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검색결과 1,060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91-2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in planning a science lesson. The participants were six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idwestern area of Korea. Data regarding their planning strategies were gathered through both thinking-aloud and observation.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ree of the teachers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reviewing unit contents or prior learning for planning a science lesson; five student teachers relied heavily on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eachers' guidebooks without considering their appropriateness; all teachers exhibited an intention of composing different activities or teaching approaches from teachers' guidebooks; only two teachers thought about learners' prior knowledge or understanding levels; five and three teachers had poor understanding of discovery learning models and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ing, respectively; and five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assessment.

  • PDF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erception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racticum and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517-5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difficulties of mathematics instruc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eaching profession through teaching practicum. In addition, they have perceived that teaching practicum can enhance teaching methods for their students. Especially, they suggested that cooperating teachers' instruction and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colleagues' classroom observation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In other hands, they have difficulties in application of questions encouraging mathematical thinking, attention concentration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planning and performing for mathematics instruction class according to levels of students' study abilities. Based upon this study's findings,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uld make efforts to alleviat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such as regular reflection activities for their classes, programs development associated with schools, pre-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guidance teachers.

예비교원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계발 : 소프트웨어 에듀톤 사례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Software Education Competencies : Focusing on the Case of SW Edu-thon)

  • 최형신;양창모;박선주;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59-266
    • /
    • 2017
  • 본 논문은 예비교원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된 소프트웨어 에듀톤 프로그램의 내용을 소개하고 그 성과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별 소프트웨어 에듀톤 예선을 거쳐 선발된 22팀의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영역은 SW능력 수준, 학습 동기, 교육 결과, 강사 만족도, 멘토 교사 만족도, 교육과정 만족도, 교육과정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또한 예비교원들을 지도한 멘토 교사들이 작성한 멘토 교사 일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양적 및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한 소프트웨어 에듀톤 프로그램의 성과 분석 결과와 향후 에듀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 -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What D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See in Class? -Throug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and Criticism of Class-)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9-21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을 평가하며 좋은 과학 수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32명의 예비교사들은 2인 1조로 수업을 시연하여 총 16회의 수업이 시연되었다. 또 자신의 수업을 제외한 15회의 수업에 참여하면서 수업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평가지는 모두 480장이었다. 이 평가지를 분석하여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은 3개 범주 9개의 주제 묶음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3개의 범주는 '참여도가 높은 수업', '잘 구성된 수업 설계', '양질의 수업자료'이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잘 짜여진 수업 설계, 활발한 상호작용이 좋은 과학 수업의 요건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업 시연 및 수업 평가의 경험을 통해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이미지를 그려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21-229
    • /
    • 2016
  •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들의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차원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에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는 대부분 초점 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즉각적이고 기술적이었다. 학기 말에 실시된 분석 결과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가 질문 차원과 변화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대부분 대해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대화적이고 변혁적인 수준으로 높아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은 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The Effect and Disturbance Factors of Practica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PACK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정미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05-3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 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d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03-227
    • /
    • 2020
  • This study is observed in this paper that how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ual mathematics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nio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ir mathematical beliefs and analyzing their actual mathematics classes in a teaching practic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generally shown in a similar tendency. The beliefs form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belief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have coexisted. Second, the teachers' belief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practices are largely inconsistent. Third, wh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lan and implement their mathematic classes,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guidanc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ir own mathematical beliefs.

중등 예비교사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Teaching Portfolio i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이은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5-6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대해 효과적인 교사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e-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에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 교사교육에 대한 e-티칭 포트폴리오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이해교육 과목의 e-티칭 포트폴리오를 설계 및 개발하여 수업에서 적용한 후, 적용에 대한 수강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e-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에 대해 자료 축적 및 관리, 자기성찰의 기회, 생소함에서 오는 저항과 부담, 티칭 역량 향상 및 증빙을 통한 미래 준비, 소통을 통한 전문성 신장 기회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방법으로서 e-티칭 포트폴리오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 PDF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for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Ben-Chaim, David;Ilany, Bat-Sheva;Keret, Yaff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85-108
    • /
    • 2008
  • In this study, we created,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impact of proportional reasoning authentic investigative activities on the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pecial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implemented, and tested as part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conducted in Israeli teacher colleges. The model was developed following pilot studies investigating the change in mathematical and pedagogical knowledge of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ue to experience in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application of the model, through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gain experience and are exposed to authentic proportional reasoning activities with incorporation of theory (reading and analyzing relevant research reports) and practice, leads to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addition, improvement occurred in their attitudes and beliefs towards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in general, and ratio and proportion in particular.

  • PDF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s Presented in Microteaching Lessons

  • Chung, Choong-Duk;Kang, Kyu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05-1416
    • /
    • 201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s present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students who attended a lecture course on science teaching methods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national university. The simulated lessons that were performed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went through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Then, the next set of lesson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After the first set of simulated lessons,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t the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was most remarkable in the focus dimension. In the inquiry and change dimensions, technical reflection stood out. Dialogic or transformative reflection was rarely presented. In addi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mingling patterns of reflection levels in all of the three dimen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prove that microteaching has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in terms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subsequent studies to create a new model that can encourag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by structuralizing peer and self-assessment during the process of micro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