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ve vaccine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초

An overview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olicy making process: the role of the Korea expert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 Cho, Hee-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1호
    • /
    • pp.1-5
    • /
    • 2012
  • The need for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in immunization programs has increased due to the presence of multiple health priorities, limited human resources, expensive vaccines, and limited funds. Countries should establish a group of national experts to advise their Ministries of Health. So far, many nations have formed their own National Immunization Technical Advisory Groups (NITAG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 Expert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KECIP), established by law in the early 1990s, has made many important technical recommendations to contribute to the decline in vaccine preventable diseases and currently functions as a NITAG. It includes 13 core members and 2 non-core members, including a chairperson. Core members usually come from affiliated organizations in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obstetrics, microbiology, preventive medicine, nursing and a representative from a consumer group, all of whom serve two year terms. Non-core members comprise two government officials belonging to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nd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etings are held as needed, but at least twice a year, and sub-committees are formed as a resource for gathering, analyzing, and preparing information for the KECIP meetings. Once the sub-committees or the KCDC review the available data, the KECIP members discuss each issue in depth and develop recommendations, usually by a consensus in the meeting. The KECIP publishes national guidelines and immunization schedules that are updated regularly. KECIP's role is essentially consultative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ir recommendations may depend on the budget or current laws.

Current situation and control strategies of H9N2 avian influenza in South Korea

  • Mingeun Sagong;Kwang-Nyeong Lee;Eun-Kyoung Lee;Hyunmi Kang;Young Ki Choi;Youn-Jeong Le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5.1-5.16
    • /
    • 2023
  • The H9N2 avian influenza (AI) has become endemic in poultry in many countries since the 1990s, which has caused considerable economic losses in the poultry industry. Considering the long history of the low pathogenicity H9N2 AI in many countries, once H9N2 AI is introduced, it is more difficult to eradicate than high pathogenicity AI. Various preventive measures and strategies, including vaccination and active national surveillance, have been used to control the Y439 lineage of H9N2 AI in South Korea, but it took a long time for the H9N2 virus to disappear from the fields. By contrast, the novel Y280 lineage of H9N2 AI was introduced in June 2020 and has spread nationwide.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genetic and pathogenic characteristics, and control strategies for Korean H9N2 AI. This review may provide some clues for establishing control strategies for endemic AIV and a newly introduced Y280 lineage of H9N2 AI in South Korea.

일부 농촌지역의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MCH) and Family Planing (FP) in a Rural Area (Yeoju), 1984)

  • 김양수;염용태;송동빈;김순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2권1호
    • /
    • pp.54-62
    • /
    • 1987
  •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part of survey for the operation and interim evaluation of the on-going pilot project of community health in Jeomdong-Myon, Yeoju-Gun, Kyunggi-Province since 1982. Seven Villages (Ri) were selected purposively for the survey from a total of 26 villages in Jeomdong-Myon, target area,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the distribution of health resources. The target population was the women in age group of 15-44 years in that area and a total of 156 women were interviewed. This study was done by the interview survey using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with questions about MCH and 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n the status of maternal health, (1) the proportion of receiving antenatal care was relatively high (67.1%) in this area, but the starting time of antenatal care was delayed to 7 months or more of gestational period in 22 percent. Therefore some intervention would be necessary for advancing the time of antenatal care. (2) The proportion of home delivery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rank of birth-order. And more than 50 percent of delivery attendants were mothers-in-law or neighbors. The fact indicates that the health education for non-professional delivery attendents would be necessary for improving home delivery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would be preferable to focussing to the method of hygienic delivery attending. (3) The comprehensive health service and education would be recommended for the postnatal care, because of the extremely low rate of postnatal care in this area. 2) In the status of child health, (1) the pro-portion of breast feeding was 90.2 percent, and the weaning started after 12 months of birth in 12.7 percent. This indicat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the weaning program. (2) The proportion of completed basic vaccination was 39.6% and the main reason of missing vaccination was poor accessibility in terms of time. For that, the supply of vaccine to primary health care units (health subcenters) should be continuous, not infrequent nor occassional. 3) The proportion of respondants who were using contraceptive methods currently was 79.8 percent and in 44.7 percent they accepted the permanent contraceptive methods. Those results are distinct in this area. But it seems a serious health problem that 53.2 percent of respondants were experienced the induced abortion for birth control.

  • PDF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실태와 닭의 생산성에 관한 조사(위생과 질병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Poultry Farm for Productivity and Health in Korea)

  • 박근식;김순재;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4-76
    • /
    • 1980
  • 한국에 있어서 양계장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닭의 생산능력이 거의 파악되고 있지 않고 있어 양계산물의 생산량을 추정하거나 특허 증산성이 빠른 닭의 경우 생산조절을 위한 기초 자료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조사자들은 양계협회의 요청에 의거. 현재 양계농가의 관리 기술수준이나 문제점을 위생과 질병을 중심으로 그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의 발굴과 앞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나 지도방향을 설정하고자 본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 방법은 산란계와 육계를 구분하여 목적에 부합 되도록 용도별로 조사 양식을 작성 야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의사 및 축산 기술전문 요원과 사전에 협의하여 각 지역별로 분담 조사하였으며, 조사 자료 중 검토 후 미흡분은 본성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 대상 및 기간은 산란계의 경우 1976년 3월부터 1978년 7월 사이에 입란한 계군 육계의 경우 1978년 11월부터 1979년 10월 사이에 입추한 계군을 대상으로 사하였으며 조사 지역은 경기도내 6개 지역을 크게 구분하여 총 21개 지역 산란계 41개 양계장 육을 양계장 34개 농장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항목별로 조사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지 조건 및 경영 상환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부업적인 경영이 4.9%로 나머지 95.1% 전업 또는 기업 형태로 육계의 경우에는 부업이 17.7%로 되어 있었다. 한편 양계 경영 년수는 총 경영년수의 경우 산란계 농장이 육계농장 보달. 경영 년수가 높았고 현지에서의 경영 년수도 역시 산란계 농장이 높았다. 입지조건에 있어서는 거주지에 있는 양계장이 10.7%이었고 그 분포는 전, 임야, 답의 순이었으며 지 역 별로는 평지, 구능, 산간지의 순으로 많이 분포되고 있었으며 해안은 한 농장도 얼었다. 양계장의 대지의 소유상환을 보면 자기 소유가 산란양계장은 89.5%. 육용양계장은 70.6% 였으며 양계농장의 평균 소유 면적은 산란계 농장이 5.016평, 육용농장이 1.037평이었다. 계군의 인력 관리는 고용인력에 의존도가 산란계농장이 높아 60%을 상회하고 있었다. 계사의 구조면에서도 아직까지는 위생 시설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타양계장과의 거리에 있어서 1km미만의 거리를 유지하는 농장이 조사대상 농장의 80%나 되고 있으며 100m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농장이 28%나 되고있어 양계장의 분포 밀도가 크게 높아 전염병의 예방에 있어서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계군의 관리상황에 있어서 입추상환. 출하상항, 육성회수 1인당 관리수수 및 관리계군을 조사하였던 바 질병 발생의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체계가 거의 되지 않고 있었으며 닭의 품종 및 부화장 선택의 조건에 있어서도 과학적인 근거보다 인간관계 등에 편중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닭의 능력검정 성적을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경향이다. 사료의 급이상황에 있어서도 19.5%가 시판사료 이외의 처방을 요구하고 있다. 위생 및 보건장비의 구비 상환은 완전치 못하였고 소독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 양계장도 다소 있었다. 소독약의 이용량도 높은 편이 아니었다. 백신접종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ND와 계두백신을 97.6%이용하고 있으나 육계의 경우 ND 백신은 43.6%, 계두의 경우 5.1%만 이용하고 있어 백신의 황용에 있어서 육계의 경우 아주 저조하였다. 백신 효과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서는 85.3% 이상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백신의 선택에 있어서는 특성 제품을 요구하는 율이 26.7%나 되고 있다. 그리고 백신접종의 시술에 있어서 수의사에 의뢰하는 예는 불과 4.9%-2.7%였다. ND의 기초면역시 2회이하 접종하는 농장이 17-32.7%나 되고 있으며 (60일령까지) 성계의 보완접종은 4개월마다 실시하는 농장이 14.6%나 되고 있다. 투약상황에 있어서 투약 목적이 질병의 예방목적으로 하는 농장이 74.9%이었으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시하는 농장은 26.8% 월 평균 1개 농장당200,000원 이상 지출하는 농장이 32.0%로 가장 높았다. 약의 선택에 있어서 주관에 의해서 선택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으며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것이 33.3%이었다. 약의 효과에 있어 서 자신 있게 효과를 신임하는 농장이 57 3%이었다. 닭 질병 발생시 진단의 의뢰는 가축병원이 49.3%, 직접 부검이 26.7%, 외판원, 전문기관 등의 순으로 의뢰하고 있으며 진단에 있어서 만족감을 갖는 농장은 69.4%이었다. 양계장에서의 질병 발생빈도를 부로일러와 산란계로 구분. 일령별로 조사분류 하였으며 닭의 용도별, 일령간의 질병 발생의 빈도는 가기 특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생산능력에 있어서 산란계의 경우 육추율이 90.5% 육성율이 98.9%, 성계 및 육계의 생존율은 각각 75.2%, 92.2%이었으며 도태일령은 평균 533.3일이었다. 산란지수는 232.7개이었으며 사료 요구율은 산란계와 육계가 각각 3.30, 2.48로 예상보다는 높았으나 아직 생산 능력을 외국과 비교하였을 경우 개선의 여지가 크게 남아 있음을 본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 PDF

B형 간염 예방 접종 실태 평가를 위한 혈청 역학적 연구 -경기도 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A Seroepidemiological Study on Hepatitis B Vaccination Program -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Kyonggi-Do Province -)

  • 이석용;최보율;신영전;방금녀;기모란;박항배;윤재득;이계철;윤배중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4권2호
    • /
    • pp.240-256
    • /
    • 1997
  • 목 적 :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예방 접종률, 접종 완성률, 접종 시기를 비교하고, 간염 표지자 양성률을 검토하여 경기도 지역에서 과거 15년 동안 영아, 유아 및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병의원, 보건소 및 학교 등에서 실시한 B형 간염 예방 접종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에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을 집락 추출(cluster sampling)하여 실시하였다. 학교마다 각 학년별로 한 학급을 선정하여 총 2,072 명을 대상으로 혈청학적 검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 성별 HBsAg 양성률은 남자 3.7%, 여자 2.7%였고, 평균 3.4%였다. 연령별 HBsAg 양성률은 7세 3.5%, 12세 5.2%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어머니들의 B형 간염 출산 전 수검율은 10.2%, 출산 후 수검율은 42.5% 였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직업이 사무직인 경우에 출산 전, 출산 후 수검율이 높았다. 3) 전체 예방 접종률은 82.6%, 접종 완성률은 69.8%, 추가 접종률은 42.8%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예방 접종률, 접종 완성률, 추가 접종률이 모두 감소하였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 수록 예방 접종률, 접종 완성률, 추가 접종률이 증가하였다. 연령이 어릴수록 1 세 미만에 접종한 비율이 증가하였고, 7세 이상에 접종한 비율은 감소하였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직업이 사무직인 경우에 1세 미만에 접종한 비율이 높았다. 4) 예방 접종 시기에 따른 간염 표지자 양성률에서 HBsAg과 Anti-HBc 양성률은 1~6세, 7세 이후, 1 세 미만의 순서로 높았다. 접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Anti-HBs 양성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본 3회 접종 후 5년째 된 군에서 Anti-HBs 양성률은 85.7%, 유효 역가율은 69.6% 로 가장 낮았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전체 접종률은 82.6%, 접종 완성률은 69.8% 로 아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학력이 낮고 아버지 직업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계층은 출산 전 출산 후 산모의 HBV 수검율, 자녀의 백신 접종률, 접종 완성률이 모두 낮은 것으로 보아 의료 기관의 접근도가 떨어지고 예방 접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B 형 간염 예방 접종 사업은 지속적인 보건 교육과 함께 이러한 사회적 지위가 낮은 계층 자녀의 접종률을 높이는 특별 관리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Knowledge of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ion, Cervical Cancer, and HPV Vaccine and its Correlates among Medical Students in Southwest China: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urvey

  • Wen, Ying;Pan, Xiong-Fei;Zhao, Zhi-Mei;Chen, Feng;Fu, Chun-Jing;Li, Si-Qi;Zhao, Yun;Chang, Hong;Xue, Qing-Ping;Yang, Chun-X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73-5779
    • /
    • 2014
  • Background: Since cervical cancer can be prevented and controlled through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ation, it is important to train health care providers and provide them with appropriate knowledg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HPV related knowledge among medical students and correlates in Southwest China in order to address any potential gap in their knowledge base.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among medical students in six selected universities across Southwest China based on a pretested questionnaire regarding HPV infection, cervical cancer, and HPV vaccines. Results: We successfully surveyed 1, 878 medical students, of whom 32.1% were males and 67.9% were females. Their mean age was 20.8 (standard deviation: 1.3) years. 91.8% of them were ethnic Han Chinese, and 43.8% were students in clinical medicine. While 76.5% had heard of HPV only 48.8% knew that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was possible through HPV vaccination. Only 42.9% of the male and 49.2% of the female students correctly answered over 10 out of 22 questions on HPV related knowledge. Female students appeared to know more about HPV and HPV vaccination (OR: 1.39; 95% CI: 1.11-1.75). In addition, the student knowledge improved with the grade (p<0.001). University courses were the most selected source of knowledge about HPV vaccination (66.4%). 83.6% of males and 91.4% of females were willing to have more HPV related education by experts (p<0.001). Only 10.1% of the students acknowledged that people had asked for their advice regarding HPV vaccination. Conclusions: Our survey indicates that medical students from Southwest China have poor knowledge of HPV and HPV vaccination, but are willing to receive more relevant information. Targeted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school courses to inform these future health care providers and ensure success of programs for cervical cancer control and prevention.

광주광역시 요양시설 코로나19 집단 발생 사례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의한 사망 예방 효과 (Effect of COVID-19 vaccinations on deaths of the COVID-19 cases in some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Gwangju)

  • 류소연;조준휘;이란;박소영;정다운;배소현;고화평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2호
    • /
    • pp.109-12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COVID-19 vaccinations on deaths of the COVID-19 cases in some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659 COVID-19 cases in residents of 7 elderly LTCF, Gwangju, from 21 Dec. 2021 to 28 Jan. 2022. The used variables were confirmed dates for COVID-19,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orbidities, presentation of symptoms, death and vaccination 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ing type of vaccine, doses and dates. Vaccination status were classified as not vaccinated, partially and fully vaccinated. The associations of vaccination status and deaths of COVID-19 cases were test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ates of not vaccinated, partially vaccinated and fully vaccinated were 19.4%, 10.2% and 70.4%,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 of the cases was 6.4%. The death rate by vaccination status was 16.4% in not vaccinated, 15.4% in partially vaccinated and 2.6% in fully vaccinated,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djusted odds ratios (ORs) (95% confidence intervals, CIs) of death compared to fully vaccinated were 7.64 (3.87-16.34) in non-vaccinated, and 6.97 (3.44-14.14) in partially vaccinated. Conclusions: COVID-19 vaccination seems to work effectively in preventing deaths of COVID-19 cases of elderly LTCF residents. This finding support that fully vaccinations in high risk group such as elderly LTCF residents is very important for one of strategies of COVID-19 management.

COVID-19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 MEDLINE 등재 국내 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COVID-19: Focusing on Medicine Journals of MEDLINE in Korea)

  • 서미진;이지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35-161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 학술지에 발행된 COVID-19(Coronavirus Disease 2019)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MEDLINE에 등재된 의학 분야 학술지 25종으로 총 800건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저자 분석, 빈도 분석, 주제 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기관이 76.96%였으며, 국외 기관 저자의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다. 저자의 전공은 '내과학'(32.85%), '예방의학/직업환경의학'(16.23%), '방사선과학'(5.74%), '소아과학'(5.50%) 순이었으며, 공동 연구가 진행된 논문은 435건(54.38%)이었다. 저자 키워드는 'COVID19'(674번), 'SARSCoV2'(245번), 'Coronavirus'(81번), 'Vaccine'(80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전체 기간 등장한 단어는 'COVID19', 'SARSCoV2', 'Coronavirus', 'Korea', 'Pandemic', 'Mortality' 등 6개이다. MeSH 용어와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통적으로 'covid-19', 'sars-cov-2', 'public health' 등의 중심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백신 접종', 'COVID-19 발생 현황',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정신 건강, 방역 조치', '국내 감염의 전파 및 관리' 등 총 5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기간 동안 발행된 국내 COVID-19 논문의 연구 영역과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BMSA1 and BMSA5-1-1 proteins against Babesia microti infection

  • Yu Chun Cai;Chun Li Yang;Peng Song;Muxin Chen;Jia Xu Che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53-63
    • /
    • 2024
  • The intracellular parasite Babesia microti is among the most significant species causing human babesiosis and is an emerging threat to human health worldwide. Unravelling the pathogenic molecular mechanisms of babesiosis is crucial in developing new diagnostic and preventive methods. This study assessed how priming with B. microti surface antigen 1 (BHSA 1) and seroreactive antigen 5-1-1 (BHSA 5-1-1) mediate protection against B. microti inf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500 ㎍/ml rBMSA1 and rBMSA5-1-1 partially inhibited the invasion of B. microti in vitro by 42.0±3.0%, and 48.0±2.1%, respectively. Blood smears revealed that peak infection at 7 days post-infection (dpi) was 19.6%, 24.7%, and 46.7% in the rBMSA1, rBmSA5-1-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healthy mice infected with B. microti only), respectively. Routine blood tests showed higher white blood cell, red blood cell counts, and haemoglobin levels in the 2 groups (BMSA1 and BMSA5 5-1-1) than in the infection control group at 0-28 dpi. Moreover, the 2 groups had higher serum interferon-γ,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7A levels, and lower IL-10 levels than the infection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study. These 2 potential vaccine candidate proteins partially inhibit in vitro and in vivo B. microti infection and enhance host immunological response against B. microti infection.

영유아의 예방접종 및 그 관련요인 (Up-to-date or Complete Immunization Coverage and Their Related Factors)

  • 이무식;김은영;김건엽;이진용;장민영;홍지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33-245
    • /
    • 2012
  • 이 연구는 지역단위 예방접종률 시범조사를 통해 획득한 다양한 예방접종 자료를 분석하여 예방접종의 수진 관련 요인을 파악, 분석하였다. 2005년 2월부터 4월까지 일개 도농복합 지역사회 영유아 전수를 대상으로 해당 연령의 영유아들이 거주하는 가구를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여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접종조사력에 대한 확인은 예방접종수첩자료를 우선적으로 하고, 없을 시에는 보호자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 지역 가구조사에서 확인된 예방접종 의료 기관을 대상으로 예방 접종력 확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논산 및 대전지역 병의원에 대해서는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였고, 타지역의 경우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예방접종수첩에 근거한 국가필수예방접종률은 DTaP 4차(79.3%)를 제외하고 92.7~96.4%였으며, 국가예방접종 완전접종률은 74.0%, 4:3:1 시리즈 완전접종률은 77.1%였다. 국가필수예방접종의 완전접종은 주 양육자가 부모인 경우(19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교차비 0.59, 95% 신뢰구간 0.39-0.87), 출생순위가 셋째 이상에 비해 빠를수록(24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교차비 1.79, 95% 신뢰구간 1.05-3.03) 접종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4:3:1 시리즈 완전접종은 19개월 이상 영유아에서 주양육자가 부모인 경우(교차비 0.58, 95% 신뢰구간 0.38-0.88), 출생순위가 첫째아일수록(교차비 1.94, 95% 신뢰구간 1.21-3.14) 접종률이 높았으며, 24개월 이상 영유아에서는 출생순위가 첫째아에서(교차비 2.23, 95% 신뢰구간 1.27-3.91) 유의하게 높았다. 90% 미만의 예방접종률을 보인 부적절한 수준의 예방접종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완전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육하는 부모의 존재와 출생순위 파악과 이에 대한 중재대책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