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verty of the Elderl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5초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별 권리보장 수준에 관한 연구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을 중심으로- (Right Guarantee Level of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by Participation Type : Focused on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 윤영지;이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19-22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실시한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의 5개 과제를 기준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유형별 권리보장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공헌형사업의 '사회와 발전과정에 적극적인 참여' 과제의 이행수준은 높지 않았다. 둘째, '경제활동과 노동력의 고령화' 과제의 이행수준은 참여노인의 평균연령을 고려할 때 높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 노동시장에서의 이행 수준은 높다고 보기 어려웠다. 셋째, 시장진입형 참여노인에 대한 '지식 교육 훈련에의 접근' 과제의 이행수준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빈곤해소', '소득보장'과제의 이행수준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공헌형사업 일자리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시장진입형 참여노인들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질적 양적 수준의 제고가 필요하며, 노인일자리사업을 통해 지급되는 급여수준의 증액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현대화 이론'에 의한 노인 문제와 죽음의 결정요인 탐구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roblem and Death by 'modernization theory' -Focused on the movie 'The Woman Who Kills')

  • 한명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8-526
    • /
    • 2022
  • 현대화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년기 돌봄과 질병에 있어 수혜 시간의 연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노인 증가에 비해 자녀들의 부모부양책임에 대한 태도는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노년기 삶에 소외, 절망감,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고 이로 인한 무망감으로 자살 생각이나 의도적인 죽음(자살)을 불러오는 요인이 되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의 의도적인 죽음(자살)은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는 사회현상으로 영화를 통해서도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죽여주는 여자'에 등장하는 주인공 '소영'과 주변 인물인 '송 노인', '종수', '재우' 등의 대화 속에서 노인 문제와 죽음 요인에 해당되는 내용을 매트릭스(Matrix) 분류체계 방법으로 정리한 후, 임병우(2019)가 정리한 '현대화에 따른 노인 문제 발생 흐름도'에 적용하여 의도적 죽음(자살) 요인을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4명의 노인들은 질병, 소외와 고독, 빈곤, 상실 등 노인 문제에 노출되었으나, 현대화로 인한 지위 하락과 부양의식 태도 변화로 인한 돌봄 부족의 스트레스가 지속되자, 삶에 대한 절망감에 빠져 의도적 죽음(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1-60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심화와 함께 노인 소득불평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적소득, 시장소득, 가족 소득 등 주요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 간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 0.4809, 공적소득 0.4701, 시장소득 0.6735, 가족소득 0.1855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소득집단에 따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는 시장소득이 가장 크고 전체소득, 공적 소득도 매우 큰 것이다. 둘째, 노인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 가족소득, 시장소득을 각각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4864, 가족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5784, 시장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3609로 나타났다.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약간 증가한 공적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매우 미미한 반면에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매우 커진 가족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 소득 지니계수보다 크게 낮아진 시장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의 큰 원인이었다. 현재의 노인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인의 시장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Economic Preparation of Retired Women's Old Life

  • Lim, Ahn N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05-11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78 retir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7th data from the National Pension Service's KReiS. We used SPSS WIN 18.0,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highly educated people in their 50s or older and those in their 60s and undereducated. Second, families in their 50s had the largest number of members with more than three, while households in their 60s had the largest number of two. Third, both age groups chose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as responsibilities for preparing for retirement. In addition, more people in their 60s chose the government as their responsibility for preparing for retirement than in their 50s. Both people in their 50s and 60s say they are "not prepared" to prepare for retirement expenses, raising concerns about elderly poverty. Fourth, economic strength, health, and medical care were important for retirement in both age groups as part of their preparations for retirement, and they chose economic strength, health, medical care and job as the things to do in society. Fifth, both people in their 50s and 60s have very low public and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rates, requiring special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and society to their old age.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both women in their 50s and 60s have retired, but preparations for retirement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society need to strengthen the public pension system and create jobs for the elderly.

초고령사회 전환기에 노인범죄 발생원인과 그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Elderly Crime and Its Countermeasures in the Transition of Elderly Society)

  • 양재열;김상수;이주연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307-332
    • /
    • 2019
  • 최근 우리사회는 의료환경의 발전과 생활환경의 개선 등으로 수명의 연장과 함께 저출산으로 인하여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급기야 인구의 고령화를 초래하였고 노인문제는 세대간 갈등으로 증폭되고 있다. 현세대 노인은 자식의 교육·결혼과 주거 문제 등으로 자신의 노후 소득보장을 준비할 여력이 없었고, 공적 소득보장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세대이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와 정보화, 경제적 불안 등과 함께 빈곤상태에 놓여 있음은 물론 생계까지 위협받고 있다. 물질만능이 지배하는 우리사회에 적응력이 떨어진 노인들로부터 발생되는 노인범죄의 증가상황은 새로운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사회의 노인범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통해 국가적인 대처방안 제시가 필요한 시기라 판단하면서 양적 증가와 함께 질적으로는 흉폭화, 난폭화 되고 있는 노인범죄의 원인을 분석하고 10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범죄현황과 예방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노인의 기준이 변화되고 있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의견과 통계자료를 고찰하고 범죄의 분석은 대검찰청과 경찰청, 통계청의 자료와 최근 언론 보도 자료, 기존 연구자료 등을 활용하는 문헌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특성과 현 사회가 노인을 보는 시각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노인범죄를 진단하여 향후 범죄 발생 예측과 아울러 예방을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Experiences of Ageism and "Self-Ageism")

  • 김주현;오혜인;주경희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659-689
    • /
    • 2020
  • 본 연구는 연령차별을 경험한 노인들이 스스로 부정적 차별 인식을 내면화하는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는 연구이다.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연령차별의 모습을 규명하고 이같은 차별경험이 '자기연령주의(self-ageism)'를 통해서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은 명시적 차별 뿐 아니라 암묵적 차별에도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노인의 고통(빈곤, 질병, 무위, 고독)의 강도가 높고 객관적인 차별상황에 속에서 차별대응에 실패한 기억이 강할수록 더욱 높은 수준의 자기연령주의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연령주의'는 나이에 의한 '차별'을 당한 노인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내재화함으로써, 현실에서 다양한 거부/분리/멈춤 등의 행동을 통해 삶의 질적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감수하는 현상이다. 건강, 제도적 지원, 보듬어주는 사람들과 같은 지지적 자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노인들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연령주의를 극복할 여지를 보이지만, 반면 이러한 자원들의 부족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지 못하는 노인들의 경우 자기연령주의로 인한 부정적 환류에 갇혀버리게 됨으로서 침체되고 위축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스로를 동기화(motivation)해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반응을 해나가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므로 분석과정에서 특별히 두 가지 부분,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에 주목하며 미시적으로는 노인의 동기화와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거시적으로는 전 생애주기와 관련한 복지 및 건강서비스 체계 보완,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접근성과 통합성 확대, 인식개선과 차별금지법과 같은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유료 노인복지주택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s of Paid Welfare Housing for the Aged)

  • 황은경;문수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9-382
    • /
    • 2005
  • The modern has been the aged society.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living conditions such as the improvement of medical health and national income level. But, as nuclear family has been extended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aged has been weakened. And the problems of old people such as poverty, disease and alienation has been raised. This study propose the three activation methods for paid elderly welfare house which will be another measures for solving the aged problems

  • PDF

농촌거주 장애인 여성독거노인의 맞춤형 주택개조안 모색 (Exploring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Plan for Disabled Female Singl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 이연숙;박지선;이학성;김윤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71-80
    • /
    • 2017
  • Korea is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cluding single elderly household,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and poverty rate and 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along with the advent of rapid aging society. Especially, the ratio of poor households in rural areas residing in housing which falls below the minimum housing level and most of them are in the dead zone of housing welfare. In addition, if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move (relocate) to new housing, the house remodeling is the only measure for improving their housing welfare. However, we don't have enough prior relevant academic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house remodeling requires a series of process including prior planning construction and post-occupancy evaluation, but almost no fundamental research that provides relevant insight has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ll field situations that occur in the whole customized house remodeling process for disabled femal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a rural area. The remodeling process was classified into initial planning stage, field verification and adjustment stage and construction stage as the method to participate in the field directly, and any change in the remodeling plan and its causes at each stage were analyzed. As a result, some remodeling items were changed from the main viewpoint of participating parties before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and for reasons such as the deterioration level of housing site, limitation in building equipment and rearrangement of housing, etc., and the remodeling method and its details were developed. It was identified that constant change that occurred in the remodeling process resulted from 1) unique poor characteristics of existing housing and 2) physical condition of residents and their unique lifestyle characteristics that were two aspects required to be emphasized by customized remodeling.

부부가구와 1인가구 노인의 정신건강 비교 - 성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Mental Health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 - Focus on Gende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박보영;권호장;하미나;범은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5-20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tatus between elderly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a spouse. Methods: The study is based on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ENS), between 2010 and 2012. Subjects were over the age of 6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of complex sampling design of the KNHAENS and used the survey analysis method by SPSS (version 18). Results: Sleep time of female elders living alone was the shortest which was 2.59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Stress awareness of fe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was the highest, which was 3.21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Depression was the highest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hich was 2.26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with a spouse. Suicidal idea was the strongest i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hich was 2.87 times that of male elders living alone. Conclusion: Female elders living alone were weakest in regards to socio-economical aspect with the highest rate of poverty, low educational status, and unemployment. The mental health status of females was worse than that of males. In particular, the mental health status of females living alone was the worst.

노인의 노후소득보장의 현황과 법적 개선과제 (Present Situation of Old-Age Income Security and Tasks for the Legal Improvement)

  • 노재철;고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6-127
    • /
    • 2013
  •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소득보장정책의 일환으로 사회보험방식에 의한 국민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미비 또는 공적연금의 본질적 한계로 인하여, 고령자에게 실질적인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저생활의 보장"에는 미흡한 실정이고, 노인의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1위이고, 공적연금의 사각지대도 매우 크다. 향후 저출산과 고령화가 더욱 진전될 경우 고령 저소득층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폭발할 우려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의 노후소득보장에 관한 실태와 현황 분석과 현행 노인소득보장 법체계를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