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sion-recall

검색결과 703건 처리시간 0.031초

딥 러닝 기반의 영상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한 의료영상 3차원 시각화에 관한 연구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Medical Image using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based on Deep Learning)

  • 임상헌;김영재;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468-475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system for medical images in augmented reality based on deep learning. In the proposed system,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performed fully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region of lung and pulmonary nodule from chest CT images. After applying the three-dimensional volume rendering method to the segmented images, it was visualized in augmented reality devic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nodules were present in the region of lung, it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with the naked eye. Also,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lesions were intuitively confirmed. The evaluation was accomplished by comparing automated segmentation results of the test dataset to the manual segmented imag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egmentation model, we obtained the region of lung DSC (Dice Similarity Coefficient) of 98.77%, precision of 98.45%, recall of 99.10%. And the region of pulmonary nodule DSC of 91.88%, precision of 93.05%, recall of 90.94%. If this proposed system will be applied in medical fields such as medical practice and medic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t can contribute to custom organ modeling, lesion analysis, and surgical education and training of patients.

Automatic Counting of Rice Plant Numbers After Transplanting Using Low Altitude UAV Images

  • Reza, Md Nasim;Na, In Seop;Lee, Kyeo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1-8
    • /
    • 2017
  • Rice plant numbers and density are key factors for yield and quality of rice grains. Precise and properly estimated rice plant numbers and density can assure high yield from rice field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utomatically detect and count rice plants using images of usual field condition from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e proposed an automatic image processing method based on morphological operation and boundaries of the connected component to count rice plant numbers after transplanting. We converted RGB images to binary images and applied adaptive median filter to remove distortion and noises. Then we applied a morphological operation to the binary image and draw boundaries to the connected component to count rice plants using those images. The result reveals the algorithm can conduct a performance of 89% by the F-measure, corresponding to a Precision of 87% and a Recall of 91%. The best fit image gives a performance of 93% by the F-measure, corresponding to a Precision of 91% and a Recall of 96%. Comparison between the numbers of rice plants detected and counted by the naked eye and the numbers of rice plants found by the proposed method provided viable and acceptable results. The $R^2$ value was approximately 0.893.

모멘트 특성을 이용한 다중 객체 이미지 검색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ystem Retrieving Multi-Object Image Using Property of Moments)

  • 안광일;안재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454-460
    • /
    • 2000
  • 영상과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데이터 검색은 기존의 키워드를 이용한 검색이 아닌 내용 기반 검색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위치 이동이나 회전, 크기 변화 등과 같은 각종 변환에 민감하지 않은 불변모멘트(invariant moments)값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질의로서 입력된 객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영상내의 단일 객체뿐만 아니라 다중 객체들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레이블링(labeling) 알고리즘을 적용해 각각의 객체를 따로 분리하여 불변모멘트를 적용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또한, 검색 시간 단축 및 영상의 효율적인 인덱싱(indexing)을 위해 해싱을 응용한 기법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precision 85%, recall 23%의 높은 검색효율을 보였고 기존의 전체 영상의 특징을 가지고는 정확히 표현할 수 없는 객체들의 모양을 정확히 표현해 줌으로써 보다 정화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복잡한 영상 내의 문자영역 추출을 위한 텍스춰와 연결성분 방법의 결합 (Hybrid Approach of Texture and Connected Component Methods for Text Extraction in Complex Images)

  • 정기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6호
    • /
    • pp.175-186
    • /
    • 2004
  • 본 논문은 복잡한 컬러 영상에서의 문자 추출을 위한 텍스춰와 연결성분 방법의 결합된 방법을 제안한다. 자동 학습 방법으로 구축된 다층 신경망(multilayer perceptron)은 부트스트랩 학습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특징값 추출 단계 없이 다양한 환경의 입력 영상에 대한 검출률(recall rate)을 향상시키며, 검출률을 향상함으로써 발생되는 정확도(precision rate) 저하 문제는,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를 이용한 연결 성분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극복한다. 문자의 존재 비율이 낮은 입력영상에 대하여 CAM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역 마킹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두 방법을 결합함으로써 야기되는 속도 저하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이 텍스춰와 연결성분 방법을 결합함으로써 강건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A Multi-Level Integrator with Programming Based Boosting for Person Authentication Using Different Biometrics

  • Kundu, Sumana;Sarker, Goutam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5호
    • /
    • pp.1114-1135
    • /
    • 2018
  • A multipl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new boosting technique has been approached utilizing different biometric traits, that is, color face, iris and eye along with fingerprints of right and left hands, handwriting, palm-print, gait (silhouettes) and wrist-vein for person authentication. The images of different biometric traits were taken from different standard databases such as FEI, UTIRIS, CASIA, IAM and CIE. This system is comprised of three different super-classifiers to individually perform person identification. The individual classifiers corresponding to each super-classifier in their turn identify different biometric features and their conclusions are integrated together in their respective super-classifiers. The decisions from individual super-classifiers are integrated together through a mega-super-classifier to perform the final conclusion using programming based boosting. The mega-super-classifier system using different super-classifiers in a compact form is more reliable than single classifier or even single super-classifier system. The system has been evaluated with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score metrics through holdout method and confusion matrix for each of the single classifiers, super-classifiers and finally the mega-super-classifier. The different performance evaluations are appreciable. Also the learning and the recognition time is fairly reasonable. Thereby making the system is efficient and effective.

영상 형태 특징을 이용한 내용 기반 검색 시스템 (Content-based Retrieval System using Image Shape Features)

  • 황병곤;정성호;이상열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3-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형태 특징을 이용한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형태특징을 얻기 위해서 먼저 체인코드를 이용하여 경계선 추출을 추출하였다. 형태특징으로 객체의 경계선과 무게중심까지의 합, 표준편차 그리고 객체의 장축과 단축 비율 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형태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상과 질의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 순위에 따라 후보 영상들을 검색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크기, 회전 이동 등의 변화에 둔감하였다. 약 170개의 폐곡선을 이루는 영상에 대한 검색 실험을 통하여 모양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 Recall/Precision이 0.72/0.83를 보임으로써 제안된 방법이 유용함을 보였다.

  • PDF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MPEG 비디오의 통계적 장면전환검출 (A Statistical Approache to Scene Change Detection using Motion Compensation in MPEG)

  • 장동식;권도경;이만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5호
    • /
    • pp.440-45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 비디오의 급진적 장면전환검출을 위한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프레임들의 DC 계수만을 디코딩하여 DV 영상을 추출한다. 그리고 두 DC 영상 사이에서 움직임 예측을 시행함으로써 크기가 줄어든 DC 영상에 적합한 움직임 벡터를 찾아내며, 얻어진 DC 영상과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프레임 사이의 유사도 측정치를 구함으로써 장면전환을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유사도 측정치, 즉 움직임 보상된 프레임간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이를 시퀀스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장면전환을 검출한다. 실험 겨로가, 제안된 알고리즘은 대부분의 시퀀스에서 90% 이상의 ‘recall’과 ‘precision’을 나타내었으며 시퀀스에 따라 서로 다른 임계값을 사용하는 기존의 알고리즘들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Empirical Comparison of Deep Learning Networks on Backbone Method of Human Pose Estimation

  • Rim, Beanbonyka;Kim, Junseob;Choi, Yoo-Joo;Hong, Min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1-29
    • /
    • 2020
  • Accurate estimation of human pose relies on backbone method in which its role is to extract feature map. Up to dated, the method of backbone feature extraction is conducted by the plai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named by CNN and the residual neural networks named by Resnet, both of which have various architectures and performances. The CNN family network such as VGG which is well-known as a multiple stacked hidden layers architecture of deep learning methods, is base and simple while Resnet which is a bottleneck layers architecture yields fewer parameters and outperform. They have achieved inspired results as a backbone network in human pose estimation. However, they were used then followed by different pose estimation networks named by pose parsing modul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esent a comparison between the plain CNN family network (VGG) and bottleneck network (Resnet) as a backbone method in the same pose parsing module. We investigate their performances such as number of parameters, loss score, precision and recall. We experiment them in the bottom-up method of human pose estimation system by adapted the pose parsing module of openpos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backbone method using VGG network outperforms the Resent network with fewer parameter, lower loss score and higher accuracy of precision and recall.

협업필터링에서 포괄적 성능평가 모델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 유석종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3-90
    • /
    • 2012
  • 대규모의 상품을 다루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개인화된 추천은 필수적인 기능이 되고 있다. 대표적 추천 알고리즘인 협업필터링은 내용기반 추천에 비하여 뛰어난 추천성능을 제공해 주고 있으나, 희박성, 신규 아이템 문제(Cold-start), 확장성 등의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협업필터링이 목표 대상자에 따라 비일관된 예측 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추천 성능의 편차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추천성능의 편차는 기존의 Mean Absolute Error(MAE)에 의해서는 측정되기 어려우며 또한 정확도, 재현율 지표와도 독립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협업알고리즘의 정확한 성능평가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MAE, MAE 편차, 정확도, 재현율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확장 성능평가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클러스터링 기반 협업필터링에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개체기반 온톨로지 검색시스템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n Individual Instance-based Ontology Retrieval System for Archival Records of the "Saemaul Movement")

  • 이병길;김희섭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7-9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마을운동 기록물을 위한 개체기반 온톨로지 검색시스템의 설계와 그 성능평가이다. 개체기반 온톨로지 설계를 위하여 Protege editor4.1을 사용하였고, 새롭게 구현된 검색시스템의 성능은 단문5개, 장문10개의 질의유형으로 기존 나라기록의 키워드 기반 검색시스템과 정확률과 재현율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체기반 온톨로지 검색시스템이 정확률과 재현율 모두 키워드 기반 시스템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