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tassium chloride conten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4초

간척지에서 수수 X 수단그라스에 대한 유안 및 황산칼리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mmon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Fertilizer on Dry Matter Yield and Forge Quality of Sorghum X Sudangrsss Hybrid in Reclaimed Tidal Land)

  • 신재순;이승헌;김원호;김종근;윤세형;임근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5-250
    • /
    • 2005
  • 간척지에서 유안과 황산칼리비료의 시용이수수$\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 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2004$년 동안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T5)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시용한 T6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T5구에서 각각 $173\%,\;173\%\;그리고\;144\%$ 증수되었다.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시용한 T6구에서도 요소시용 표준시비구(T2)에 비해 $90\%$되었다. 건물수량과 TDN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T2구에 비해 유안시용구(T3, T4, T5)들이 높았으며, T6구는 낮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T2구와 유안시용구(T3, T4, T5)들 사이에는 비슷하였으며, T6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TDN 함량은 T6구가 가장 높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간척지에서 여름철 사료작물로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을 재배할 경우, 질소질 비료는 요소대신 유안$(20\~30kg \;N/10a)$을 칼리질 비료는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15kg\;K_2O/10a)$를 이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 및 블루영역 차단 화장품 응용을 위한 박막 판형 인공 칼라민 소재의 합성 및 특성 평가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lanar-type Artificial Calamine Powder with a High Aspect Ratio for the Application to Ultraviolet and Blue Band Protection Cosmetics)

  • 이정환;이건섭;조동현;홍다희;유재훈;곽지유;이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7-235
    • /
    • 2021
  • 자외선 및 블루영역 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 위한 박막 판형의 ZnO 및 Fe2O3 성분을 포함하는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 소재를 합성하였다. 20 : 1에서 50 : 1 범위의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0001)면의 판형 ZnO 세라믹 분말 소재는 아연공기전지로 전력 생산한 후에 회수한 전해질을 출발 물질로 하여 징크아세테이트와 소듐시트레이트 혼합 용액에서 중화반응을 통한 석출로 합성하였다. 아이언 클로라이드 용액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 내의 Fe2O3 함량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 경우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의 블루 영역을 일부 흡수하였다. 포타슘 아세테이트 용액을 첨가시킬 경우에는 Zn(OH)42- 음이온의 분해를 촉진하여 (0001) 면 위에 수직 방향으로 격벽 형태로 성장한 박막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 경우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면서 자외선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아이언 클로라이드 용액과 포타슘 아세테이트 용액의 첨가량을 함께 조절하면 박막 판형의 인공 칼라민 세라믹 분말의 조성 및 형상을 최적화시킬 수 있어서 화장품 제형을 진행할 경우 블루영역의 광투과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간절임중 깍뚜기용 무우 Cube의 이화학적인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Radish Cubes for Kakdugi during Salting)

  • 김중만;신미경;황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00-306
    • /
    • 1989
  • 간절임 공정이 깍두기용 무우 cube의 이화학적인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우 $cube(2cm^3)$를 5, 10, 15, 20, 25%의 소금용액에서 간절임 (무우 cube: 소금용액=1: 1w/w) 하는 동안 일어나는 염도, 수분함량, 형태, 부피, 무기물함량,조직 및 경도변화를 조사하였다. 깍두기의 간에 맞는 최적 염도(3%)는 5%에서 6시간, 10%에서 2시간, 15%에서 1시간 그리고 15% 이상에서는 1시간 이내에 도달되었으나 표층의 염도와 내층의 염도에 차이가 있었다. $5{\sim}25%$의 소금용액에서 간절임 된 무우 cube의 부피는 간절임 1시간 동안 원래 부피의 $7.6{\sim}11.2%$가, 6시간 동안에는 $11.2{\sim}17.9%$가 줄었다. 그리고 수분함량은 간절임 1시간 동안에 $83.0{\sim}75.9%$ 수준으로, 6시간 후에는 $74.5{\sim}68.5%$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간절임중 무우 cube의 $K^+$, $Ca^{2+}$, $Mg^{2+}$ 함량은 소금용액의 농도$(5{\sim}25%)$에 따라서 간절임 1시간 내에 각각 $87{\sim}131mg%$, $35{\sim}75mg%$, $17{\sim}32mg%$로, 6시간 내에 각각 $63{\sim}105mg%$, $20{\sim}49mg%$, $6{\sim}10mg%$ 정도로 감소한 반면 $Na^+$ 함량은 1시간 내에 $815{\sim}1207mg%$로, 6시간 이내에 $1204{\sim}1307mg%$로 증가되었다. 간절임에 의한 무우 cube의 세포는 수축되었고, 물성 (견고성을 기준)은 무우 세포로부터 탈수와 가교결합형 $Ca^{2+}$$Mg^{2+}$용출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 PDF

시설상추 재배시 축분퇴비 이용에 따른 화학비료 절감효과 평가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on Reducing the Chemical Fertilizer Use for the Lettuce Cultivation in Green House)

  • 강창성;노안성;김성기;박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57-464
    • /
    • 2011
  • 본 시험은 우분, 돈분, 계분 등 축종별로 가축분퇴비를 인산비료 대체를 위해 토양검정 인산시비 해당량을 시용하고 질소와 칼리 부족량만 화학비료로 보충하는 축분퇴비와 화학비료 혼용 시비처방 기준을 개발하고자 '08~'10년의 3개 년간 시설상추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토양 pH는 축분퇴비 단용구가 가장 높았고,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OM은 모든 퇴비시용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NO_3$-N는 NPK 처리구에 비해 LC+N100 처리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Av. $P_2O_5$는 축분퇴비 시용구가 동일량의 인산 비료를 투입한 NPK 처리구에 비해 약 $20mg\;kg^{-1}$ 높았다. 치환성 칼리는 화학비료 처리구와 K 부족량이 보충시비 된 축분퇴비 처리구가 같은 수준이었다. 칼슘과 마그네슘, 나트륨 등은 퇴비 처리구가 NPK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축분퇴비 질소의 토양 $NO_3$-N 공급능은 요소비료에 비해 돈분, 계분, 우분퇴비 각각 37, 35, 23% (퇴비 종합 34%) 수준으로서 축분퇴비 시용시 화학비료 질소 절감 가능량으로 추정하였다. 상추 엽중 $NO_3$ 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시용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상추의 양분흡수량은 상추수량과 같은 경향으로서 PK 및 LC+N0 처리구가 가장 낮고 질소비료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시설상추 재배시 축분퇴비를 인산 토양 검정시비 해당량을 시용하여 인산질비료를 100% 대체한 후 질소비료는 "질소적정시비량 = 토양검정 질소시비량 - (축분퇴비 질소시용량 ${\times}$ 0.34)", 칼리비료는 "칼리적정시비량 = 토양검정 칼리시비량 - 축분퇴비 칼리시용량" 식에 의해 산출하여 3요소 시비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출하여 축분퇴비 및 화학비료 양분 종합이용기술의 일례로 제시하였다.

"A La Recherche" of Functions for the Spore Protein SASP-E from Bacillus subtilis

  • Ruzal, Sandra M.;Bustos, Patricia L.;Sanchez-Rivas, Carm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15-21
    • /
    • 2013
  • We previously observed that Bacillus subtilis spores from sspE mutants presented a lower germination capacity in media containing high salt concentrations (0.9M NaCl). This deficiency was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SASP-E (gamma-type small-acid-soluble protein), rich in osmocompatible amino acids released by degradation. Herein we observed that, in addition, this mutant spore presented a reduced capacity to use L-alanine as germinant (L-ala pathway), required longer times to germinate in calcium dipicolinate ($Ca^{2+}$-DPA), but germinated well in asparagine, glucose, fructose, and potassium chloride (AGFK pathway). Moreover, mild sonic treatment of mutant spores partially recovered their germination capacity in L-ala. Spore qualities were also altered, since sporulating colonies from the sspE mutant showed a pale brownish color, a higher adherence to agar plates, and lower autofluorescence, properties related to their spore coat content. Furthermore, biochemical analysis showed a reduced partition in hexadecane and a higher content of $Ca^{2+}$-DPA when compared with its isogenic wild-type control. Coat protein preparations showed a different electrophoretic pattern, in particular when detected with antibodies against CotG and CotE. The complementation with a wild-type sspE gene in a plasmid allowed for recovering the wild-type coat phenotyp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direct involvement of SASP-E in the spore coat assembly during the differentiation program of sporulation.

산간지(山間地) 농촌주민(農村住民)의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 (Nutrition Survey in a Korean Mountainous Farming Area)

  • 함정례;김영수;이기열;김영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3호
    • /
    • pp.37-45
    • /
    • 1973
  • The main character of the Korean diet has been found to be low in protein both quantity and quality and high in carbohydrate.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tudy the amount of salt intake related to the dietary pattern in Korea. The nutrition survey was conducted in a mountainous farming area located in Auhchun-ri, Gaebuk-myon, Changsoo-gun, Chunbuk Province, February 14-19 in 1973 (7 days). The precise weighing method was used in evaluating the kinds of foods and nutrients intake for 24 households during a three day period. The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by a doctor on 120 persons and a detailed biochemical test on both blood and urine was made on 42 persons over 40 years ol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verage nutrients intake of an adult per day: calorie intake was 2,446 Cal and its components-protein(61.1g) was 10 percent, fat(12.9g) was 5 percent and carbohydrate(521g) contributed 85 percent of the total calories. Other nutrients-calcium (443mg), thiamine(1.09mg), riboflavin (0.90mg), niacin (14.4mg) and vitamin C (63.2mg) were lower than the recommended daily allowance but vitamin A(2,083 I.U.), iron(11mg) and phosphorous(998mg)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2) To evaluate the nutritional deficiences, clinic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ngular stomatitis was present in 16.7 percent of those examiners. No edema was found. The rate of osteoarthritis, hepatomegaly diseases appeared in 20 percent of the total subjects and the symptoms appeared highest among those Iron 50 to 59 years old. (3) The following chemical components of blood serum were analyzed and found to be within the normal range: glucose, blood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protein, albumin, globulin, bilirubin, total cholesterol, inorganic phosphate, alkaline phosphatase, sodium, potassium, chloride, calcium and lecithine dehydrase. One case of each of the following were found: hyperglycemia, hypocholesterolemia, renal problem, hypoproteinaemia and diabetes mellitus, and two persons were classified as showing hypoglycemia and hyponaturemia. (4) The sodium content in urine was 199.6 mEq/L, potassium content was 24.6 mEq/L. The sugar, pH and specific gravity in the urine was shown to be normal.

  • PDF

전기투석을 이용한 현미부산물로부터의 미네랄성분 추출 및 나트륨감량형 미네랄 소금 제조 (Mineral extraction from by-products of brown rice using electrodialysis and production of mineral salt containing lower sodium)

  • 노남두;박은정;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59-866
    • /
    • 2015
  • 무기이온이 풍부한 생식물 중 버려지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미네랄 확보를 위한 발효최적조건을 설정하고 발효물에 함유된 미네랄 여과 및 정제 조건을 확립하였다. 생식물 가공 후 부산물을 활용하여 다량의 미네랄을 확보하고, 생식물 미네랄 배지조성을 위하여 백미 도정 후의 현미부산물인 미강을 고체 발효시켜 열수추출한 결과 칼륨 2,019.2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물에 대한 순차적인 여과로 칼륨 1,769.70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확보하여 정제한 후 미네랄을 염수와 치환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량이 변화하여도 전기투석효과에 영향이 없었으며, 유속이 200 mL/L로 빠를 때 생산제품인 정제수실 반응액이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인가전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전류를 높게 인가할수록 전기투석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그 증가곡선도 역포물선으로 인가전류가 높을수록 효율이 높음을 나타냈다. 시간과의 상관관계 결과 90분 이내에 95%의 추출액 이온이 정제수로 회수 되었으며 비례적으로 추출 이온별 농도의 변화가 있었다. 정제수실의 이온 농축수에 정제염수실에서 조성된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pH 7.4 의 안전한 염화화합물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다. 전기투석 공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식물 발효 조성액에 함유된 미네랄을 정제염수와 이온치환하여 나트륨 함량 40% 대비 최저 5.7%~최고 30%까지 나트륨이 감량된 소금을 제조하여 미네랄 저염소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추장 저장 연장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during Storage)

  • 김형석;이기영;이현규;한억;장은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95-60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의 저장 중 이화학적 및 관능적 변화를 통해 효과적인 항갈색화제, 유기산을 선별하며 유통기간 연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45$^{\circ}C$와 55$^{\circ}C$에서 항갈색화제 0.5% ascorbic acid일 때 control과 유의적 차이가 있었기에 ascorbic acid를 갈변 억제제로 선정했다 또한, 45$^{\circ}C$와 55$^{\circ}C$에서 0.03% ascorbic acid일 때 control과 유의적 차이가 있어, 갈변 억제제로 선정했다. 45$^{\circ}C$와 55$^{\circ}C$에서 유기산 0.5% citric acid 일 때 control과 유의적 차이가 있었기에 citric acid를 갈변 억제제로 선정했다. 또한, 45$^{\circ}C$와 55$^{\circ}C$에서 0.03% ascorbic acid에 0.06% citric acid일 때 control과 유의적 차이가 있어, 효과적인 갈변억제 농도로 선정했다. 0.03% ascorbic acid와 0.06% citric acid를 첨가한 고추장 유통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추장의 아미노태 질소, pH, 적정산도 및 표면색도 등을 실험한 결과에서 아미노태 질소가 관능적 변화와 상관관계(r=-0.8987)가 높았기에, 고추장의 유통기간 설정 하는 품질특성으로 삼았다. 저 장기간에 따른 아미노태 질소값의 변화율은 1차 반응식으로 해석되었으며, 0.03% ascorbic acid와 0.06% citric acid 첨가물이 유통기간 예측에서 고추장 대조구 보다 45$^{\circ}C$일 때 69%, 55$^{\circ}C$일 때 56% 연장 할 수 있었다.

  • PDF

Determination of Copper in Black, Red Pepper and the Waste Water Samples by a Highly Selective Sensitive Cu(II) Microelectrode Based on a New Hexadentates Schiff's Base

  • Norouzi, Parviz;Ganjali, Mohammad Reza;Faridbod, Farnoush;Salavati-Niasari, Masou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9호
    • /
    • pp.1439-1444
    • /
    • 2006
  • A $Cu^{2+}$ ion-selective membrane microelectrode has been fabricated from poly vinyl chloride (PVC) matrix membrane containing a new symmetrical hexadentate Schiff,s base 2-{1-(E)-2-((Z)-2-{(E)-2-[(Z)-1-(2-hydroxyphenyl)ethylidene]hydrazono}-1-methylpropylidene)hydrazono]ethyl}phenol (HDNOS) as a neutral carrier, Potassium tetrakis(4-chlorophenyl) borate (KTpClPB) as an anionic excluder and o-nitrophenyloctyl ether (NPOE) as a plasticizing solvent mediator. The microelectrode displays linear potential response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times}\;10^{-5}-1.0\;{\times}\;10^{-11}$ M of $Cu^{2+}$. The microelectrode exhibits a nice Nernstian slope of 25.9 ${\pm}$ 0.3 mV $decade^{-1}$ in the pH range of 3.1-8.1. The sensor has a relatively short response time in whole concentration ranges ($\sim$5 s). The detection limit of proposed sensor is $5.0\;{\times}\;10^{-12}$ M (320 pg/L), and it can be used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sensor has been demonstrated by using it as an indicator electrode in the potentiometric titration of $Cu^{2+}$ with EDTA. The proposed membrane electrode was used for the direct determining of $Cu^{2+}$ content in black and red pepper, and in waste water samples.

대두직물의 황토염색 (Loess Dyeing of Soybean Fabrics)

  • 이솔;이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04-101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ess dyeability of soybean fabric using loess as colorants. Recent days, various textile products such as inner wears, sheets and interior goods are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dyed with loess emphasizing its improved metabolism, anti-bacterial, deodorizing properties, and far infrared ray emissions. Soybean fabric was dyed with loess solution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loess, dyeing temperature and dyeing time. To improve washing fastness, soybean fabric and dyed soybean fabric with loess were mordanted by mordanting agents such as sodium chloride(NaCl), Acetic acid(CH3COOH) and Aluminium Potassium Sulfate(AlK(SO4)2·12H2O). Dyeability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dyed soybean fabric were obtained by CCM observa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loess, the dyeability(K/S) of soybean fabric, morphology and washing durability of loess dyed soybean fabr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Mean average diameter of loess was 1.08µm. The main components of loess used in this study were silicon dioxide(SiO2), aluminium oxide(Al2O3), and iron oxide(Fe2O3). The content of these three component was above 75 weight %. The dyeability of soybean fabric wa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loess. The optimum dyeing temperature and dyeing time were 90℃ and 60minutes expectively. The fastness to washing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loess and mordanting method indicated good grade result as more than 4 degree in al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