individuals.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e 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elf-disclosure while privacy risk is nega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However, privacy concern i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disclo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self-disclosure was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페이스북에서의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 연구 : 듀얼팩터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 Privacy Paradox in Facebook Based on Dual Factor Theory)

  • 유재호;이애리;김경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47
    • /
    • 2016
  • People use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o share information, to express themselves, and to strengthen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Meanwhile, problem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infringement become a social issue and thu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bout inappropriate collection a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 in SNSs (e.g., Facebook). Although people have privacy concerns in SNSs, they behave in a contradictory way, voluntarily presenting themselves and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phenomenon is called 'privacy paradox'. Using dual factor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privacy paradox by looking into enablers (e.g., self-presentation) and inhibitors (e.g., information privacy concern) for continuous use of Facebook that can co-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also includes antecedents of self-presentation (i.e., narcissism, need for affiliation,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and thos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e., previous experience of privacy infringement, privacy awareness, and privacy control). The results show that most hypothesized relationships were supported. These findings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SNS providers who want to promote continuous use of SN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enhanced privacy policies are required,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issues in SNSs.

  • PDF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프라이버시 우려에 관한 연구: 운동추적기 사례를 중심으로 (Users' Privacy Concerns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Case of Activity Trackers)

  • 배진석;정윤혁;조우제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3호
    • /
    • pp.23-40
    • /
    • 2015
  • 최근 등장한 IoT(Internet of Things)는 개인과 기업에게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IoT의 정착은 빅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환경을 만듦으로써,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IoT 기술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해 주는 이면에, 다양한 프라이버시 침해요소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사용자가 IoT 서비스를 사용할 때 느낄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는 장기적으로 사용자의 수용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IoT 산업의 빠른 발전속도에 제동을 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oT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를 세 가지 측면(기술적 위협, 서비스제공자의 위협, 정책에 대한 신뢰)에서 살펴보고 프라이버시 우려에 미치는 영향 수준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Information Sharing on Blogosphere: An Impact of Trust and Online Privacy Concerns

  • Chai, Sang-M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1권3호
    • /
    • pp.1-18
    • /
    • 2011
  • Blog have become very popular with Internet users as one of the latest forms of online communication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tools. However, blogs generate growing concerns regarding information privacy issues. This study,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presents results about blogger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The 157 surveys are collected from a large university in the eastern U.S.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rust which has four second order factors: economy based trust, trust in reciprocity, trust in other bloggers and trust in social interaction positively affects blogger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However, onlin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blogger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