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Middle Aged Women)

  • 최영미;최성희;안옥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5-183
    • /
    • 2019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xiety, perceived level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as well as factors influencing preparation for aging.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years residing in area J.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7, 2017 to November 9, 2017,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WIN 24.0. Results: Regression analysis revaled that factor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subjects were age, perceived health status, exercise, leisure activity,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2.3%.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influenced the preparation for aging of middle-ag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hat properly manage aging anxiety and improves successful aging, in order to encourage middle-aged women to actively prepare for their later lives.

중년 전·후기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 요소 및 노후준비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 Age)

  • 홍금희;하주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9-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ing anxiety,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in early and late middle-aged peopl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40 middle-aged people aged from 40 to 59.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August 16 to September 30,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2$-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Between early and late middle a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 of aging anxiety: fear of loss (t=2.93, p=.004), fear of old people (t=-2.33, p=.021), physical appearance (t=2.32, p=.022), and psychological concerns (t=2.04, p=.04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in one subscale of preparation for aging: physical preparation (t=-2.02, p=.045). In early midlife,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preparation for aging and both aging anxiety (r=.56, p<.001) and factors of successful aging (r=.54, p<.001). In late midlife, preparation for aging and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50, p<.001)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ograms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old age in middle-aged people should consider their aging anxiety level and preparation for aging at their stage of life.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reparation on Successful Ag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정승권;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69-78
    • /
    • 2023
  • 본 연구는 늘어난 노년기를 대비하여 다양한 영역의 통합적인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 노후 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KReIS)의 제3차 조사, 제4차 조사 그리고 제5차 부가 조사에 모두 응답한 50세 이상 64세 미만의 남녀 1,037명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26 Process Macro Model 4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노후 준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도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후 준비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Successful Aging of the Middle-class Baby Boomer Generation)

  • 홍성희;곽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69-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baby boomers' perception of and preparation for their successful aging. Seven women and three men were interviewed with the use of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Their perceptions of their likelihood of future successful aging were not negative, and were influenced by a range of considerations that included health, leisure, finance, volunteer services, family relationships, and elderly life without children's supports. They tried to prepare several kinds of sports,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 services for their elderly life. However, their reasons for preparing these activities varied, and the background of their differences consisted of the family background, personal values, and experiences. Moreover, men and women responded differently to their personal experiences as they related to their elderly life. Women were likely to match their family relationship with their perception and preparation for successful aging, and men were not.

  • PDF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 하은호;이영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ethods: Totally,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across several c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for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in university students. Its explanatory power of each model was adjusted R2 of .04, 07, and .31 respectively. Major (β=.14, p=.007), health condition (β=.13, p=.028), preparation for old age (β=.52,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or university students, divers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ust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and enhancing preparation for old age.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94-206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50세 이상의 장애노인 506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사사회적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18
  •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65세 이상의 노인 3,91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 정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준비 상태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참여 태도는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 태도는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참여 태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th Preparation of the Aged and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as Mediators-)

  • 문남숙;남기민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27-124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준비도를 독립변수로,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을 매개변수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청주시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하고 이들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죽음준비 및 건강한 노후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연구문제에 따라 첫째, 학력, 건강상태, 경제수준, 외부활동량에 따라서는 연구변수들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의례적 죽음준비도는 성공적 노화로서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정신적 죽음준비도가 성공적 노화로서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노인의 우울 및 죽음불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137-15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0 women ranging in age from 35 years to 65years who reside in Seoul, Gyeonggi-do, and other cities. Two hundred eight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y SPSS WIN14.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middle-aged women by age, academic career, income, area, and relig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y academic career, an income, and area.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y academic career and income. Finally,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er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income. Consequently,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social groups, local self-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have to educate women on economic management for preparation for old age and human relationship progress programs, as well as promote healthy leisure cul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