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aration for Aging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33초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94-206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50세 이상의 장애노인 506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정사사회적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송기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47-56
    • /
    • 2018
  •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의 성공적 노화 가능성을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개념 정의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의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65세 이상의 노인 3,91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하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 하은호;이영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ethods: Totally,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across several c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for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in university students. Its explanatory power of each model was adjusted R2 of .04, 07, and .31 respectively. Major (β=.14, p=.007), health condition (β=.13, p=.028), preparation for old age (β=.52,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or university students, divers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ust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and enhancing preparation for old age.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Comparison of Gender)

  • 이경준;송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57-769
    • /
    • 2016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년도 부가조사,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서 3차년도 기준 50세 이상 64세 미만으로 남녀 중고령자 2,9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의 차이에서는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에 대한 성별 비교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Influence of the preparation design and artificial aging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 Mitov, Gergo;Anastassova-Yoshida, Yana;Nothdurft, Frank Phillip;See, Constantin von;Pospiech, Pete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1호
    • /
    • pp.30-36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acture resistance and fracture behavior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in accordance with the preparation design and aging simulation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An upper first molar was prepared sequentially with three different preparation designs: shoulderless preparation, 0.4 mm chamfer and 0.8 mm chamfer preparation. For each preparation design, 30 monolithic zirconia crowns were fabricated. After cementation on Cr-Co alloy dies, the following artificial ag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1) thermal cycling and mechanical loading (TCML): 5000 cycles of thermal cycling $5^{\circ}C-55^{\circ}C$ and chewing simulation (1,200,000 cycles, 50 N); (2) Low Temperature Degradation simulation (LTD): autoclave treatment at $137^{\circ}C$, 2 bar for 3 hours and chewing simulation; and (3) no pre-treatment (control group). After artificial aging, the crowns were loaded until fracture. RESULTS. The mean values of fracture resistance varied between 3414 N (LTD; 0.8 mm chamfer preparation) and 5712 N (control group; shoulderless preparation). Two-way ANOVA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acture loads for the shoulderless preparation, whereas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chamfer preparations. In contrast to TCML, after LTD simulation the fracture strength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monolithic crowns tested in this study showed generally high fracture load values. Preparation design and LTD simul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racture strength of monolithic zirconia crowns.

내외통제성과 노화불안이 중년기 성인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locus of control and Aging Anxiety on preparation for old age in middle-aged adults)

  • 전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71-576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 중년기 재학생들이 갖는 내외통제성 및 노화불안이 중년기 주요발달과업인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여, 노후준비에 영향력 있는 심리적 변인이 내외통제성과 같은 상황통제에 대한 기본적 생활신념인지, 혹은 노화불안과 같이 중년기에 시기적으로 급증하는 불안기제인지를 파악하려는 탐색적 연구이다. 조사대상자들은 디지털 대학에서 자발적으로 경력개발을 하며 적극적으로 노후를 대비해가는 중년기 재학생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외통제성, 노화불안,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노후준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고, 최종적으로 308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후준비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은 노화불안, 수입, 나이, 종교 등으로 확인되었다. 중년기의 당면한 현실적 난제인 노후준비에는 내외통제성과 같은 개인 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중년기에 급증하는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효과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심리적 기제 차원에서 중년기 성인들은 노화에 대한 지나친 불안보다는 긍정적인 노화관과 노후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생활전략을 가져야함을 제시하였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 정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준비 상태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참여 태도는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 태도는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참여 태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38-74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월평균소득이 그리고 노후태도, 노후불안이 노후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후태도가 높을수록, 노후불안이 낮을수록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세대별 욕구와 특성에 맞는 노후준비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노후태도를 높일 수 있는 의식변화와 단계별 노후생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노후불안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Aging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137-15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0 women ranging in age from 35 years to 65years who reside in Seoul, Gyeonggi-do, and other cities. Two hundred eight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y SPSS WIN14.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middle-aged women by age, academic career, income, area, and religi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y academic career, an income, and area.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y academic career and income. Finally,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n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er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income. Consequently,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social groups, local self-governments, and the government have to educate women on economic management for preparation for old age and human relationship progress programs, as well as promote healthy leisure cultures.

  • PDF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past on Activity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resources)

  • 신수민;김동배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57-83
    • /
    • 2013
  • 본 연구는 과거의 노후 준비가 노년기에 이르러 활동적인 노년 생활을 보내는 것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노후준비를 통해 획득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라는 심리사회적 자원이 이러한 두 요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 서울시 복지패널조사"자료 중 2010년도 가구원용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분석 및 구조방정식으로 모형을 분석하였다. Sobel test를 통해 과거의 노후준비가 활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사회적 자원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노후준비의 구성 요소인 신체적인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 그리고 여가적인 노후준비는 활동적 노년생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거의 노후준비와 노년기의 활동성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어, 부분 매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 진입에 앞서 다양한 영역에 대한 노후 준비는 심리사회적 자원을 획득하고 이는 활동적인 노후생활에 영향을 미치므로 복지정책을 개발함에 있어서도 향후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중장년층에게 노후준비 교육등을 실시하여 심리사회적 자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