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past on Activity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Social resources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 Shin, Soo-Mi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 Kim, Dongba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 신수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 김동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re has neither been enough research on how to approach the concept of active aging through an integrated view nor an examinatio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active aging in later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at the elderly, who have prepared for their later life, affected their active aged life. In addition, by setting up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 in the research model, this paper looks into the psycho-social resource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in depth. In order to verify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s, the Seoul welfare panel data, a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psycho-social resources created by Seoul welfare foundation in 2010, was used. The total sample size was a group of 1,492 elders aged over 65. When it came to our research methods, structured equ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ults revealed that physical preparation, financial preparation, social preparation and leisure preparation directly affected their active aging level positively, thus, psycho-social resource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of the past and active aging level. The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makes an effort to approach the concept of preparation for old age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through making a construct by entire preparation types. Second, it will attempt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past and active aging in terms of multi-dimension is meaningful. Third, this research reveals the function of psycho-social resourc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ithin the relationship. As far a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s concerned, preparation for old age education for the middle-aged class should be modified as a decent field to enhance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과거의 노후 준비가 노년기에 이르러 활동적인 노년 생활을 보내는 것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노후준비를 통해 획득된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라는 심리사회적 자원이 이러한 두 요인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 서울시 복지패널조사"자료 중 2010년도 가구원용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분석 및 구조방정식으로 모형을 분석하였다. Sobel test를 통해 과거의 노후준비가 활동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심리사회적 자원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노후준비의 구성 요소인 신체적인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 그리고 여가적인 노후준비는 활동적 노년생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과거의 노후준비와 노년기의 활동성의 관계에서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어, 부분 매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노년기 진입에 앞서 다양한 영역에 대한 노후 준비는 심리사회적 자원을 획득하고 이는 활동적인 노후생활에 영향을 미치므로 복지정책을 개발함에 있어서도 향후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중장년층에게 노후준비 교육등을 실시하여 심리사회적 자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