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Comparison of Gender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이경준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송희경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0.28
  • Accepted : 2016.01.12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effect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by difference according to comparison of gender on the analysis. The 3th years additional research and 4th years of Korean Panel of retirement and longitudinal study was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2,970 for middle aged using based on over 50 years than 64 years. The explan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preparation according to comparison of gender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men and women. Secondly,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for both men and women show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the preparation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for both men and women is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As a result, the based on gender throug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in accordance with middle-aged ready to raise the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년도 부가조사,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서 3차년도 기준 50세 이상 64세 미만으로 남녀 중고령자 2,9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의 차이에서는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에 대한 성별 비교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5.
  2.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 노인의 특성 비교," 노인복지연구, 통권 47호, pp. 137-160, 2010.
  3. 주예심, 중년층의 노후준비의식과 퇴직태도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 김미령,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통권 62호, pp. 257-288, 2013.
  5.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통계, 2013.
  6.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2011.
  7.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4.
  8.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 13-29, 2004.
  9. 김양이, 이채우,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 사회복지 조사연구, 제19권, pp. 55-82, 2008.
  10. 박창제,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23권, 제1호, pp. 275-297, 2008.
  11. 유인순, 최수일, "베이비부머의 성격특성이 노후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 245-2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45
  12. B. L. Neugarten, R. L. Havighurst, and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 16, pp. 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13. R. J. Havighurst, Middle Age and Aging, The Univ. of Chicago Press, 1968.
  14. M. G. Chekola, The concept of happines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USA, 1974.
  15. A. J. Barrett and P. J. Murk, Life Satisfaction Index for the Third Age(LSITA): A Measurement of Successful Aging, IUPUI Scholar Works, Indiana University-Purdue University Indianapolis, 2006.
  16. 오준범, 이준협, "체감중산층의 삶의 만족도, 체감 저소득층보다 27%p 높다," 이슈리포트, 제34권, pp. 1-14, 2014.
  17. 이승신,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 연구, 제15권, 제4호, pp. 43-61, 2012.
  18.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제42권, 제3호, pp. 449-461, 2013.
  19. 강시모,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 석사학위논문, 2014.
  20. 김원배, 한국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1. 박민서, 조규범,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 제3권, 제1호, pp. 287-303, 2003.
  22. 임주영, 전귀연,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4권, 제1호, pp. 71-87, 2004.
  23. 최혜련,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 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4. 정석희, 중산층 베이붐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간 관계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C. D. Ryff, personality development from the insid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change in adulthood and aging, In P. B. Baltes and O. G. Brim(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1984.
  26. 이소정,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47호, pp. 72-80, 2009.
  27. 김미령,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 145-161, 2012.
  28. 임경자, 중년층의 노후준비가 중년기 위기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9. 보건복지부, 베이비부머 은퇴 후 생활지원을 위한 신복지모형 개발 연구, 2011.
  30. 송석전, 중.장년층의 노후준비 의식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1. 김주성, 최수일,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5권, 제3호, pp. 97-119, 2010.
  32. 김지영,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3. 배계희,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4. 유태균, 김경휘, 사회복지 자료분석의 기초원리, 경기 : 공동체, 2013.
  35. 장은하, 노후준비도가 상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6. 황승일, 초기 노인의 노후관련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7. 김철수, 유성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p. 51-73, 2009.
  38. 강은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 특성과 삶의 만족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236호, 2014.
  39. 김소희, 박미현, "중고령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결정요인과 노후준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 185-19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