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evacua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of Tourist Hotels with the Fire Alarm Method

  • Moon, Sung-Chun;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363-37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fety of evacuation using the Pathfinder program for the alert at once, the priority alarm method, the priority alarm method for the four floors above, and the sequential priority alarm method,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priority alarm method specified in the tourist hotel building. Currently, in Korea's National Fire Safety Codes (NFSC), fire alarm methods are compulsorily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floors and total floor area of a building. Although the growth rate is getting faster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building structures, it is still an obstacle to improving evacuation safety to comply with the standardized fire alarm method in NFSC.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evacuation time was found to be faster with the priority alarm method for the four floors above than the priority alarm method applied to the specific firefighting object. Compared to the priority alarm method applied to the tourist hotel, which is a specific firefighting target with 5 or more floors and a total floor area of more than 3,000m2, the time was shortened by 3.7 seconds when measured by applying the priority alarm method for the four floors directly above.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select a fire alarm method suitable for th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building rather than applying the uniform NFSC regulations.

행동모드 변화 모델링에 따른 피난시간 비교분석과 활용방안 연구: 지하 주차장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Variation of Modelling of Behavior Modes: Focusing on the Case of Underground Parking Lot)

  • 구기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4-292
    • /
    • 2024
  • 연구목적: 지하 주차장 화재는 동일 규모의 일반화재에 비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의 우려가 크고 소방관의 소화활동 및 인명구조가 용이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물의 피난안전성 평가를 위해 적용되는 피난 Simulation 행동모드의 변화를 기반으로 주차장 이용자의 피난안전성 확보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Pathfind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ASE 별로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준값이 높아질수록 피난시간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ehavior는 Steering Mode 보다는 SFPE Mode에서 시간증가를 나타냈다. Priority는 무순위 지정보다는 우선순위 지정에서 시간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하주차장의 피난안전성 평가을 위한 피난소요시간(RSET)과 피난안전성 확보의 건축물 피난설계는 Simulation의 Behavior Mode와 Priority을 구분하여 평가·반영되어야 한다.

Study on the Safe Evacuation Management in a Power Supply Disturbed Emergency

  • Suzuki, Nobuyuki;OHASHI, Tsubasa;WHORLOW, James R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87-91
    • /
    • 2015
  • For construction projects it is imperative that site management gives the highest priority to planning safe site evacuation for all foreseeable emergencies, including earthquakes and typhoons which are often experienced in Japan.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and even more critical for high risk projects involving underground works, such as Tunneling & Pneumatic Caissons. Based on the safety regulation of underground works, a back-up power supply system must be provided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at all times. Often, fluorescent lamp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are provided for infrequent emergency cases, however these have a questionable useable life span and thus need careful maintenance and periodical replacement. In this paper we focused on using the phosphorescence materials to indicate the evacuation direc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sphorescence materials were considered useful in reducing panic and facilitating a controlled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total black-out due to power failure.

  • PDF

Benefits from Utilizing A Conceptual Model of Indoor GIS Based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 Luo, Wen-Yuan;Ahn, Byung-Ju;Kim, Jae-Jun;Lee, Gwang-Gook;Kim, Whoi-Yul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48-157
    • /
    • 2009
  • When an emergency situation happens in buildings, the top priority is to ensure the occupant from danger as soon as possible. Achieving that goal is a multifaceted and difficult task. However, current evacuation systems have many deficiencies in dealing with the emergency in multi-level structures. The shortage of abilities to continuously update database, predict the future situation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users with contextual information is the limit in current systems. Thus, it is very crucial to introduce Evacuation Information System (EIS), which is able to respond quickly to the emergency, and transfer the information to both the administrator and the occupan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EIS on the basis of the indoor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hen the emergency happens, EIS gives the instruction to Emergency Response Model (ERM) at once. ERM carries out the order and calculate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s, then sends the result to EIS. At last, EIS transmits evacuation messages to the occupant who implements evacuation plan. This paper highlights the benefits of EIS in two aspects. One is that EIS can update the data continuously to support evacuation strategy-making. The other is that it can transmit evacuation messages to both the administrator and the occupant.

피난실험을 통한 피난시간 지연요인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Stagnation Factors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through an Evacuation Experiment)

  • 한운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57-66
    • /
    • 2018
  • 초고층건축물에서 재난 및 화재발생 시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재실자가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는 물리적으로 피난 동선이 길어졌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많아진 재실자로 인해 피난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시켜 피난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3회에 걸쳐 대규모 인원이 참여한 피난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중 나타난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난시간에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을 발굴하고 이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발생한 초고층주상복합건축물 화재에서 방재시스템 운영미숙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사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피난실험을 실시하여 적응력을 확보하였다. 둘째, 피난시뮬레이션 통계와 피난실험에서 수집된 Data 수치를 비교 분석 검증하였다. 셋째, 피난실험 과정에서 실험에 참여가 불가한 다수의 인원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참여 불가사유를 분석하고, 그 내용이 실제 피난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넷째, 피난시간 지연 초래 요인에 대한 최적의 대응 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피난장비를 구입하고, 실험 전후 비교분석을 통하여 피난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점을 도출, 피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를 초고층건축물 소방안전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피난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딥러닝을 이용한 함정 대피 경로 탐색 (Naval Ship Evacuation Path Search Using Deep Learning)

  • 박주헌;유원선;이인석;최원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9권6호
    • /
    • pp.385-392
    • /
    • 2022
  • Naval ship could face a variety of threats in isolated seas. In particular, fires and flooding are defined as disasters that are very likely to cause irreparable damage to ships. These disasters have a very high risk of personal injury as well. Therefore, when a disaster occurs, it must be quickly suppressed, but if there are people in the disaster area, the protection of life must be given priority. In order to quickly evacuate the ship crew in case of a disaster,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quickly explore the evacuation route even in urgent situations. Using commercial escape simulation software, we obtain the data for deep neural network learning with simulations according to aisle characteristics and the properties and number of evacuation person. Using the obtained data, the passage prediction model is trained with a deep learning, and the passage time is predicted through the learned model. Construct a numerical map of a naval ship and construct a distance matrix of the vessel using predicted passage time data. The distance matrix configured in one of the path search algorithms, the Dijkstra algorithm, is applied to explore the evacuation path of naval ship.

Deline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plan, relief camp and prioritization using GIScience

  • Joy, Jean;Kanga, Shruti;Singh, Suraj Kumar;Sudhanshu, Sudhanshu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5
    • /
    • 2021
  • Rising urban flood patterns are a universal phenomenon an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city government and urban planners worldwide. Urban flood problems range from relatively localized incidents to substantial incidents, which lead to cities being flooded for a few hours to several days. Therefore, the effect may be widespread, such as the temporary displacement of individuals, disruption to civic facilitie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pidemics. The problems raised by urban flooding are highly challengeable and compound by ongoing climate change, with advers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rainfall and gaps in intra-urban rainfall distribution. Unplanned construction and invasions of large houses along rivers and watercourses have interfered in natural rivers and watercourses. As a result, the runoff has risen in proportion to the urbanization of the urban floods. The location of the relief camp and the priority for evacuation were determined, and the safest route to avoid floods were established. This method can be used for emergency planning in future flood incidents, and it will help plan disaster preparedness for Panchayat. This study will promote the flood plain's potential use for disaster management and land use planning virtually.

AHP 기법을 활용한 선박과 승객대피 의사결정 요인 분석 (Analysis of Decision-making Factors for Ship and Passenger Evacuation Using AHP)

  • 윤동협;신일식;임남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5-200
    • /
    • 2018
  • 여객선은 선박사고가 발생을 하게 되면 인명의 피해로 직결되기 때문에 선장의 순간적인 결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이상증후가 발생하였을 때 선박 및 승객대피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8개의 주요요인에 대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가중치가 가장 높은 주요요인은 전복(횡경사 발생)이었으며, 그다음이 화재/폭발로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추후 세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수를 높여 신뢰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본 결과는 선박과 승객대피 의사결정의 주요요인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선박 대피항로 선정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선박운항자 관점에서 - (A Study on Considerations of Ship Evacuation Route for Goldentime - Based on Ship Operators Perspective -)

  • 박상원;박영수;이명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0-627
    • /
    • 2017
  • 사고에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시간인 골든타임의 중요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다. 특히 해양사고의 경우 발생 위치에 따라 구조세력이 도착하는 데는 수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해상에서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대피항로를 선정 시, 선박운항자 관점의 우선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와 해양사고 재결서 및 국내선사의 비상대응 매뉴얼 분석을 통하여 선박 대피시의 고려사항을 식별하고 선박운항자를 대상으로 AHP 분석(의사결정계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AHP 분석 결과 선박운항자는 인명의 안전을 선박의 안전보다 약 6배 중요하게 생각하며, 대피항로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해경함정에 도움요청, 피난항 위치, 비상투묘, 주변선박 도움요청, 표류, 임의좌주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순위를 이용해서 긴급상황 발생 시 공황 상태의 선교에 선박운항자의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는 기초 정보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방사능 재난에 대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내 주민의식조사 (A Study on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Emergency Planning Zone for Radioactive Disasters)

  • 박남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29-745
    • /
    • 2022
  • 연구목적: 본 논문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거주하는 주민의 방사능재난 발생시 대피방법과 대피시설 등에 대한 인식 현황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무작위표집으로 표집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주민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미니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은 첫째, 방사능재난에 대한 지자체 업무에 관해 비교적 낮으면서 부정적인 인지도를 나타냈다. 둘째, 주민안전교육 측면에서는 교육 경험이 적으나 필요하다고 느끼며 주민대피방법과 행동요령, 구호소 위치 등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다. 셋째, 방사능재난 관련 구호소는 위치를 잘 모르고 있고 안내를 받은 적이 없으며 구호소 이용시 가족과 함께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구호소 시설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도가 낮은 편이었다. 넷째, 방사능재난에 대비하여 필요한 우선순위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교육과 훈련, 시설 보완, 방호약품 보급 등을 지적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원전 주변 지역 주민은 방사능재난 발생에 대비하여 정부나 지자체의 정책과 업무 내용을 비교적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만족도는 낮았다. 우선순위로 지적한 사항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는 방사능재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정책 내용을 주민에게 홍보하고 교육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