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OVID19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5초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한 통합적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Impact of an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on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이경미;전은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ssess the impact of an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on the awareness, attitude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 25 caregiver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us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pre-post design. The effectiveness of a developed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ttitudes, and perform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8.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Fisher's exact tests, and independent t-test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wareness (t=-5.00, p<.001), attitude (t=-4.91, p<.001), and performance (t=-6.66, p<.001) of infection control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Given these results, the integrat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ttitudes, and performance among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is study is noteworthy because it provided comprehensive education on infection control practices to caregivers in environments tha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infections, especially following COVID-19. This educational program is actively utilized and validated in practice, it would enhance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caregivers, thereby reducing infection rates within facilities, shortening the length of stay for elderly resident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healthcare costs.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대한 대학일반수학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College General Mathematics according to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Classes)

  • 박윤정;이광호;이헌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24-336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대학생들의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M대학교 공과대학 3개 학과 1학년 학생 9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A학과 39명과 B학과 36명은 사전 녹화된 수업동영상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으로, C학과 1학년 22명은 대면수업을 진행하였고, 한 명의 교수자에 의해 수업 방식만 달리하여 동일한 교재와 동일한 내용, 동일한 유형의 문제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중 수시전형으로 입학한 A학과 학생 35명, B학과 학생 34명, C학과 학생 17명에 대한 고교내신등급을 수집하여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이 학생들의 2021학년도 1학기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따른 일반수학 교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일반수학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의 수업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DEA 모델을 이용한 중국 환 발해만 지역 관광산업의 경제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Efficiency of Tourism Industry in China's Bohai Rim Region Using DEA Model)

  • 이정;심재연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67-276
    • /
    • 2023
  • 본 연구는 2015~2021년 중국 환 발해만지역의 5개 성 및 도시의 관광 투입 및 생산 데이터를 기반으로 DEA-BCC와 DEA-Malmquist 지수를 사용하여 지역의 관광 효율성을 분석하고 지역경제 효율성에 기여하고 종합적인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의 종합 관광 효율성은 최고 수준인 88.9%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일정한 발전 여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하파동 모멘텀을 나타낸다. 관광의 전요소생산성은 전체적으로 'u'자 변동형 증가 상태이며 성장은 주로 기술 진보 변화의 기여에 기인하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19~2020년 중국 환 발해만 지역의 전요소생산성은 거의 50% 감소하여 그러나 2021년 중국 정부의 각종 부양책 발표로 관광 효율성이 코로나19 이전 80%로 빠르게 회복되었다. 중국 환 발해만 관광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로 볼 때 하북성은 특히 북경-천진-하북성 공동 개발 전략의 결과인 지역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관광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공급 구조를 최적화하고 혁신에 대한 투자를 늘리며 내부 협력을 강화하는 세가지 측면에서 제안을 제시한다.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n online non-face-to-face adult nursing practice experienced by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n the ontact era)

  • 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5-205
    • /
    • 2021
  • 코로나19가 대유행이 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간호학과에서는 기존의 실습방법이 아닌 온라인 비대면 실습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을 이해하고자 참여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대학 간호학과 졸업학년인 4학년 재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45명이다.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은 2학점 90시간으로, 1일 9시간씩 총 10일 운영되었다. 본 온라인 성인간호학실습은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션실습, 컴퓨터 기반 간호술기실습, 동영상 및 교육자료 제작, 실시간 온라인 퀴즈와 온라인 강의영상시청, 토론 등으로 구성되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 13개의 주제모음, 3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로는 '다양한 상황경험', '새로운 학습의 경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감', '교수자와의 관계형성', '비대면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 '예비간호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진술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교육현장에서 성인간호학실습이 임상실습기관이 아닌 비대면 실습으로 진행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운영하고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성인간호학 실습개발 및 운영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비정형 패션 이미지 검색을 위한 MASK R-CNN 선형처리 기반 CNN 분류 학습모델 구현 (Implementation of CNN-based Classification Training Model for Unstructured Fashion Image Retrieval using Preprocessing with MASK R-CNN)

  • 조승아;이하영;장혜림;김규리;이현지;손봉기;이재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3-2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패션 분야의 비정형 데이터 검색을 위한 패션 아이템별 세부 컨포넌트 이미지 분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코로나-19 환경으로 인하여 최근 AI 기반 쇼핑몰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존의 키워드 검색과 사용자 서핑 행위 기반 개인 맞춤형 스타일 추천으로는 정확한 비정형 데이터 검색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크롤링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Mask R-CNN을 활용한 전처리를 진행한 후, CNN을 통해 패션 아이템별 컴포넌트에 대한 분류를 진행하였다. 셔츠의 카라 및 패턴과 청바지의 핏, 워싱 및 컬러에 대한 분류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전이학습 모델을 비교 분석한 후 가장 높은 정확도가 나온 Densenet121모델을 사용하여 셔츠의 카라는 93.28%, 셔츠의 패턴은 98.10%의 정확도를 도달하였으며, 청바지의 핏은 Notched, Spread, Straight 3가지의 클래스의 경우 91.73%, Regular 핏을 추가한 4가지의 클래스의 경우 81.59%, 청바지의 색상은 93.91%, 청바지의 Washing은 91.20%, 청바지의 Demgae는 92.96%의 정확도를 도출하였다.

언택트 시대에 비대면 수업이 의류학 분야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기법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o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Clothing Major: Focused on Application Case of Flipped Learning)

  • 김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1-165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증가한 비대면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학 수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학습 만족도를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있는 S 대학교에서 진행되는 의류학 이론 전공 1개 교과목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해당 교과목에 설정된 주요 핵심역량인 문제해결 역량을 중심으로 3가지 세부 영역인 문제분석력, 자원·정보·기술활용 능력, 융·복합적 사고력 및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에서 비대면 수업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플립러닝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후, 3가지 문제해결 역량 세부 영역에서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의류학 전공 분야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효과 측정은 주로 패션디자인과 의복 구성 교과목에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플립러닝과 같은 교수·학습법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 진행은 학습자의 전공 지식 습득을 넘어 문제해결 역량과 같은 대학생 핵심역량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 제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류학 전공 교과목 중 이론 중심의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비대면 수업 방식의 적용 사례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비대면 수업 설계 전략에 기초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

고교학점제를 위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STEAM) Program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 권혁수;김어진;김재운;민재식;배상일;손미현;이효녕;최진영;한미영;함형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93-10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5년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 활용 가능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선행연구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수소연료', '기후위기', '데이터 사이언스', '적정기술', '바리스타'라는 5개의 최신 이슈를 주제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고교학점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형식(틀)에 맞춰 집단 숙의의 과정을 통해 7개월간 개발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직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5종 29차시의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초안은 2인의 융합교육(STEAM) 교육 전문가에게 자문을 통해 검증을 받았으며,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5개 고등학교 627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의 융합교육(STEAM) 태도는 사전보다 사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범 적용 교사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이 적합하며,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관련 교과의 내용 지식을 적용하고 진로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바탕으로 5종 29차시의 학생용·교사용 고교학점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차시대체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과 고교학점제가 바람직하게 정착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 마련, COVID-19로 촉발된 블렌디드 수업 설계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2025년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 김용국;송유미;조상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1-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공원의 설계·관리 방향을 제안하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조성·관리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원칙을 설정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 차원에서 신도시와 기성도시에 기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셋째,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를 통해 스마트 공원의 공간 구성 요소별 설계·관리 기준 풀을 마련한 후,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정제했다. 넷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자체와 조경 분야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공원의 개념을 "디지털·환경·재료 기술 등을 활용하여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공원 이용과 관리·운영의 효율 개선을 지원하여, 도시 및 지역사회의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는 공원"으로 조작적 정의했다. 둘째, 스마트 공원의 세 가지 원칙으로 공원의 본질적 가치 개선,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기능 향상, 설계와 조성·관리 과정의 스마트화를 제시했다. 셋째, 신도시와 기성 도시에 조성된 스마트 공원 조성 사례 분석을 통해 개선 시사점을 도출했다. 넷째, 녹지 영역, 수경시설 영역, 도로 및 광장 영역, 조경 시설물 영역, 공원 설계 방법 등 다섯 가지 측면에서의 스마트 공원 설계·관리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스마트 공원 조성·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시 성장 단계와 공원 유형별 스마트 공원 정책사업 모델 발굴 및 시범사업 추진, 한국형 뉴딜 정책과 연계한 스마트 공원 사업 추진, 조경 전문가가 주도하는 스마트 공원 정책 추진의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교양 영어 수업 제안과 학습효과 (Lesson Recommendations and Learning Effect of College English Class)

  • 박주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35-24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S 대학교 교양 필수 과목 중 하나인 교양 영어의 효과적인 수업을 제안하고 학습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과목은 1학년 전공이 다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학습 목표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학생들의 영어 능력, 특히 문장을 문법적 요소로 분석하여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논문은 코로나 시대에 교양 영어 수업을 어떻게 융합 수업 형태로 진행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학습효과를 낼 수 있는지 고찰해 본 것이다. 이 융합 수업의 형태는 첫째, 강의 영상, 둘째, Webex 실시간 비대면 수업, 셋째, 대면 수업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 한 학기 동안 이루어졌던 수업 중 1차시 수업의 수업 절차를 예시로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구체적으로 수업전 수강 설문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실력과 학습자의 특성 등을 파악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강 후 설문지를 30개 항목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강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 강의 영상에 대한 만족도, 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학습효과 등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수업 제안은 융합 형태의 학습자 중심의 모형이다.

Association between coronavirus disease 2019-related workplace interventions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 Hyun Woo Park;Seung Hyun Park;Young Wook Kim;JunSeok Son;Chan Woo Kim;Hyoung Ouk Park;Jun Ho Lee;Young Hoo Shin;Chang Ho Chae;Eui Yup Chung;Hun Jeong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11.1-11.9
    • /
    • 2022
  • Background: Although coronavirus disease 2019 is causing a variety of psychological problems for workers, there are few longitudinal studies on changes in workers' mental health by workplace interventi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workpla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78 workers at a workplace who underwent a health screening from January 2019 to August 2020, and classified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fter the first pandemic, the company stopped health screening, took paid leave and telecommuting, and conducted interventions such as operating its own screening clinic. To see if this workplace intervention affects workers' mental health, we conduct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to compare odds ratio (OR). Results: In the pre-intervention group, 384 people (16.86%) had depression, and 507 people (22.26%) had anxiety disorder. Based on the OR before intervention, the OR of depression decreased to 0.76 (0.66-0.87) and the OR of anxiety disorder decreased to 0.73 (0.65-0.82).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orkplace intervention was related to a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improve workers' mental health according to workplace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according to workplace interven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