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y selec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5초

방류 연어, Oncorhynchus keta 치어의 해양 먹이선택성 (Marine Prey Selectivity of Released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During arly Marine Migration in Korean Waters)

  • 권오남;김주경;윤문근;김두호;홍관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21-429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feeding ecology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during the critical early life stage prey selectivity of juvenile chum salmon during early marine migration in Korean waters at spring 2011. Salmon juveniles and zooplanktons were collected to draw with $20m{\times}5m$ gill net and $300{\mu}m$ mesh zooplankton net at each station on 11th-13th April n 2011. Collected zooplanktons were classified to 5 Phylum, 6 Class, 9 Order 17 Species in this study. Almost 76.4-100% species were classified to Phylum Arthropoda, dominant species was a species out of Hyperia galba of Order Amphipoda, Acartia spp and Paracalanus parvus of Order Calanoida. Collected salmon juveniles were grew up to average 4.7-5.4 cm fork length and average 1.0-1.5 g wet weight in whole station. Fish stomach content (mg/salmon) was heaver to 97.4, 82.4 and 63.2 mg wet weight/salmon in ST 2, 3, 4 than 20.4, 18.9 mg/salmon of ST 1, 5, because there are fish (sand eel, Hypoptychus dybowskii) and Krill (Euphausia) as prey in salmon stomach in ST 2, 3, 4. And ST 2, 3, 4 and 5 were dominated by Amphipoda as Hyperia galba, Themisto japonica and Gammarus sp., but ST 1 was dominated by copepod, because of absence of Amphipoda in the station. Therefore small Amphipoda as Hyperia galba was good prey for just released salmon juvenile in nature.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5-67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붕장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붕장어의 주요 먹이는 어류, 새우류 및 게류였다. 그밖에 옆새우류, 복족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쿠마류, 등각류 등이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붕장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붕장어는 새우류, 어류, 게류 그리고 옆새우류를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와 새우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였고, 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붕장어는 계절에 따른 환경 생물의 조성과는 관계없이 특정 생물을 먹이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어류는 다른 환경 생물에 비해 잘피밭 환경에서 출현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선택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유와 광합성세균을 주원료로 한 동물먹이생물 영양강화제의 지질 영양강화 효과 (Effect on Enrichment with Schizochytrium sp. and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Oil on Fatty Acid Content of Live Feed)

  • 박진철;이배익;권오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9-344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richment with oil or bacteri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otifers and Artemia as live prey. One enrichment(oil source) was mainly composed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liver oil; the other(photosynthetic-bacterial source) was primarily made up of Schizochytrium sp. The enrichments were intended to enhance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live prey, such as their EPA, DHA and n-3 HUFA contents. The lipid content as EPA and DHA of rotifers was higher when enriched with the oil source rather than the photosynthetic-bacterial source. The DHA content of Artemia nauplii after enrichment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enrichment used(P<0.05). When the Artemia nauplii were enriched with the oil source, the DHA content was increased to 16.8%, whereas it increased only to 1.1% when enriched with the photosynthetic-bacterial sour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ection of the enrichment is important for Artemia nauplii but not for rotifers.

홍천강에 서식하는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식성 (Feeding Habit of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 from the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권오길;박정호;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0-236
    • /
    • 2001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반곡리에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Gobiobotia brevibarva를 대상으로 식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G. brevibarba의 주요 먹이 생물은 Ephemeroptera, Trichoptera 그리고 Diptera였으며 그 밖에 Plecoptera와 Coleoptera 등이 검출되었다. 성장함에 따라 먹이 조성에 있어 변화를 보이는데 작은 체장 (21~50 mm)에서는 Diptera, Ephemeroptera를 주로 먹었으나 성장하면서 다양한 먹이와 비교적 크기가 큰 Trichoptera로 먹이 전환이 일어났다. Ephemeroptera는 봄 과 여름 그리고 가을에 양의 선택성을 겨울에는 음의 선택성을 나타낸 반면 Diptera는 3월과 10월 그리고 11월에 양의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 PDF

예방의학회지(1997년)에 게재된 원저논문 영문초록의 질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the Abstracts of the Original Articles (1997) in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박종구;;김춘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72-79
    • /
    • 199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abstracts of original articles. Methods. This subjects selected total 63 abstracts of the original articles of the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in 1997. The quality of abstracts was measured against a checklist of evaluation criteria, which we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and the numbers of inappropriate words (including grammar) according to criterionbased survey. A score for each abstract was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riteria presented by the number applicable. The overall mean score was also determined. Results. The overall mean score of abstract quality was 0.55 out of 1. Of the abstracts subject selection 83% didn't include specific technical descriptors. Of those that gave conclusions 92% didn't address study limitations and 78% made no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The overall mean number of inappropriate usage of words (including grammar) per abstract was 14.1. The overall mean number of English words was 283.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earch career of the first author and the number of English words to the number of inappropriate usage of wor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in the secondary regression model, the number of English words to the quality score of abstract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Most of the abstracts provided some information pertaining to each evaluation criterion. However, they did not provide sufficient details to enhance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article.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abstracts need improvement in its description of the reported subject selection, statements of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etc.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will recommend a proposal for more informative abstracts in Korean J Prey Med and will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review of abstracts. Future studies should address these issues and compare the quality of abstracts between different journals and their time of publication.

  • PDF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패턴 (Distribution pattern according to altitude and habitat type of the Red-tongue viper snake (Gloydius ussuriensis) in the Cheon-ma mountain)

  • 도민석;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3-204
    • /
    • 2014
  • 동물의 분포는 서식지선택에 영향을 받으며, 서식지의 특성과 먹이자원은 종의 생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의 분포 패턴 특성을 파악하고자 고도, 서식지 특성, 잠재적 먹이자원인 양서류의 분포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서식하는 고도범위에서 선호하는 서식지 타입을 알아보고자 고도를 3개의 범주(저고도, 중고도, 고고도)로 분류하였고, 서식지는 수생태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다. 쇠살모사의 경우, 고도와 서식지 타입에 따른 분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고도와 물이 있는 계곡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양서류의 경우도 고도와 서식지에 따라 쇠살모사와 동일한 분포패턴을 보였다. 물이 있는 계곡의 쇠살모사와 양서류에 대한 미소서식지 분석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쇠살모사가 저고도에 위치한 물이 있는 계곡주변에서 대부분 분포하고 있었던 이유는 양서류의 분포가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천마산에 서식하는 쇠살모사가 비교적 사냥하기 쉬운 먹이자원인 양서류를 선호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Co-Evolutionary Algorithm and Extended Schema Theorem

  • Sim, Kwee-Bo;Jun, Hyo-B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권1호
    • /
    • pp.95-110
    • /
    • 1998
  • Evolutionary Algorithms (EAs) are population-based optimization methods based on the principle of Darwinian natural selection. The representative methodology in EAs is genetic algorithm (GA) proposed by J. H. Holland,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GA are the Schema Theorem and the Building Block Hypothesis. In the meaning of these foundational concepts, simple genetic algorithm (SGA) allocate more trials to the schemata whose average fitness remains above average. Although SGA does well in many applications as an optimization method, still it does not guarantee the convergence of a global optimum in GA-hard problems and deceptive problem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schem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 co-evolutionary system, where two populations constantly interact and co-evolve in contrast with traditional single population evolutionary algorithm. In this paper we show why the co-evolutionary algorithm works better than SGA in terms of an extended schema theorem. And predator-prey co-evolution and symbiotic co-evolution, typical approaching methods to co-evolution, are reviewed, and dynamic fitness landscape associated with co-evolution is explain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 co-evolutionary algorithm works well in optimization problems even though in deceptive functions.

  • PDF

XML 기반 강건 타입형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식${\cdot}$독립적 표현 (XML-based Portable Self-containing Representation of Strongly-typed Genetic Program)

  • 이승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4호
    • /
    • pp.277-289
    • /
    • 2005
  • 선택과 재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적 학습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이 가지는 긴 설계시간/높은 계산노력/낮은 계산효율을 극복하고자, 이 논문은 XML에 기반을 둔 유전적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유전자 프로그램과 유전자 연산은 기성 DOM 파서의 API 호출에 의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또 표준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의미적으로 올바른 유전자 프로그램만을 다루기 때문에 탐색공간과 계산노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이형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주에 적합한 시스템 및 형식인 XML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효율이 향상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포식자-피식자 문제에서 다중 에이전트의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적용한 결과, 유전자 프로그램에 대한 계산시간이 단축됨을 .보인다

마산만의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의 포식-피포식 상관관계에 대하여 (On the Trophic Correlation between Tintinnids and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Korea)

  • 유광일;이준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0-236
    • /
    • 1987
  • 적조의 다발해역으로 알려진 마산만 일대의 2개 정점에서 1981년 1월부터 1982년 12월까지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의 현존량을 월별로 조사하여 이들 변동과 포식-피포식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와편모류의 우점종은 주로 $20-60\;{\mu}m$의 크기로서 Gymnodinium, Prorocentrum 속 등이었으며, 특히 봄에서 여름에 걸쳐 대발생을 보였다. 한편 유종섬모충류는 Favella가 압도적으로 우점하였으며 이들은 같은 시기에 현존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의 중상관분석의 결과로 Favella는 와편모류중 $40-60\;{\mu}m$크기의 종류들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Prorocentrum 등이 우점한 정점 1보다는 Gymnodinium, Protogonyaulax등 크기가 큰 종류들이 우점한 정점 2에서 더 높은 중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로서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에는 크기 및 형태에 의한 먹이 선택성을 인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연안역의 저차생산단계에서 포식${\cdot}$피포식 상관관계를 통하여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치악산 계류에 서식하는 둑중개(Cottus poecilopus Heckel)의 식성 (Feeding habit of the River Sculpin, Cottus poecilopus from the Streams at Mt. Chiak, Korea)

  • 변화근;심하식;최재석;손영목;최준길;전상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0-170
    • /
    • 1995
  • 둑중개(C. poecilopus)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에서 1993년 4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월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위 내용물은 주로 수서곤충인 Ephemeroptera, Odonata, Plecoptera, Trichoptera, Coleoptera, Diptera이며 그 밖에 Nematoda, 치어, 어란, 육상곤충 등이 검출되었다. 육상곤충은 주로 가을에 섭취하였고, 여름에 Moroco oxycephalus 치어를 소량 포식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종의 먹이는 Ephemeroptera, Trichoptera, Diptera 등이 대부분이었다. Ephemeroptera는 여름에 양의 선택성을 나타내었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의 선택성을 나타낸 반면 Trichoptera와 Diptera는 가을과 겨울에 양의 선택성을 여름에 음의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컷이 수정란을 보호하고 있는 동안 먹이량이 부족하면 보호하고 있는 알을 먹는 습성이 있다(filial-canniba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