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예비수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Second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ubject-Specific, Technology - Integrat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이광호;채정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95-227
    • /
    • 2009
  •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TPCK 개발을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동안 어떻게 그들이 실제교실에서 성공적이었는가를 묘사하였다. 다양한 자료들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결국, 이 연구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예비교사들이 TPCK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TPCK의 네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예비교사들의 이해로 전이되었다. 하지만 신념, 교수, 테크놀로지 배경 다양성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TPCK의 그들의 이해와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PDF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asks on Polar Coordinates

  • Oh, Hye Mi;Park, Jee Hyun;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31
    • /
    • 2013
  •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subject, advanced mathematics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is posing a challenge to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it. At the advanced level,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mental mathema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analyse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solving the tasks specific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ar coordinates. We report how and through what process mathematical tasks that can create disequilibriu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nable reflective thinking and exp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defining reflective thinking in looking back on one's problem 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3차원 기하 사고와 공간적 추론에서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표상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presenting activitie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3D geometric thinking and spatial reasoning)

  • 이유빈;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75-29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the 3D geometric thinking and spatial reasoning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2D representing activities for representing the 3D geometrical objects with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43 sophomoric students in college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10 groups and observed their group task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representation they used. Observed processes were all recorded and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task. As a result, the role of physical object that becoming the object of geometric thinking and spatial reasoning, and diverse strategies and phenomena of the process that representing the 3D geometric figures in 2D were discovered. Furthermore, these processes of representing were assumed to b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study practice of students, and various forms of representing process were also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activities.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Response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 Ryang, Do-Hyoung;Thompson, Tony;Shwery, Crai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9-250
    • /
    • 2011
  •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struments used to measur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teaching. The instrument was, however,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is perhaps not appropriate for other culture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carefully reviewed by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fessors. Analysis of the review indicated that eight out of the 21 items were appropriate while the others needed to be revised. Items were identified as inappropriate due to awkwardness, multiple meanings, tense disagreements, and vagueness. These items were modified to better fit the Korean context. The instrument was revised with two versions: one for elementary and the other for secondary pre service teachers.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A Study of Self-Perception on Designing in Mathematical Assessment Items of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박미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331-35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기준에서 평가도구의 개발과 관련된 세부 내용 중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역량을 탐색하는 것으로 중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평가문항에 대한 자기인식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 도구는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수학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로 구성되었다. 예비교사는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직교사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교사를 대상으로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교사의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검사를 위해 총 310명의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중등 예비교사의 교과서 과제 변형 및 수업 실행 중 나타난 과제의 특징 변화: 수학적 모델링 관점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how the tasks' characteristics change according to modifying the textbook tasks and implementing the lesson by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cused on the mathematical modeling perspectives)

  • 정혜윤;이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3호
    • /
    • pp.527-547
    • /
    • 2024
  • 수학 교사가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위해 과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어려움은 학교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수업이 잘 실행되지 않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사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이 수학 교과서 실세계 맥락 과제를 수학적 모델링 과제로 변형하고, 변형된 과제를 적용하여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각 단계 및 과제의 개방성과 현실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등 예비교사 의한 변형 전후 과제, 변형 전 과제 분석 결과 보고서, 과제 변형 보고서, 수업 실행 장면을 녹화, 녹음 및 전사한 자료, 수업 실행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수집하였으며, 사례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과제 변형 시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단계 및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따라 변형된 과제에서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에 대한 학습 기회가 증진되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변형된 과제의 개방성과 변수 정의하기, 수학적 모델 도출하기 단계가 다시 제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위에서 언급한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단계들 외에 나머지 단계에 대하여 과제 변형과 수업 실행 과정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모델링 과제의 변형과 수업 실행 시 갖는 어려움을 확인하고 향후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예비교사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