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on of Dementia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15초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Adult Dementia Knowledge, Fear of Dementia, and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신은희;이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67-75
    • /
    • 2023
  • 본 연구는 성인의 치매 지식, 치매 두려움 및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 치매 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충북에 거주하고 있는 19~64세 성인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의 치매 지식과(p=.055) 치매 두려움은(p=.302)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 예방행위 의도가(β=.329, p<.001) 치매 예방교육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의 이해와 치매관리사업, 치매조기검진과 치매예방 건강수칙, 치매예방을 위한 만성질환 관리, 치매예방을 위한 운동, 치매예방을 위한 건강한 식생활,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증진프로그램 등 국가의 치매 예방 홍보 및 국가 차원의 대응 노력과 더불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 올바른 치매 예방행동을 실천하고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농촌 지역사회노인의 만성질병수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치매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Recognition o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 박필남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4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f elders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5 elders aged 60 or older who lived in Eup or Myeon areas of P city. For data analysis, SPSS/WIN 22.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multiple regression and mediated effects. Results: Scores for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veraged 5.6±2.50 points in the 0~11 range, 38.8±4.59 in 14~56 and 20.2±3.59 in 10~30 respectively. Dementia recognition (a), dementia attitude (b),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c)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s (d) were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rab=.29, p<.01; rbc=.26, p<.01; rac=.36, p<.01; rad=-.29, p<.01; rcd=.19, p<.05). Factors affect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dementia recognition, dementia attitude, and degree of dementia interest. When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ffects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dementia recognition h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among elders in rural areas, appropriat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provision of appropriate dementia-related education and information to enhance dementia recognition should be provided.

노인치매예방 스마트폰 앱의 기대효과 및 유용성 (Predictable Effect and Usabi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derly Dementia Prevention)

  • 김수정;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87-9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치매예방을 위해 스마트폰에서 제공되고 있는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진단 앱의 이용에 대한 유용성 및 그 기대효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치매진단도구를 선정하고 각 진단도구가 검증하고 있는 인지기능영역을 추출하였다. 둘째는 29개의 스마트폰 치매예방 게임 앱과 치매관리 앱을 선정하여 이 앱들을 이용한 이후의 기대효과를 치매진단도구에서 추출된 인지영역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게임을 하거나 치매관리를 할 경우 특정 영역의 인지기능을 증진함으로써 치매예방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스마트폰 치매예방 앱은 시공간을 초월한 이용의 용이성, 지속적 사용성 그리고 경제성을 통하여 오프라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함으로써 노인의 인지능력을 증진시키고 치매를 예방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Comparison of Oral Health Promo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 Kim, Yu-R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2-88
    • /
    • 2020
  • Background: The incidence of dementia in Korea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is increasing with a decrease in the age of dementia onset dementia is associated with oral disease among various causes, but there is very low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we aimed to check oral health promo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dementia. Metho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onth-long survey of people aged 40 years and above living in South Korea, and reclaimed 140 survey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erception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sess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Independent t-tests were performed for the mean comparison between oral health promo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ral health promo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the perception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groups with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were more likely to develop oral health promotion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p<0.01).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awareness related to dementia and oral health,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oral health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p<0.01). Conclusion: Therefore, we should try to improve dementia prevention and oral health promotion by providing accurat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relevance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고혈압과 당뇨병 건강 문제를 가진 성인의 치매 예방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 서영미;제남주;이은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1-49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in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Methods: A total of 113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elf-efficacy and cues to action towar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er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of participations. Self-efficacy towar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se factors accounted for 22% of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strengthening self-efficacy to increase intention of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And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strategies to reinforce cues to action.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 최희정;김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25-133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한 것이다. D시와 G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4세까지 중년층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가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정책인식 정도는 75.42±8.52, 치매지식은 8.71±1.90, 치매태도는 28.55±5.10, 치매예방행위는 27.04±3.35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매지식은 성별, 질환 수,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태도는 성별, 나이, 학력, 가족 중 치매, 치매가족 동거, 직업상태, 조기검진,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치매예방행위는 치매가족 동거, 조기검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의 세부항목 순위는 '당신은 담배를 피우십니까?(역문항)'가 가장 높았고, '당신은 평상시 혈압이나 당뇨관리 등 질환관리를 하십니까?'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 치매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지활동, 사회활동, 올바른 식생활 습관, 건강관리 등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맞춤형 치매예방행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매 예방 (Dementia Prevention)

  • 손영호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2권2호
    • /
    • pp.149-153
    • /
    • 2004
  • Dementia prevention is mainly aimed to the people who have various risk factors for developing dementia or who have mild cognitive impairments. The possible methods for this prevention may include the control of dementiarisk factors and the administration of drugs which may suppress the dementia progression. It is noteworthy that people with milc cognitive impairments (MCI) have 10 times higher risk for developing dementia compared to healthy aged people. Thus 25-50% of them may be progressed to dementia within 2-4 years. Here I describe various factors related to Alzheimer dementia, and possible way to control these factors.

  • PDF

요양시설노인의 치매예방 프로그램 참여 경험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 임선옥;조현미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8-13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Methods: Four focus group interviews (FGI) after the program were conducted with 35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Four themes emerged as a result of analysis. Participants without dementia reported "I don't have dementia yet." This statement probably reflects ignoring potential dementia.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were to reduce boredom, to enjoy exercis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to follow group activities. Participants re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a) benefits from the repeating learned activities; (b) improvements of memory and emotional stability. A few participants reported their inability to follow the program due to physical and environmental limits. However, other participants reported their efforts to overcome physical limits and perform the activities regardless their limits. People who performed the activities with physical limits reported that their self-satisfaction was increased.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out dementia wer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nd showed memory, emotional and behavioral improvements. Therefore,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customiz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in nursing homes.

산업화 시대 퇴직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the Retired Seniors in the Industrial Age)

  • 손연희;박지온;황현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601-1608
    • /
    • 2013
  • 의학계는 2020년 국내노인성 치매환자가 60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연령별 치매 환자 비율은 70대 3%, 85~89세 23%, 95세 이상이 58%로 나이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도 주목해야 할 일이다. "21세기의 병"이라 불리우고 있는 치매는 환자 자신뿐 아니라 가족들의 삶까지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삶의 질을 떨어뜨려 결국은 가족을 황폐화시킬 정도로 많은 부담과 고통을 동반하고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본 논문은 치매예방센터를 운영하는 대학의 치매예방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일정기간 노인들과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과 치매예방 인력의 전문화를 위해 노인들과 함께 했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h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 양수경;고보숙;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31-143
    • /
    • 2019
  • 본 연구목적은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하기 위함이다. 2000년~2018년 사이에 '치매예방', '치매예방 프로그램', '치매', '노인', '노인놀이'를 키워드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구글학술검색, DBpia, 한국학술정보(Kiss)에 게재된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404편의 연구논문 중 자료의 분석기준과 방법에 따라 36편의 논문을 최종 선별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자료의 기본 구조와 프로그램 시행 구조를 가지고 있는 논문은 2012년~2018년 연구의 학술지 17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적연구방법을 적용한 경우는 25편으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보였다. 노인 대상 치매예방프로그램 시행 구조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진행 기관은 요양원(노인복지병원)이 11편이 가장 많았고, 참여노인의 성별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 연령은 65세 이상 연령대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예방 중재 프로그램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통합프로그램이 11편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예방 프로그램 측정도구 및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K 도구가 16편의 논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프로그램은 인지기능에서는 10편의 연구에서 인지기능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 교육이 단편적인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노인들의 인지기능 및 정신행동, 생활 습관 등에 영향을 주고, 건강한 노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치매예방 프로그램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