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al Addres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GIS를 이용한 우편주소정보 관리시스템 (Postal Addres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GIS)

  • 장태우;김호연;김용진;박진우
    • 산업공학
    • /
    • 제18권4호
    • /
    • pp.361-369
    • /
    • 2005
  • Postal address information is basis for customer contact channel as well as for the postal logistics such as sorting and dispatching, and the management system has been prepared. It should manage not only address itself but also information of delivery districts and sequ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be included for intuitive and efficient manipul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integrative system that could manage and utilize the standardized postal address information, we analyze various user requirements, define required GIS information, and present some results of data and process modeling. In addition, we explain several main functions with screen-shots of the implemented system. The GIS-enabled system, which is constructed after this study, is planned to be used to build and manage a database of nationwide postal addresses. It would make it possible to present other postal information systems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o provide various customer services.

주소해석 및 검색을 위한 우편주소파일 설계 (Design of Postal Address File for Address Interpretation and Retrieval)

  • 장태우;김호연;임길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4-88
    • /
    • 2007
  • 우편물을 배달순서대로 정렬하는 순로구분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우편물에 표기된 주소를 인식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표준화된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필수적이다.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주소인식뿐만 아니라 우편물 정보처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 가능하여 우편물 처리의 자동화와 정보화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정보체계 표준을 위한 스키마 및 이에 따른 우편주소파일의 설계 방법과 설계된 스키마에 따른 주소해석 과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소를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우편주소파일 설계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향후 순로구분 자동화를 위한 한글 주소인식 시스템과 고객 바코드 인증을 위한 주소 데이터베이스 매칭 및 주소검색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편주소파일을 설계하였다.

  • PDF

우편주소 정보화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Planning of Postal Address)

  • 장태우;정한일;박찬권
    • 산업공학
    • /
    • 제18권1호
    • /
    • pp.104-116
    • /
    • 2005
  • In this paperm we provide a plan of construction, employment and management of the Korean postal address database and discuss the design of to-be models for it. For the purpose, we adopt and modify the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methodology to fit it into our study. We examine the managerial environ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ostal services and define the requirements as a result. The U.S. Postal Service (USPS) was chosen as the best practice for a benchmarking and gap analysis with its advanced management of address information.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ostal business processes and information systems used, we classify the products and the services of USPS by the process to which they are applied and propose a deployment plan. In order to design a to-be model, we define the operating and managing functions for the address database and specify the scenario according to the functions. By managing the address database and supporting the postal services, it could be possible to make the business competitive and satisfy the customer demands.

CCD스캐너 시스템에서 획득된 표준 택배 라벨 영상의 주소 영역 검출 (Detection of Address Region of Standard Postal Label Images Acquired from CCD Scanner System)

  • 원철호;송병섭;박희준;이수형;임성운;구본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0-37
    • /
    • 2003
  • 최근 들어 인터넷 및 TV 홈쇼핑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로 인하여 소포 및 택배 등의 물류량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효율적인 운송을 위하여 우편 물류 시스템의 고도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소포 및 택배의 빠른 처리를 위하여 CCD스캐너 시스템이 필요로 하게 된다. 대량의 우편 물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CCD 스캐너 영상으로부터 택배 라벨의 주소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자동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체국 표준 라벨의 주소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는 주소 영역의 기하학적인 특징을 이용하였으며, 주소 영역의 고속 검출을 위한 판단 기준을 정의하여, 실시간으로 택배 라벨의 주소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였다.

  • PDF

한국 우편주소 표기 표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 Postal Addressing Standards)

  • 왕승진;장태우;김호연;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703-708
    • /
    • 2004
  • 현재 우리나라의 인만 서장우편 물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월말이나 연말에 집중화되는 계절성과 순환성의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우편물량의 증가와 월말 또는 연말에 집중화되는 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집배원의 인력 부족으로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업무 부하량 증가 등의 문제가 더욱 가시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우편물 처리와 집배원의 업무 경감 등을 위해 배달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주소정보 시스템 도입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일반 소비자 또는 다량 우편물 발송업체 등의 주소 기재 방식이 일정하지 않고 표현 방법이 다양하여 자동화 기계 및 집배원 업무효율의 저하가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에 기입하는 주소의 표기 표준화를 통해 주소인식률과 집배원의 배달 구분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국내 우편주소 체계와 정보 구조를 살펴보고, 각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표준화 시 고려할 요소들을 표기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자동주소인식을 위해 다양한 형식의 결정을 위해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순로코드 발생을 위한 고속 한글 주소검색 시스템 개발 (High-Speed Korean Address Searching System for Efficient Delivery Point Code Generation)

  • 김경환;이석구;신미영;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3호
    • /
    • pp.273-284
    • /
    • 2001
  • 실제로 사용되는 주소의 분석을 통해 한글주소의 해석방법을 제안하고, 제안한 주소해석 방법을 이용한 주소 검색시스템의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주소 상위 및 하위영역의 일치검증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2단계 과정을 통해 최종 배달점에 대한 순로코드를 발생한다. 우편 번호와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단계에서는 우편버호를 이용하여 주소사전에서 검색된 주소단어와 인식된 문자 후보들과의 비교를 통해 우편 번호를 검증하게 되며, 주소 상위영역과 주소 하위영역이 분리된다. 주소 상위영역 일치검증 과정의 성능향상을 위해 혼동행렬을 제안하고, 주소 인식결과에 혼동행렬을 적용하여 검증 성공률의 향상을 통해 혼동행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주소 하위영역 검증은 번지정보와 건물명 정보를 이용하여 순로코드를 발생하였다. 부분적으로 완성된 광주와 부산지역의 DPF(Delivery Point File)와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 가능한 주소에 대해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순로코드를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우편물 자도처리 촉진을 위한 우편용 고객 바코드 검증 시스템 (The Verification System of the Customer Barcode for the Advanced Automatic Processing of the Mail Items)

  • 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68-976
    • /
    • 1999
  • 현재 유편봉투의 상태를 점검한 후, 우편 자동처리 센터(우편집 중국)에서 거의 대부분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를 판독하여 3 of 5 형광(발광) 바코드로 7자리를 인쇄하고, 바코드 구분기(Barcode Sorter)에서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처리 중에 우편주소 및 우편번호 잘못 기재, 주소 및 바코드 인쇄품질의 불량 등에 의하여 오류로 구분되어지는 우편 물량은 전체 우편물량의 31∼35%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될 고객 바코드 인쇄제도를 지원하기 위한 우편용 3 of 5 고객 바코드 및 우편주소 검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고객 바코드 검증시스템은 정해진 규격에 의해 고객 바코드가 정확하게 인쇄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증자 3 of 5 고객 바코드 검증시스템, 바코드 판독결과에 의하여 우편주소가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검사하는 우편주소 검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

우편물 처리원가 절감을 위한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 (Customer Barcode Support System for the Cost Saving of Mail Items)

  • 황재각;박문성;송재관;우동진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563-2573
    • /
    • 1999
  • 현재 우편집중국에서는 우편불 자동처리를 위하여 광학문자판독기예 의하여 우편물의 우편번호 인식하고, 인식된 우편번 호에 의하여 형광바코드를 인쇄한다 그리고 이 형광바코드를 판독하여 우편물을 자동구분 처리하고 었다. 이 자동구분처리 과정에서 오류우편툴 중에서 대부분은 우편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우편번호와 기재와 특정 글꼴 및 흘립체로 기재된 우편변 호의 인식율 저하, 인쇄 품질의 저하에 따른 판독 불능 등이 주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 바코드 인쇄 제도를 도입하고 정확한 우편주소에 의한 우편번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우편물 자동처리 향상을 위한 노력 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주소를 이용한 우편번호 검출, 우편번호 변경시 우편번호 관리, 고객바코드 인쇄 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다. 이 고객 바코드 지원 시스템을 우편 이용자들에게 배포하여 사용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우편물 자동처리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개발한 시스템이다.

  • PDF

우편주소정보 추출모듈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Postal Address Information)

  • 신현경;김현석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145-1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명명된 실체 인식 기법에 기초한 정보 추출 모듈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제시된 목적을 위해, 모듈은 사전 지식 없이 임의의 문서에서 우편 주소 정보를 추출하는 문제에 적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보 기술 실무의 관점에서, 우리의 접근방식은 유니그램 기반 키워드 매칭과 비교하여 일반화된 기법인 확률론적 n-gram(바이오그램 또는 트리그램)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델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문장검출, 토큰화, POS 태그를 재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우리의 접근법과 자연어 처리에 채택된 전통적인 방법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 논문에서는 약 2천 개의 문서를 포함한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우편물 순로구분을 위한 코드 연구 (A Study on Address code for Delivery Sorting)

  • 황재각;송재관;박문성;남윤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437-440
    • /
    • 2000
  • 기계 구분이 어려워 집배원의 수작업 구분에 의존하던 우편물의 배달순로 작업을 인식 기술과 자동 처리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세계 각국은 우편번호에 배달개소를 표현 할 수 있는 코드로 확장하여 배달순로 구분 자동화틀 시도하고 있다. 우편물 순로구분을 위한 주소코드 연구는 국가별 순로구분 자동화 현황에 대한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사용하는 우편번호와 주소 지번 체계의 분석을 통하여 우편물 구분 적합한 주소코드와 순로코드를 설계하고 주소코드를 이용한 우편물 처리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