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application ability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Recent Developments of Metal-N-C Catalysts Toward Oxygen Reduction Reaction for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 Review

  • Jong Gyeong Kim;Youngin Cho;Chanho Pak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07-219
    • /
    • 2024
  • Metal-N-C (MNC) catalysts have been anticipated as promising candidate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to achieve low-cost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The structure of the M-Nx moiety enabled a high catalytic activity that was not observed in previously reported transition metal nanoparticle-based catalysts. Despite progress in non-precious metal catalysts, the low density of active sites of MNCs, which resulted in lower single-cell performance than Pt/C, needs to be resolved for practical application. This review focused on the recent studies and methodologies aim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evelop an inexpensive catalyst with excellent activity and durability in an alkaline environment. It included the possibility of non-precious metals as active materials for ORR catalysts, starting from Co phthalocyanine as ORR catalyst and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e.g., metal-coordinated N-containing polymers, metal-organic frameworks) to form active sites, M-Nx moieties. Thereafter, the motivation, procedures, and progress of the latest research on the design of catalyst morphology for improved mass transport ability and active site engineering that allowed the promoted ORR kinetics were discussed.

온라인상에서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한국어 학습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Application Using Google Classroom: Focused on Learning Korean)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3-578
    • /
    • 2019
  • 본 논문은 몽골인들을 위한 구글 클래스룸을 기반 PBL(Problem Based Learning) 한국어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최근 몽골인들은 한류 때문에 한국어를 배우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전체 방송 프로그램의 약 90%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몽골인들의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온라인 문제 기반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9주 동안 3가지 문제를 적용했다. 이 연구는 참가자들이 구글 클래스룸과 PBL의 여러 가지면에서 효과적임을 경험했으며, 93 %의 참가자가 구글 클래스룸과 PBL을 활용해서 한국어를 쉽고 재미있는 원격 학습 모델로 배울 수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90 %의 참가자가 Googlish 프로그램들을 더 배우고 싶다고 했으며, 85%는 온라인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이 쉽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들 중 100 %는 언제든지 구글 클래스룸에서 온라인 교사와 함께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 좋다고 했다. 실제로 그들 중 86 %는 PBL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새로운 지침을 제시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PBL을 이해하기가 어렵게 느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어 수업의 구성원들이 구글 클래스룸 기반 PBL을 통해 학습 내용 이해, 협력 학습 이해, 실습 경험, 창의적인 문제 해결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자신감 등 다양한 효과를 경험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서비스러닝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 신명희;김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99-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을 통한 교실 안의 학습이 지역사회에 실용적으로 전이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12월28일까지 교양 과목 수강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수업과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즉,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수업이 자기주도 학습의 하위 요소인 개방성, 자율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그렇다면 학습자 개인의 변인은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연구결과, 자율성과 문제해결능력 r=.6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개방성과 자기평가(r=.60) 자율성과 자기평가(r=.5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의 결과를 가져왔다. 서비스러닝에 있어서의 학습자 자율성은 서비스러닝 활동의 학습 촉진 및 협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학생들은 자기가 학습한 내용을 심화하여 지역사회기관 봉사를 통해 실천하고 경험하며 학교에서의 배움이 강의실에 머물러 있지 않고 사회로 환원이 가능한 개방성, 자율성, 봉사의 실천을 통해 실질적 세계에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해결 그리고 성찰을 통한 자기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학습자들은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과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존감을 고취 시킬 수 있었다.

장거리 영상기반 변위계측 시스템 검증 (Verification of Long-distance Vision-based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 김홍진;허석재;신승훈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47-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long - range measurement performance for practical field application of VDMS. The reliability of the VDMS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monitoring sensor, GPS, Accelerometer and LDS. It showed the ability to accurately measure the dynamic displacement by tracking a motion of free vibration of target. And using the PSD function of measured data, the results in the frequency domain were also analyzed. We judged that VDMS is able to identify the higher system mode and has sufficient reliability. Based on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we conducted tests for long-distance applicability for actual application of VDMS. The distance from the stationary target model structure was increased by 50m interval, and the maximum distance was set to 400m. From the distance of 150m, the image obtained by the commercial camcorder has an error in the analysis, so the measured displacement comparison was performed between the LDS and the refractor telescope measurement results. In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displacement area of VDMS, the data validity was deteriorated due to the data shift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quality degradation of the enlarged image. However,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data of VDMS is low, the first mode characteristic included in the free vibration of the object is clearly measured. If the influence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s controlled and stable data is collected, It is judged that reliability of long-distance VDMS can be secured.

드럼 세트 연주 시 그립이 연주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complex effect of grip on performance when playing a drum set.)

  • 한호석;조태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349-357
    • /
    • 2022
  • 드럼은 현대 대중음악에서 그립을 활용하는 대표적인 악기이다. 기본 그립을 어떠한 방식으로, 얼마나 확실하게 잡는지에 따라 연주 능력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그립의 특징과 장, 단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복합적 영향을 도출해 연주자들에게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크게 트래디셔널 그립과 매치드 그립으로 나누고 세부적으로 저먼, 아메리칸, 프렌치 스타일과 하이브리드 스타일을 포함해 활용한 연주 방법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해외 전문 드럼 사이트인 드러머 월드에 등재된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모든 드러머의 그립 방법을 참고한다. 본 연구는 드럼 세트에서 가장 기본 시 되는 그립 방법을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여러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그립에 따라 연주적 영향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그립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모두 이해하고 연주를 한다면 앞으로의 연주에 한층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시장지향적 MIS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rket Oriented MIS Curriculum)

  • 이지면;박기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207-222
    • /
    • 2008
  • 최근 기업의 경영환경에 있어서 MIS의 역할이 심화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그러나, MIS 영역이 Micro Economics, Operations Research, Computer Science 등 다양한 학문으로부터 연유된 바 경영학의 줄기에서 정체성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고, MIS 커리큘럼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다른 경영학 전공 영역과 구분을 짓기가 모호한 부분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IT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의 입장에서 현재 경영학과에서 제공하는 MIS 교과과정을 통하여 현장에 바로 활용이 가능한 IT 역량을 쌓는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IT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기초로 MIS 커리큘럼을 구성하기 위해 최근 3년간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의 유형 분석과 현장의 IT 업무를 담당하는 컨설턴트의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IT 기술역량 분석, 그리고, Global S/W Vendor의 기술동향 분석, 최근 제시된 MIS 커리큘럼 현황 및 발전모델(이국희 et al., 2007)을 참조하여 시장지향적인 MIS 커리큘럼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의 시스템 통합은 Application S/W의 발전 및 Package화를 통해 ERP, CRM, SCM, BI 등의 솔루션 전문가를 중심으로 사업이 구성되고 있다. 또한, S/W Vendor 역시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화되고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업 현장의 IT 인력도 이러한 Packaged S/W Application의 역량을 보유한 솔루션 전문 컨설턴트를 필요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충족할 인재양성을 위한 커리큘럼의 변화방향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통합 치위생 실습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clusive Dental Hygiene Practice Model)

  • 박인숙;우승희;최미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5-160
    • /
    • 2010
  • 국민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본 연구는 2009학년도 2학년 41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31일부터 2009년 12월 7일까지 15주 동안 기존 실습 교과목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통합치위생실습모형을 개발하여 적용시켜 치위생실습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통합 치위생 실습 모형 적용 전 후를 비교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력, 만족 도 전반적인 과정 모두 적용 전보다 적용 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학습동기에서는 학습동기의 관련성, 만족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자기주도적 학습력에서는 학습자로서의 자기 확신, 학습에 대한 호기심,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만족감에서는 학습 전보다 학습 후가 만족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학업수준에 따른 학습동기의 변화와 자기주도학습력의 변화, 수업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본 결 과, 통합치위생실습 모형이 하위집단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3. 통합치위생실습을 통해 기존 단편적인 실습 교육에서 벗어나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구 강관리를 시행하는 실물 위주의 교육과 실천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감을 회복을 비롯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등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개인구강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효과 개선을 위해서는 통합 치위생 실습모형을 실기 교과목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이론 교과에도 적용하여 이론과 실기 교과목이 연계되어 포괄적인 구강관리 능력을 함양시켜야 하고, 국가고시 합격률 결과만을 위해 주입식 교육만을 행할 수밖에 없는 여건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 학습법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정보디자인의 수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hetorical Expression of Public Information Design -Focus on Information Design Case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 양승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95-104
    • /
    • 2005
  • 정보과도화(information overload)'와 '정보 불안(information anxiety)' 현상을 겪고 있는 21세기를 우리는 '정보의 시대(age of information)'라고 말한다. 사람들이 인지해야 할 정보는 더 많고 복잡해졌지만 개인의 정보처리능력은 제한되어있다. 따라서 정보디자이너는 효율적인 시각시스템을 개발하여 대중의 쉽고 빠른 커뮤니케이션을 도와야하는 시대적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문제인식에서 시작하였다. 점차 정보와 각 언어의 중요성이 높아져 가는 시점에서 사회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을 수사학에서 찾아보았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해온 수사학은 오늘날 시각정보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 환원에 수많은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정보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수사학적 표현원칙과 논리를 파악하여 정보디자인의 수사학적 프로세스와 표현 방법을 제안하구 디자인의 사회적 활동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사학적 방법론을 사례작품인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에 적용하여 새로운 맵과 안내서를 개발하였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서울시 대중교통 정보디자인의 현황을 분석하고,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사용자평가를 실시하였다. 48개 TAZ를 기본으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를 모듈화하고, 가능한 이동경로를 환산하여 예측될 수 있는 정보읽기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은 통합정보제공과 컬러코딩의 사용, 스타일의 적용 및 순차적인 정보읽기프로세스에 따라 진행되었다.

  • PDF

텍스트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의 이해와 과학교육에서의 활용에 대한 논의 (Understanding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extual Data and Discussion for Its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 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7-319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해 관심과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과학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을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의 주요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그 한계를 지적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교육의 실행과 연구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은 대체로 인코더와 디코더로 이뤄진 트랜스포머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과 보상 모델에 대한 최적화, 문맥에 대한 이해 등을 통해 놀라운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사용자의 질문이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과 이를 바탕으로 한 글쓰기, 요약, 제시어 추출, 평가와 피드백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수자가 제시하는 예를 토대로 주어진 응답을 평가하거나 질문과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는 등 학습자에 대한 진단과 실질적 교육내용의 구성 등 많은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한계로 인해 정확한 사실이나 지식에 대한 잘못된 전달, 과도한 확신으로 인한 편향, 사용자의 태도나 감정 등에 미칠 영향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해 해가 없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응답은 많은 사람들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확률적 접근이므로 매우 거리가 멀거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통찰적 사고나 혁신적 사고를 제한할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교수학습을 위해 인공지능의 긍정적 활용을 위한 여러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소외계층 영재학생의 인지특성과 학습요구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Need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 박민정;박지연;전동렬;이경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0
    • /
    • 2016
  •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학습요구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영재 99명, 소외영재 43명, 일반학생 50명에게 지능, 창의성, 상위인지, 인식론적 신념, 과제 선호도, 개인시간 활용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외영재는 지능 검사에서 다른 집단보다 점수 향상이 빠르게 나타나 추상화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소외영재는 토랜스 창의성 도형 검사에서 일반영재만큼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언어 검사에서는 일반영재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소외영재는 노력, 학습 능력, 전체 학습계획, 통합적 지식이 학습에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지만, 일반영재에 비해 학습관리와 책략 같은 상위인지 기술과 합리적인 작업의 가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낮고 학습시간도 적었다. 독창적인 과제는 선호하나 어려운 것을 기피하는 소외영재의 성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접근하는 과제를 활용하거나 과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언어능력 신장, 학습내용의 실제 생활에의 적용, 상위인지 기술 개발 등이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지도 방안으로 제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