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index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2초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 안제준;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치료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훈련받은 치료사(Horticultural Therapist)가 실시하는 원예활동에 대상자가 참여하는 치료(Therapy)의 공간으로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원예치료는 대상자의 치료를 위한 '의학모형'이며 원예치료정원은 대상자와 원예치료사의 활동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특성화된 공간임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의도적 표집에 의해 모집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Delphi)기법과 AHP기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각 평가지표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과 원예치료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관련 공무원 75.2%, 원예치료사 87.8%로 두 직군 모두 원예치료정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원예치료를 실시함에 있어서 치료정원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두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4개의 원예치료정원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요소가 도출되었다. 셋째, 가중치가 적용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계층분석기법을 적용, 각 지표별 상대적 중요도 및 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프로그램의 계획과 활용', '사회적 상호작용', '지속가능한 환경', '보편적 디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원예치료정원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하여 종합가중치를 활용하였다. 평가지표의 가중치 적용은 평가점수에 AHP를 이용한 종합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평가지표들 간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토대로 가중치와 변환점수를 분석하여,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및 평가점수표'를 최종 작성하였다. 가중치가 적용된 평가표를 활용하여 기존에 조성된 원예치료정원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개선점을 도출할 경우, 전문가의 의견에 따른 항목별 중요도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사항별 중요도를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개선할 수 있으며, 원예치료정원의 신규 조성 시에도 계획단계에서 원예치료 활동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으로 주요 지표를 미리 파악함으로서 가이드라인이 설정이나 기타 효율성 증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 만경강 대상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 홍일;강준구;강수진;여홍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13-220
    • /
    • 2012
  • 국내 구하도의 경우 많은 부분 하도 직강화에 의해 자연하천에서의 사행을 제한함으로써 절단된 형태로 남아있으며, 현재는 매립되어 타용도로 이용되는 육화형과 습지형 구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습지형 구하도는 일부 농업용수 공급에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질악화, 수위저하, 육역화, 생태계 교란 등 관리 미흡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하도의 보전 또는 복원을 통한 하천관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를 대상으로 기능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 등 4개 속성의 21개 평가지표를 토대로 이뤄졌으며 각 속성별 가중치에 따라 계량화하여 수행하였다. 만경강의 습지형 구하도는 자연성과 서식처 속성의 평가결과가 양호한 반면 친수성과 수질 속성의 평가결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량이 풍부하지 않고 부영양화가 진행된 지점의 경우 주변환경의 관리가 더욱 미흡한 관계로 타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평가결과는 향후 하천공간 확보라는 하천의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홍수위험지도 활용을 위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취약도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in the Nakdong River Basin for the Utilization of Flood Risk Mapping)

  • 김태형;한건연;조완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22
    • /
    • 2011
  • 오늘날 홍수재해의 특성은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점점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고, 예측이 불가능한 기상이변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댐 및 제방 등의 수공구조물 붕괴, 또는 내수배제 불량 등으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침수범위의 예측 및 분석을 통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실제로 국가 차원의 홍수위험지도가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있어서 단순한 위험성(hazard)의 개념이 아닌 위험도(risk)개념으로의 확장을 위해 홍수에 노출된 지역의 인구수, 경제적 활동의 형태, 홍수가 발생했을 때 2차적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설비 등을 나타내는 홍수 취약도(flood vulnerability)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고,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여 행정구역별로 세분화된 홍수위험지도 제작을 위한 취약도 지표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된 결과는 각 지자체 및 관련부처에서 효율적인 방재대책 수립 및 치수방재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정량적 자료 및 중요한 가치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북지역 청소년 운동선수 대상 하루 필요 식품군 수 맞춤 점심급식을 병행한 영양교육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ing School Lunch by Personalized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for Adolescent Athletes in Jeonbuk Province)

  • 고강모;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ing school lunch by personalized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adolescent athletes.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sports high school students (educated group, 30 vs. noneducated group 30).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for 4 weeks (40 min/lesson/week). In addition, personalized school lunch was served for 4 weeks, nutrition education period. The personalized lunch were provided Food Exchange Units according to personalized daily needed energy. The lessons were '5 Major nutrients, functions and foods', 'My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 by Food Exchange System', 'My meal plan by food exchange units according to my daily needed energy' and 'Smart choice of healthy snacks and eating outs'. After nutrition educa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intake between the educated and the non-educated group. Results: We observed improvements in lean body mass in the educated group. With regard to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improvements in 'Functions of vitamins', 'Functions of minerals', 'Foods of fat', 'Foods of vitamin', and 'Foods of mineral' in the educated group. In relation to dietary attitude, there were improvements in 'Taking a meal with family and friend', 'Taking a meal at ease', 'Taking a meal with kimchi and vegetables', 'Taking a meal with three kinds of side dishes', 'Priority of choosing snacks' and 'Type of snacks' in the educated group. With regard to dietary intakes according to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re were improvements in intakes levels of fiber, vitamin A, vitamin C, folate, calcium, iron and zinc. The index of nutrition quality, as indicated by nutrition adequacy ratio also improved in the educated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roviding education lessons and personalized school lunch by food exchange units according to daily needed energy showed positive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intake of adolescent athlete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roviding personalized school lunch by Food Exchange Units may improve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intakes of adolescents.

전국단위의 포유류 생물다양성우수지역 분석 연구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 김지연;권혁수;서창완;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53-465
    • /
    • 2014
  •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은 종다양성이 가장 우수한 지역 또는 훼손될 우려가 가장 큼에도 생물상이 가장 다양한 지역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최적지를 선택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전국단위에서 종풍부도, 희귀도를 분석하여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종은 멸종위기 포유류 4종, 일반종 11종 등 총 15종을 선정하였다. 지형, 거리, 식생구조 등을 환경변수로 설정하였고, Maxent(Maximum Entropy Method)를 활용하여 종분포모형을 구축하였다. 종풍부도와 종희귀도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종풍부도를 분석한 결과, 멸종위기 포유류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높고 가파른 산림이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종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저지대 산림에서 종풍부도가 높았다. 두 번째, 멸종위기 포유류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희귀도와 종풍부도가 유사한 공간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종을 대상으로 할때에는 저지대 산림 뿐만 아니라 고지대 산림에서도 다소 희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풍부도와는 다소 다른 공간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추후 생물다양성 평가, 서식지 보전, 생태축 구축, 보호지역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mpact of Marketing Losses on Efficiency in Transacting Banana in Scarce Rainfall Zone of Andhra Pradesh, India

  • Kumar, K. Nirmal Ravi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17
  • Introduction: To analyze the impact of marketing losses on efficiency in transacting banana in Kurnool district of SRZ in Andhra Pradesh and to assess the opinions of the farmers on the constraints in transacting banana. Research back groun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relies exclusively on prim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ana farmers of Kurnool District. Purposive sampling procedure was followed for the selection of the study area. Top two mandals in the district and top two villages in each mandal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rea under cultivation of banana. Probability proportion to size was follow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sample farmers and accordingly 60 marginal, 37 small and 23 other farmers were selected and thereby, the total sample size was 120. Result and Discussion: Three marketing channels were identified in the marketing of banana in Kurnool district viz., Producer ${\rightarrow}$ Local-exporter ${\rightarrow}$ Wholesaler ${\rightarrow}$ Retaile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 Producer ${\rightarrow}$ Wholesaler ${\rightarrow}$ Cart-vendo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I) and Producer ${\rightarrow}$ Juice-holder ${\rightarrow}$ Consumer (Channel-III). With the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in the price spread analysis of banana in all the three channels, the marketing costs of all the intermediaries were increased and thereby,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agencies are on the decline. So, without inclusion of marketing losses, the farmer's share in consumer's rupee and Net Marketing Margins of all the agencies are overvalued. The higher the marketing losses, the more is the negative impact on farmer's net selling price, net marketing margins of the intermediaries and marketing efficiency. The sample farmers are facing major problems in marketing of banana like frequent price fluctuations, unorganized marketing and lack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on priority basis. Suggestions: It is suggested to educate the farmers regarding the optimum maturity index for harvest, use of mechanical harvesters, proper placement of fruits during storage and ripening, better packaging and cushioning technologies to absorb shocks during transportation, strengthening of storage facilities and transport facilities, encourage co-operative marketing etc., to promote marketing efficiency of banana in the study area.

녹지기반성 분석에 의한 보전녹지와 중점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Establishment of Preservative Green Spaces and Potential Focus Areas by the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of the City of Daejeon)

  • 이시영;심준영;장민;허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5-73
    • /
    • 2008
  • 도시공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과 연계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공원녹지 확보 및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GIA 개념도입을 통해 생태적으로 중요한 동시에 훼손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GIA의 개념 및 분석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면서 동시에 개발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규명하고 이를 중점관리지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GIA 개념의 도입을 통해 도시계획과정과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고, 또한 공원녹지 보전의 우선순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국외에서 구축된 자료와 국내 자료와의 상충문제, 스케일 상의 문제 등에 있어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여 보다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계획프로세스 및 지표 선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방산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유망수출품목 선정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Model of Promising Export Items Applicable to the Defense SMEs)

  • 원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21-330
    • /
    • 2020
  • 방위산업은 최근 방산수출과 연계하여 국가의 주력사업으로 대두되었고 방산분야 중소벤처기업 육성은 국정과제로 진행 중이다. 따라서 방산분야 유망수출품목을 조사하고 합리적인 선정기준을 정하는 것은 방산 중소기업 육성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하는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타 유사기관 유망품목 선정기준 등 사례연구를 통해 방산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유망수출품목 선정모형을 제시하였다. 평가지표는 크게 품목 자체 경쟁력, 수출업체 역량, 수출파급효과 등 3가지 평가분야 및 하위 8가지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되며, 항목 간 상대적 가중치는 AHP 설문을 통해 산정하였다. 평가 결과 일정 점수 이상시 유망품목 채택 혹은 타당성 검증을 통한 동의 후 채택 등 단계를 두어 유망품목 후보군을 좀 더 면밀히 검토하고 발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실제 유망수출품목 발굴업무 시 방산분야 관계자 및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본 방법론을 적용하여 업무에 적용 중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형은 중소기업 생산품목 중 상대적으로 수출경쟁력이 높고 방산수출에 적합한 우수품목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다.

AHP 기법을 이용한 BTO 민간투자사업 협상의 주요쟁점 특성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Major Issues in Negotiating Concession Agreement for BTO Projects Using AHP)

  • 노태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34-244
    • /
    • 2007
  • BTO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실시협약체결 협상시 주무관청이나 사업시행자 모두 많은 제약과 리스크를 가지고 협상하게 되며, 협상 결과에 따라 사업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중요한 협상 단계에서 좀 더 효과적인 협상과 결과를 얻기 위하여 협상시 가장 주요한 쟁점들을 추출하고, 이러한 주요쟁점들이 상호간에 어떤 특성을 내포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문헌연구, 연구 보고서 등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발주청, 설계사, 시공사 그룹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Likert 척도, ANOVA 분석, AHP 분석 등을 통하여 주요쟁점들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쟁점들은 공사비 산정, 수익률, 정부재정지원, 사용료 수입보장수준, 운영비 산정, 사용료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또한 그룹별로 6개 항목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리스크를 느끼는 상대적 크기, 항목간의 객관적 자료 제시의 어려운 정도 등이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설계사 그룹과 시공사 그룹은 다소 유사성을 갖고 있으나, 발주청 그룹은 설계사 그룹 또는 시공사 그룹과의 유사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민간투자사업은 계속 증가될 전망이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내용들은 합리적인 협상에 도움 및 민간투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 연구 -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Planning Indicator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Urban Public Space - the Weight Analysis for Activation of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8-598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측면에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언어에서 선별 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접근성, 공공성, 연계성, 공간성, 쾌적성, 장소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접근성, 쾌적성, 장소성, 연계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오픈스페이스의 위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거리에 개방된 공간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