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연구 (A Study on Image Types of Homosexu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이연선;김태경;연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1-237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 4학년의 예비유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Q-모집단을 마련하였다. 그 중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표본을 만들고, 4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진술문의 동의수준을 9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 '존중형-동성을 사랑하는 보통 사람', '인정형-시선이 집중되는 독특한 사람', '관계부정형-나와 다른 자아를 타고난 사랑', '극단적 부정형-존중받지 못하는 혐오스런 사람'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동성애에 대한 인식론적 지배담론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념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다문화교육에서 침묵된(silenced)부분인 성에 대한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동성애에 대한 교육자의 시각을 점검해보고 한국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유아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살펴본 예비교사의 관찰 실습경험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al Experience From Post-modernsist Perspective)

  • 안효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7-211
    • /
    • 2012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s encounter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observational practicum at day care centers. This study involved one cohort of 32 junior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related to observing children was to develop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an unfamiliar context. 2)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s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children and their circumstance. 3)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tudents'experience in observing children wa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in child-teacher spoken interaction.

초임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 인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 최연화;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5-15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of newly-appointed childcare teachers would predict work adjustment, and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Method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regression,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when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work adjustment. Second, ac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ere the variables that could predict the work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Thir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ewly-appointed teachers had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choosing a teaching profession and work adjustment, as well as on the complete-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motivation and work adjustment. Implications: The training institute should strengthen education that could foster active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daycare centers should establish a cooperative workplace culture for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newly-appointed teachers.

영아교사의 능동적 직업선택동기가 영아와의 상호작용 질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Dysregulation)

  • 양수진;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1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a profession on the quality of their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ir emotional dysregul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A mobil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82 sets of results have been collected. Moderating effects have been explored with the use of PROCESS Macro (version 3.5) Model 1. Results: The main findings showed that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dysregula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active motivation on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regulate their emotions can simultaneously play a role as a protective factor as well as a risk factor for the quality of interaction. Also, it was revealed that is necessary to give pre-service teachers an opportunity to deliberate on their motivations for a childcare teacher position.

예비보육교사의 현실 충격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구학적 배경,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Variables on Expectation of Reality Shock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 Focus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silience, Self-efficacy and Perfectionism)

  • 하지영;김양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33-35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의 개인적 변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이 보육교사가 된 이후 맞이하게 될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를 희망하는 1~4학년 대학생 176명이었으며, t-검증, ANOVA,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정도가 더 높아졌다. 둘째,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학년, 자기효능감, 완벽주의 성향은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보육교사가 현실 충격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고, 미래의 교사로서 적절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 및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지도전략 (Teachers' Recognition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Behavioral Problem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y)

  • 정호경;이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47-368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지도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 정도는 2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교사 집단이 기타 집단보다, 유치원 교사 집단이 어린이집 교사 집단 보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전략과 관련하여 하위 영역에서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 긍정적 예방전략 I를 많이 행하였으며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유아 문제 행동 지도 전략 사용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여준다. 설명하건대, 자아탄력성이 높은 교사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해 더 많이 긍정적 예방전략과 긍정적 반응전략을 행하고 있는 반면 부정적 반응전략은 자아탄력성 하위 집단의 교사가 상위집단의 교사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유아 문제 행동 지도와 관련하여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그리고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여줌으로 이러한 변인을 고려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해 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분석 (A Study on Physic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ance Manual for the Nuri Curriculum of Four-Year-old Children -Focusing on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

  • 홍길회;윤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7-200
    • /
    • 2015
  • 본 연구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을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대학의 유아교육과 2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을 위해 비형식적 면담과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그리고 30회기의 수업평가서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의 주된 목표를 '표현하기'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둘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에 제시된 보조 자료인 '동영상, 그림책, 음원, 그림 자료' 등을 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실행 시 나타나는 오류나 문제점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활동'과 '제목에 따른 활동 방법이 부적합하게 제시된 활동'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이해하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개선점으로, 본 활동을 실시하기 전 기초적인 신체활동이 먼저 이루어져야 함과 수업시간에 적절한 실제물의 제시, 교사의 시범의 필요성,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서 그 상황에 필요한 규칙을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드는 것,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누리과정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기 전 교사로서 깊이 있는 사고와 판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내용기반 교수법을 근거로 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실시한 교수자의 어려움 (Understanding Instructor's Challenges of Content Based Instruction :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안효진;김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81-20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영어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교수자가 구성한 어려움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내러티브 탐색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관찰, 인터뷰, 학생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이 연구 자료로 수집되었다. 그 결과, 우선, 준비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원어민이 아니지만,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는 압박과 영어로 수학교육내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였다. 수업 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동기 유발을 갖도록 하는 것과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 간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준비와 실행 단계에서 부족했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학과에서 영어로 전공 수업을 하는 상황에서 의미 있고,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찾아보는 것에 기여를 할 것이라 사려된다.

교육실습 후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ce Education Lecture)

  • 이은진;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7-118
    • /
    • 2014
  •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이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교육 내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아동과학지도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실습 시전체 아동과학지도 수업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 40% 정도가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이 도움이 된 정도에서는 '보통정도'의 인식을 나타냈다. 교수방법 중에서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아들 앞에서의 실제교수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론위주의 강의 중심'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아동과학지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제적인 경험이 가능한 교육내용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교수방법 측면에서는 강의식 수업방식보다는 실제 유아들 앞에서 과학수업을 경험해 보는 교수방법이나 현직 유아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과학수업을 분석해보는 형식의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titude Enhancement Program for Freshmen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Empathic Ability, Department Satisfaction)

  • 이세나;김민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5-10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그리고 학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신입생 55명이며, 이들 중 28명은 실험집단에, 27명은 비교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2018년 14학기 동안 인지, 정서, 행동적 영역이 통합되어 구성된 감사증진 프로그램을 경험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 검사를 실시하여 SPSS WIN 20.0을 활용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위한 감사증진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공감능력, 학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적응과 학습 지속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