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based

검색결과 2,650건 처리시간 0.024초

Hybrid Priority-based Genetic Algorithm for Multi-stage Reverse Logistics Network

  • Lee, Jeong-Eun;Gen, Mitsuo;Rhee, Kyong-Gu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8권1호
    • /
    • pp.14-21
    • /
    • 2009
  • We formulate a mathematical model of remanufacturing system as multi-stage reverse Logistics Network Problem (mrLNP) with minimizing the total costs for reverse logistics shipping cost and inventory holding cost at disassembly centers and processing centers over finite planning horizons. For solving this problem, in the 1st and the 2nd stages, we propose a Genetic Algorithm (GA) with priority-based encoding method combined with a new crossover operator called as Weight Mapping Crossover (WMX). A heuristic approach is applied in the 3rd stage where parts are transported from some processing centers to one manufacturer. Computer simulations show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ur approach.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 are better than pnGA (Prufer number-based GA).

Priority를 제공하는 파장 할당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Wavelength Assignment Signaling Protocol with Priority)

  • 김민식;정재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4B호
    • /
    • pp.351-360
    • /
    • 2003
  •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과 광 Cross-Connect의 개발은 예상되어지는 사용자의 요구를 지원할 수 있다. 광 네트위크는 무한한 잠재성을 갖고 있으며 낮은 bit error rate와 IP에 투명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파장의 수는 많은 node 들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파장 경쟁에 의한 blocking은 파장 변환 기술에 의해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하지만 모든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완벽한 solution이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많은 그룹들은 고유한 파장 할당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을 제안해왔다. 대부분의 기술들은 priority 개념을 지원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throughput을 기반으로 한 priority 개념을 묘사한다. 우리는 제안한 priority 개념을 SWAP(Simple Wavelength Assignment Protocol)에 적용하여 성능을 보인다. 제안한 Priority 개념은 WDM 네트워크에서와 파장 경쟁에 의한 block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위험도기반 교량 유지관리 우선순위 선정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Risk Based Bridge Maintenance Priority Decision Model)

  • 김동진;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8-116
    • /
    • 2017
  • 국내 교량은 공용 연수의 증가로 인하여 추후 유지관리 비용이 상당히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와 관련 부처는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유지관리 우선순위를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방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험도기반의 유지관리 우선순위 선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량의 파손을 야기하는 일반적인 위험 인자 14개를 선정하고, AHP분석을 수행하여 중요 인자 5개를 선별하였다. 기존 문헌 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선정된 인자에 대한 평가 기준, 영향도 가중치 등을 도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엑셀시트 기반의 위험도기반 우선순위 선정 기초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모델을 기존의 유지관리 우선순위 선정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교량 유지관리 우선순위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고객관계관리(CRM)가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소비자 유형에 따른 CRM 인식도 차이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how CRM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business management -By the difference in CRM marketing recognition based on consumers type-)

  • 이명학;김선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79-92
    • /
    • 2012
  • 본 연구는 소비자 유형에 따른 CRM 마케팅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기업 종업원의 CRM 마케팅 우선순위와 성과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재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기업은 소비자 유형에 따라 CRM 마케팅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고, 종업원의 CRM 마케팅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의 인식과 차이는 있었지만 우선순위의 순서는 일치하였다. CRM 마케팅 우선순위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와 종업원이 인식하는 성과를 비교한 결과는 소비자의 만족도에 비해서 종업원의 성과 평가가 과대평가 되었다. 그리고 CRM 마케팅 우선순위 중에서 고객 차별화와 고객유지 활동은 기업의 재무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지만, 고객만족 활동은 미치지 않았다.

환경유래 식품오염물질의 우선순위 선정 기법 (Food-CRS-Korea)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Korean Food-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 (Food-CRS-Korea) and Its Application to Prioritizing Food Toxic Chemical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ants)

  • 양지연;장지영;김수환;김윤관;이효민;신동천;임영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1호
    • /
    • pp.41-55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uitable "system software" in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for the food hazardous chemical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mission and to suggest the priority lists of food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origined pollutants. Study materials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the priority pollutants list for environment and food management from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the number of study materials is 103 pollutants (18 heavy metals, 10 PBTs, 10 EDs, and 65 organic compounds). The Food-CRS-Korea system consisted of the environmental fate model via multimedia, transfer environment to food model, and health risk assessment by contaminated food intake. We have established that health risks of excess cancer risks, hazard quotients (HQs) by chronic toxicity and HQs by reproductive toxicity convert to score, respectively. The creditable scoring system was designed to consider uncertainty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based on VOI (Value-Of-Information). The predictability of the Food-CRS-Korea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sumable values and the measured ones of the environmental media and foodstuffs. The priority lists based on emissions with background-level-correction are 15 pollutants such as arsenic, cadmium, and etc. The priority lists based on environmental monitoring date are 17 pollutants including DEHP, TCDD, and so on. Consequently, we suggested the priority lists of 13 pollutants by considering the several emission and exposure scenarios. According to the Food-CRS-Korea system, arsenics, cadmium, chromes, DEHP, leads, and nickels have high health risk rates and reliable grades.

음성 트래픽을 위한 동적우선권제어방식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Dynamic Priority Control Scheme for Delay-Sensitive Traffic)

  • 김도규;김용규;조석팔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3-11
    • /
    • 2000
  • 음성의 특성은 지연에 매우 민감한 (delay-sensitive) 트래픽으로 시스템에서 손실에 민감한 (loss-sensitive) 다른 트래픽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비스되어서는 두 트래픽 모두의 QoS (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킬 수 없다. 효율적인 트래픽의 처리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손실에 민감한 트래픽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지연민감 트래픽의 성능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 도입한 동적우선권제어함수 (Dynamic Priority Control Function, DPCF)는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각 트래픽에 우선권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서비스 스케줄링을 제어하는 함수f(·)로 기존의 우선권 제어방식을 더욱 일반화시킨 방식이다. 클래스 1의 손실민감 트래픽과 음성과 같은 클래스 2의 지연민감 트래픽을 수용하는 시스템에 TBPJ (Threshold-based Bernoulli Priority Jump) 방식의 DPCF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DPCF은 각 시스템에 대기하고 있는 트래픽의 양과 시스템의 가용 용량인 버퍼의 threshold에 따라 각 트래픽 클래스에 우선권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성능분석을 통하여 TBPJ 제어방식이 기존의 우선권 제어 방식보다 성능 및 효율성에 있어서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즉 성능을 분석한 결과 손실민감 트래픽의 성능저하는 미미하고 지연민감 트래픽의 성능향상은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동적우선권제어함수 기반 TBPJ 트래픽 제어방식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reshold-based Bernoulli Priority Jump Traffic Control Scheme)

  • 김도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684-369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트래픽을 수용해야 하는 차세대 인터넷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고속 패킷스위치를 위한 동적우선권제어함수(Dynamic Priority Control Function)이 개념을 도입하고 TBPJ(Threshold-based Bernoulli Priority Jump) 방식에 대한 성능분석을 하였다. 동적우선권제어함수(Dynamic Priority Control Function)는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각 트래픽에 우선권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패킷의 스케쥴링(scheduling)을 제어하는 함수 f(.)이다. 클래스 1의 손실민감(loss-sensitive) 트래픽과 클래스 2의 지연민감(delay-sensitive) 트래픽이 고속 패킷스위치의 모든 입력포트에 동일하게 입력되고 스위칭속도(switching capacity)가 m인 $N\timesN$용량의 고속 패킷스위치에 TBPJ 방식의 DPCF 함수를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때 스위치는 유한한 크기의 입력 버퍼와 무한크기의 출력버퍼로 구성되어 있고 슬롯 단위로 동기방식(synchronous)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하였다. TBPJ 방식은 각 입력버퍼에 대기하고 있는 현재 트래픽의 양과 시스템 버퍼의 문턱값(threshold)에 따라 서비스 순위를 동적으로 할당하여 효율적인 스케쥴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성능분석을 통하여 TBPJ 제어방식이 기존의 우선권 제어 방식보다 성능 및 효율성에 있어서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즉 TBPJ 방식을 적용하여 성능을 분석한 결과 손실민감 트래픽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패킷스위치를 스위치플랜으로 구현하는 경우 병렬로 (즉 m=2) 구성하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Faultless Protection Methods in Self-Healing Ethernet Ring Networks

  • Lee, Kwang-Koog;Ryoo, Jeong-Dong;Joo, Bheom Soon
    • ETRI Journal
    • /
    • 제34권6호
    • /
    • pp.816-826
    • /
    • 2012
  • Self-healing Ethernet rings show promise for realizing the SONET/SDH-grade resilience in Carrier Ethernet infrastructures. However, when a ring is faulty, high-priority protection messages are processed in less time than low-priority data frames are processed. In this situation, any delayed data frames either being queued or traveling through long ring spans will cause the ring nodes to generate incorrect forwarding information. As a result, the data frames spread in the wrong direction, causing the ring to become unstabl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four schemes, that is, dual flush, flush delay timer setting, purge triggering, and priority setting, and evaluate their protection performance under various traffic conditions on a ring based on the Ethernet ring protection (ERP) method. In addition, we develop an absorbing Markov chain model of the ERP protocol to observe how traffic congestion can impact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iority setting scheme. Based on our observations, we propose a more reliable priority setting scheme, which guarantees faultless protection, even in a congested ring.

안전한 도로 공사구간 환경 구축에 필요한 기술의 우선순위 선정 (Prioritization of Potential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Safe Work Zone Environment)

  • 김진국;양충헌;윤덕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17-126
    • /
    • 2015
  • PURPOSES : This study prioritizes potential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safe work zone environment on roadways. We consider almost all conceivable technologies that enable mitigation of unexpected accidents for both road workers and drivers. METHODS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set the priority of potential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safe work zone environment by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For this purpose, the AHP structure was first developed. Thereafter,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experts' opin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ights associated with the relevant criteria of the developed structure were estimated. With the consistency index (CI) and consistency ratio (CR), we verified the estimated weights. In addition, 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estimated weights were reliable. We finally proposed the priority for potential technology for establishing a safe work zone environment on roadways. RESULTS : In the first level, safety technology has the highest priority, and real-time information delivery for work zone, hazard warning for drivers, and temporal automated operation for traffic facilities were selected in the second level of hierarchy. CONCLUSIONS : The results imply that establishing the priority will be useful to establish a future road map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for road workers and drivers by employing appropriate protection facilities and developing safety systems.

TCP Performance Enhancement by Implicit Priority Forwarding (IPF) Packet Buffering Scheme for Mobile IP Based Networks

  • Roh, Young-Sup;Hur, Kye-Ong;Eom, Doo-Seop;Lee, Yeon-Woo;Tchah, Kyun-Hyo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3호
    • /
    • pp.367-376
    • /
    • 2005
  • The smooth handoff supported by the route optimization extension to the mobile IP standard protocol should support a packet buffering mechanism at the base station (BS), in order to reduce the degradation in TCP performance caused by packet losses within mobile network environments. The purpose of packet buffering at the BS is to recover the packets dropped during intersubnetwork handoff by forwarding the packets buffered at the previous BS to the new BS. However, when the mobile host moves to a congested BS within a new foreign subnetwork, the buffered packets forwarded by the previous BS are likely to be dropped. This subsequently causes global synchronization to occur, resulting in the degradation of the wireless link in the congested BS, due to the increased congestion caused by the forwarded burst packets.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licit priority forwarding (IPF) packet buffering schem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within mobile IP based networks. In the proposed IPF method, the previous BS implicitly marks the priority packets being used for inter-subnetwork handoff. Moreover, the proposed modified random early detection (M-RED) buffer at the new congested BS guarantees some degree of reliability to the priority packet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IPF packet buffering scheme increases the wireless link utilization and, thus, it enhances the TCP throughput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various intersubnetwork handoff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