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1/jkmh.2021.34.1.059

A New Study of Li Gao's Yin Fire Theory (陰火論) - from the viewpoint of PTSD and PTG  

Zhang Zili (Dept. of History in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Wung-Seok Cha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v.34, no.1, 2021 , pp. 59-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Li Gao left a great mark in the history of Chinese medicine by founding Piwei (脾胃) theory. When explaining Li Gao's medical ideology, researchers explain that his medical ideology was created by curing hunger during wartime and treating diseases of people who suffered from battle field trauma. However, Li Gao also suffered from battlefield trauma for his experience of the Mongol siege of Kaifeng (開封城) from 1232 to 1233. It i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Li Gao himself would have suffer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this study reexamines the process more closely from the viewpoint of PTSD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his achievement in medical history is a result of his PTG. Li Gao's narrative of Piwei (脾胃) theory contains elements that seek revenge against the Mongol soldiers, and Li Gao achieved extraordinary PTG by overcoming the trauma of the siege of Kaifeng step by step.
Keywords
Piwei theory; Korean medicine; Yin fire theory; PTSD; PTG; History of Chinese medicine; Li Gao; Li Dongyu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李杲 원저 脾胃論 (王軍 等編.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Tianjin China: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2:559-601)
2 李杲 원저 內外傷辨惑論 (王軍 等編. 金元四大家醫學全書(上). Tianjin China: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2:534-556)
3 김병국, 윤창렬. 「羅天益의 生涯와 醫學思想에 關한 硏究」. 한국의사학회지. 2000;13(1):33-45.
4 김영애.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현실치료기반 상담 모형구축」. 명지대학교 박사. 2016:1-175.
5 김예슬. 「외상유형에 따른 PTSD증상, 시간관 및 자기개념과 타인개념에서의 차이」. 강원대학교 석사. 2018:101-105.
6 김용진. 「왕호고의 생졸년에 대한 소고」.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9;22(2):101-106.
7 박미경. 「외상 경험에 대한 수용적 글쓰기가 외상 후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양사이버대학교 석사. 2013:1-48.
8 방정균. 「이동원의 음화론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21(1):175-181.
9 栢楊 지음, 김영수 역. 「맨얼굴의 중국사 4」. 서울:창해. 2005:157-160.
10 송임섭.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자서전에 나타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인문사회과학연구. 2013;14(1):145-170.   DOI
11 신혜은. 「외상후의 현상학, PTSD에서 PTG까지」. 독서치료연구. 2014;6(1):1-15.
12 엄세운 주편, 김달호 등역. 국역중의학술사. 서울:대성의학사. 2011:480-486.
13 은석민. 「이동원이 논한 음화의 실질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2;25(4):5-22.   DOI
14 이동훈, 이수현, 윤기원, 김시행, 최수정,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의 경험이 PTSD증상 및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2017;29(1):227-253.
15 이동훈, 이수연, 윤기원, 최수정, 김시형. 「성격 5요인, 외상 후 인지, 사건관련 반추,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외상 후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017;36(2):241-270.
16 이수림. 「외상경험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015;39:93-124.
17 함정식. 「위생보감의 의안연구」. 경희대학교 석사. 2005:1-45.
18 이진수. 「외상후 울분장애의 네트워크 분석 : 핵심증상 및 다른 정신장애와의 연계증상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석사. 2019:1-81.
19 陳舜臣 지음, 이수경 역. 「진순신이야기중국사 (제5권 남송금원명)」. 파주:살림. 2011:163-164, 166-168.
20 최현정. 「복합 외상 후 정체성 변화와 통합 과정 : 자기정의기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 2014:1-224.
21 함정식. 「위생보감의 의안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05;18(1):23-47.
22 贾宗方. 「李东垣生平年鉴初考」. 陕西中医学院学报. 1999;05:42-44.
23 郭立崎, 趙國仁. 「陰火論」. 浙江中醫雜志. 2014;49(10):761-762.
24 魯兆麟. 「略論李杲甘溫除熱理論中的陰火」. 北京中醫. 1983;1:11-14.
25 李濱. 「對李杲內傷熱病論陰火元氣說之我見」. 安徽中醫學院學報. 1983;1:14-15, 22.
26 李成年, 劉瓊. 「淺談李杲之"陰火"」. 湖北中醫藥大學學報. 2011;13(04):40-42.
27 李松鍵, 林澤鑫, 譚夢佳, 王涂路, 廖月紅. 「李東垣陰火論淺析」. 新中醫. 2016;48(07):1-2.
28 陳大舜 曾勇 黃政德 편, 맹웅재 등 편역. 각가학설중국편. 서울:대성의학사. 2006:127-197, 169, 183-197, 209-210.
29 石鋮, 巴元明. 「淺析"陰火"的產生」. 湖北中醫雜志. 2017;39(04):36-37.
30 蘇麒麟, 鄭洪新. 「李東垣"陰火論"之理論內涵」. 中國中醫基礎醫學雜志. 2016;22(01):12-14.
31 孙钰, 王雨, 张钰欣, 张保春. 「罗天益对东垣脾胃内伤理论的创新与临证应用」. 陕西中医. 2019;40(06):784-786.
32 安宏, 高思華. 「"陰火"論淺析」. 中華中醫藥雜志. 2015;30(03):664-667.
33 張鈺欣, 王雨, 馬博雅, 沈翊康, 張雨菲, 劉鐘陽, 張保春. 「李杲陰火理論研究探析」. 陜西中醫. 2020;41(03):364-367.
34 王麗. 「脾胃氣虛而生"陰火"」. 浙江中醫藥大學學報. 2011;35(06):828-829.
35 汪竹峰. 「"陰火論"之我見[J]」. 浙江中醫雜志. 2010;45(03):161-162.
36 張淵釗. 「李杲"陰火說"芻議」. 陜西中醫. 1985;2:98.
37 朱曾柏. 「論李杲"陰火"學說」. 新中醫. 1982;6:7-10.
38 朱曾柏. 「李杲"陰火"證治簡析」. 河南中醫. 1984;2:15-16.
39 朱曾柏. 「脾胃學說的倡導者李杲及其"陰火"學說」. 河南中醫. 1981;3:23-24.
40 夏松青. 「李杲"陰火"學說之我見」. 中國衛生標準管理. 2015;6(15):150-151.
41 黃明俊, 商海濱, 許猛猛, 吳博. 「從李杲元氣陰陽升降浮沉的角度探究陰」. 江西中醫藥大學學報. 2019;31(0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