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traumatic Growth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소방공무원의 대처, 자기노출, 반추, 조직문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ping, Self-Disclosure, Rumina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 고영심;하영미;김지아;조한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57-369
    • /
    • 2020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대처, 자기노출, 반추, 조직문화와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의 정도를 살펴보고, PTG의 영향요인 규명을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경상도 소재 3개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1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고 수준 PTG가 46명(44.7%)로 평균 58.07점이었으며 전체 PTG 평균은 44.56점으로 나타났다. PT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중심대처,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와 혁신지향 조직문화로 나타났으며 네 변수의 PTG에 대한 설명력은 45.9%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PTG촉진을 위해 정서중심대처,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 뿐 아니라 혁신지향 문화구축이라는 조직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러한 결과는 소방공무원의 PTG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에 활용될 수 있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서의 외상 경험과 외상후 성장 (Traumatic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cal Training)

  • 성경미;박순아;오은진;이승민;이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89-503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학과 학생의 외상 경험과 외상 후 성장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1월20일부터 12월20일까지였으며 대상자는 4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으로 임상실습 경험이 1년 이상된 4학년 학생 490명이었다. 자료는 SPSS/WIN 25.0으로 t-test, ANOVA 및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고, 외상경험은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일상생활 중 외상경험을 한 경우는 26.5%였으나 임상실습 중 외상경험은 61.2%로 높았고, 외상 후 성장 점수는 5점 만점에 2.63점이었다. 외상경험 내용은 의료진의 폭력경험, 간호직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교육적인 실습환경, 열악한 환경에서의 실습, 중증 환자 목격 등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학과 학생의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한 임상실습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을 매개효과로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in Life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ith Relationship Lo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 전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39-3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권 대학교의 재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은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와 외상 후 성장은 정신건강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외상 후 성장은 삶의 의미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긍정적인 정신건강 형성을 위하여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외상 후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상담과정, 그리고 정책적 보완이 요구되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북한 이탈 아동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상태 평가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 이인숙;박호란;김윤수;박현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4호
    • /
    • pp.256-263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and identify associated facto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3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7 to 14 years old. Physic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through height and weight measurements as well as clinical laboratory results. Psychological health status was assessed using structured survey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On arrival in South Korea, 19% of the children did not meet the child growth standards of South Koreans for height and 15% for weight. However, twelve weeks after, these percentages had decreased significantly. It found that 38.5% of children presented mild posttraumatic reaction and 40.4% presented moderate reaction. Scores for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0.38{\pm}0.30$ and $0.59{\pm}0.36$ respectively. Posttraumatic reaction was higher in girls (t=0.41, p=.03), and boys showed higher externalizing problems (t=2.04, p=.04). Externalizing problems were correlated with gender and internalizing problems were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reactions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need timely developmental assessments and tailored intervention programs to meet child growth standards need to be developed.

유방암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of Breast Cancer)

  • 박진희;정용식;정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54-462
    • /
    • 2016
  • Purpose: Posttraumatic growth (PTG) is defined as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d as a result of a struggle with highly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TG and its correlates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sample of 120 participants was recruited from outpatients, who had successfully completed primary treatment of breast cancer at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14 using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Illness Intrusiveness Rating Scal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Results: Total score for the PTG was $79.18{\pm}17.54$ in patients surviving breast cancer. B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T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ving a religion, perceived social support, greater optimism, cancer coping, and illness intrusivenes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ncer coping (${\beta}=.29$, p=.001), optimism (${\beta}=0.28$, p=.001) and illness intrusiveness (${\beta}=0.17$, p=.03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tients' PTG.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variables of cancer coping, optimism and illness intru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 PTG and these psychological variables can be used to provide improvement in PTG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김현경;엄진섭;전우택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29-56
    • /
    • 2008
  • 본 연구는 남한에 장기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의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요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남한 거주기간이 평균 7년 이상되는 탈북 주민 105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 인구사회학적 요인, 개인 및 사회적 요인, 정신건강 요인, 북한 및 탈북과정의 외상과 남한 사회 스트레스를 측정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에서의 학력과 제3국에서의 거주기간에 따라 PTG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탈북일, 우울, 문화적응스트레스, 미래에 대한 희망, 남한출신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 인식된 만족은 PTG 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PTG 예측요인으로 탈북일, 제3국체류기간, 문화적응스트레스 그리고 남한출신으로부터의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건강 및 사회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폐암 환자의 회복탄력성, 가족 지지, 영적 안녕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on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 문하영;남기숙;오혜원;조연수;최주연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2호
    • /
    • pp.147-156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resilience, family support, and spiritual well-being on posttraumatic growth(PTG) in lu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January 20 to July 6, 2023 on 124 lung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hospital of C university in Seoul and received chemotherapy treatment. Pati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characteristics, resilience, family support, spiritual well-being and PT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for PTG in lung cancer patients was 55.17, resilience was 72.46, family support was 49.00, and spiritual well-being was 53.50.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for PTG with resilience (r=.62, p<.001), family support (r=.40, p<.001) and spiritual well-being (r=.47, p<.001). Factors contributing to PTG of lung cancer patients were resilience (β=.50, p<.001), spiritual well-being (β=.20, p=.008), and gender (β =.14, p=.043).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TG intervention program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PTG of lung cancer pati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PTG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strategies to enhance 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변화 (Changes of Self-efficac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with Breast Cancer Participating Breast Cancer Prevention Volunteering)

  • 이명선;차지은;유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6-266
    • /
    • 2014
  • 본 연구는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장기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예비연구는 종단적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참여자는 유방암예방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함 생존자 14명이었다. 자료는 2013년 2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을 교육 전(T0), 교육 후 1개월(T1), 교육 후 3개월(T2), 교육 후 6개월(T3)에 각각 측정하였다. 효과분석을 위해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점수는 T0과 비교했을 때 T1(${\chi}^2$=5.56, p=.018),T3(${\chi}^2$=4.56,p=.033)시점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개월 동안 우울은 일반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큰 변화가 없었고 외상 후 성장은 비교적 높은 점수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생존자들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방암 생존자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은 일반인 뿐 아니라 참여한 유방암 경험자들에게도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임을 보여주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 김현경;전우택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63-397
    • /
    • 2009
  • 본 연구는 남한에 장기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및 스트레스와 같은 역경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남한 거주기간이 평균 7년 이상 되는 탈북 주민 105명을 대상으로 PTG의 예측 요인으로서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삶의 질이 외상 및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조절하여 PTG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 개인이 PTG에 이를 수 있는 조절변수를 예측해 볼 수 있는 탐색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남한 이주 7년차인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인식된 만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이주기간에 따른 삶의 질과 PTG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초기 이주 3년 정도에까지는 총 4개의 삶의 질 영역 중 심리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의 삶의 질 향상이 PTG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제시되었으나 그 두 개의 영역 중 특히 심리적 영역이 PTG에 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주 7년이 경과된 상태에서 조사된 결과로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영역 모두가 PTG에 긍정적인 상관은 있으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중 특히 심리적 영역 뿐 아니라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된 삶의 질 향상이 PT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고의 음화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PTSD, PTG의관점에서 (A New Study of Li Gao's Yin Fire Theory (陰火論) - from the viewpoint of PTSD and PTG)

  • 장재립;차웅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74
    • /
    • 2021
  • Li Gao left a great mark in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by founding Piwei (脾胃) theory. When explaining Li Gao's medical ideology, researchers explain that his medical ideology was created by curing hunger during wartime and treating diseases of people who suffered from battle field trauma. However, Li Gao also suffered from battlefield trauma for his experience of the Mongol siege of Kaifeng (開封城) from 1232 to 1233. It i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Li Gao himself would have suffer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is study reexamines the process more closely from the viewpoint of PTSD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his achievement in medical history is a result of his PTG. Li Gao's narrative of Piwei (脾胃) theory contains elements that seek revenge against the Mongol soldiers, and Li Gao achieved extraordinary PTG by overcoming the trauma of the siege of Kaifeng step by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