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and navigation zon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木浦港 開發 및 大佛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變化(II) - 海上環境을 中心으로 - (The Change of Coastal Water Area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Industrial Complex(II))

  • 이중우;정명선;민병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64
    • /
    • 1992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oceanographical environment caused by Mokpo coastal zon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Special emphasis was placed on the clarification of the water level changes and coastal current structure and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ast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ceangraphical environemnt, such as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pH,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 biochemical oxygen demand,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 tide and current were measured. To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tide and current for the future development, a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certain zones, it was found to be flooding problems near the lowlying commercial area.

  • PDF

스퍼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Evaluation of Waterway Dredging Work using Spud Control System)

  • 이중우;정대득;조증언;오동훈;금동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71
    • /
    • 2005
  • 해상 준설선을 이용한 항로의 준설시공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작업구역의 공간적 축소로 여유통항수역의 제공과 수면하의 위험물 배제로 안정항행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보조장치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부대 장비의 실시간 위치 확인, 실시간 준설수심 확인 및 작업정보 등을 통합적인 정보로 제공하여 준설 작업의 자동화를 꾀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스퍼드 제어시스템을 비치한 준설선은 준설 시공시 준설구역 내 준설점 위치로 이동을 스퍼드로 하고 스퍼드는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준설선이 능동적 이동에 의한 준설시공을 행하여 최소의 작업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항행하는 타 선박의 안전한 통과를 허용하면서 준설공사를 중단 없이 시공할수 있다. 또한, 스퍼드 활용 항로준설시스템은 스퍼드의 거동쾌적은 물론 전자해도와 함께 작업심도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리시스템과는 비교가 된다. 시스템 평가를 위한 부상항에서의 시험시공결과 일일 작업 시 기존의 앵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시간의 2배정도를 실제 투입할 수 있었으며, 준설시공 요건별 비교에서도 준비시간을 38% 절감할 수 있었으며, 준비작업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1인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산강 하구둑과 영암-금호방조제 방류에 의한 목포항 주변 수역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Water Quality in the Vicinity of Mokpo Harbor Due to the Discharges from Yo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Sea Dike)

  • 정대득;이중우;국승기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19-426
    • /
    • 1999
  • It is essential for port planning, coastal zon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study to analyze the variation of current and water qual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water area and discharged water from estuary barrage and basin etc. Mokpo sea area downstreams from a long river and two large basins, the Yongsan river and Yongam-Kumho basins discharging much of water through water gates for the purpose of flood control and prohibition of salt intrusion to the inland fresh water area. In this study, the numerical calc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the analysis of diffusion characteristics due to discharging operation, adapting the results of tidal current simulation ADI methord is applied to the governing equation for the movement of sea water and diffusion and 6-point method to the advection terms of diffusion equ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known that the discharging operation causes increasing and/or decreasing of current velocity and enlarging and/or depressing of pollutant diffusion limit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ing gates and the mode of discharging operation. To utilize these result, the linked gate operation and the method increasing exchange of sea water must be considered.

  • PDF

일반부두와 자성대부두의 재개발에 따른 통행량감소 효과분석 - 사회적 비용 분석을 중심으로 -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raffic when General Pier and Jasungdae Pier are Re-developed - Focused on the Social Cost Analysis -)

  • 송용석;강달원;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19-823
    • /
    • 2006
  • 부산항 북항은 일제 강점기에 축조된 일반부두(1,2,중앙,3,4)에서 시작하여 자성대, 신선대, 감만 부두 등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도심과 접한 항만의 입지적 특성으로 인하여 물류 활동 및 도시 활동 양 측면에서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장치장 부족으로 인한 부두밖 장치장(ODCY) 확대가 대표적이다. 이것은 물류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우암로, 충장로 등 주요 간선도로상의 화물 차량 비중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와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부두와 자성대부두 재개발로 인한 충장로, 우암로 등 인접 주요 간선도로의 통행량 감소 효과를 분석하고 그동안 차량 통행으로 발생된 교통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여 두 부두의 재개발로 인한 효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부두 및 자성대부두 재개발시 통행량 감소에 따른 효과 분석 -사회적 비용분석을 중심으로-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raffic when General Pier and Jasungdae Pier are Re-developed -Focused on the Social Cost Analysis-)

  • 송용석;강달원;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275-279
    • /
    • 2006
  • 부산항 북항은 일제 강점기에 축조된 일반부두(1,2,중앙,3,4)에서 시작하여 자성대, 신선대, 감만 부두 등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도심과 접합 항만의 입지적 특성으로 인하여 물류 활동 및 도시 활동 양 측면에서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장치장 부족으로 인한 부두밖 장치장(ODCY) 확대가 대표적이다. 이것은 물류비용 증가뿐만 아니라 우암로, 충장로 등 주요 간선 도로상의 화물 차량 비중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와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부두와 자성대부두 재개발로 인한 충장로, 우암로 등 인접 주요 간선도로의 통행량 감소 효과를 분석하고 그동안 차량 통행으로 발생된 교통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여 두 부두의 재개발로 인한 효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조석이 방류관의 설계 및 운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nfluences of Seasonal and Tidal Changes to Outfall Design and Management)

  • 김지연;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8
    • /
    • 2004
  • 지난 몇 년 동안, 해안지역에서 산업의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해서 육지에서 방출되는 오폐수의 정화 처리 방법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처리방법으로는, 1차 처리 또는 2차 처리된 것을 수중 방류관을 통해 해안이나 심해 또는, 그 중간지점에서 방출되는데, 오폐수가 방출되면 주변의 해수를 연행하여 플룸, 제트 또는 부양성 제트의 형태로 해수면까지 상승하면서 많이 희석된다. 본 연구는 해양환경관리 및 오폐수 처리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해양방류관 설계를 다룬다. Cormix 모델에 조위의 변화와 계절변화에 의한 몇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방류수의 궤적과 희석을 다룬다. 본 연구는 방류수의 효과석인 관리를 위한 기본 데이터와 일반배치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영일만 신항 건설에 따른 항만 정온도의 변화 (Variation of Harbor Response due to Construction of A New Port in Youngil Bay)

  • 이훈;이학승;양상용;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6
    • /
    • 2004
  • 복잡한 수심을 가진 연안해역에서 파랑의 천수효과, 굴절, 회절, 부분반사, 해저마찰, 쇄파의 영향가지를 고려한 파랑모델의 도입은 대부분의 해안공학 설계나 방재 문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파랑이 심해역에서 수심이 얕은 천해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랑의 기본적 특성이 변하며, 파에너지는 천해역과 섬, 해안 보호 구조물, 불규칙한 연안 경계와 다른 지리적 특징에 의하여 파봉선을 따라 재분산된다. 또한, 쇄파가 발생하는 쇄파대에서나, 해안선 및 구조물의 경계에서터 반사된 파가 그 입사파와 상호 작용을 하는 영역을 통과하면서 급격한 변화를 일으킨다. 완경사방정식 파랑모델의 현장 적용은 지금까지 여러 모델이 다루지 못한 파랑변환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신항만의 건설이 이루어질 영일만 내의 넓은 수역에 대해 파랑의 변환과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확장완경사방정식 파랑모델을 구성하고, 신항건설 전,후의 해면변동과 신항만 개발에 따른 포항 구항해역 및 포항 신항해역 등 인접해역에서의 정온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광역항만권 개발에서 쉽게 누락시킬 수 있는 기존항만에 대한 파생적 영향을 반드시 분석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 PDF

영일만 신항 건설에 따른 항만 정온도의 변화 (Variation of Harbor Response due to Construction of A New Port in Youngil Bay)

  • 김지연;이중우;이학승;양상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21-428
    • /
    • 2004
  • 복잡한 수심을 가진 연안해역에서 파랑의 천수효과, 굴절, 회절, 부분반사, 해저마찰, 쇄파의 영향까지를 고러한 파랑모델의 도입은 대부분의 해안공학 설계나 방재 문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파랑이 심해역에서 수심이 말은 친해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랑의 기본적 특성이 변하며, 파에너지는 천해역과 섬, 해안 보호 구조물, 불규칙한 연안 경계와 다른 지리적 특징에 의하여 파봉선을 따라 재분산된다. 또한, 쇄파가 발생하는 쇄파대에서나, 해안선 및 구조물의 경계에서 반사된 까가 그 입사파와 상호 작용을 하는 영역을 통과하면서 격한 변화를 일으킨다. 완경사방정식 파랑모델의 현장 적용은 지금까지 여러 모델이 다루지 못한 파창변환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신항만의 건설이 이루어질 영일만 내의 넓은 수역에 대해 파랑의 변환과정을 보다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확장완경사방정식 파람모델을 구성하고, 신항건설 전,후의 해면변동과 신항만 개발에 따른 포항 구항해역 및 포항 신항해역 등 인접해역에서의 정온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광역항만권 개발에서 쉽게 누락시킬 수 있는 기존항만에 대한 파생적 영향을 반드시 분석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스퍼드 준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Evaluation of Waterway Dredging Work using Spud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 이중우;정대득;조증언;김주영;오동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95-402
    • /
    • 2005
  • 해상 준설선을 이용한 항로의 준설시공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작업구역의 공간적 축소로 여유통항수역의 제공과 수면하의 위험물 배제로 안전항행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보조장비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부대 장비의 실시간 위치확인, 실시간 준설수심 확인 및 작업정보 등을 통합적인 정보로 제공하여 준설 작업의 자동화를 꾀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스퍼드 제어시스템을 비치한 준설선은 준설 시공시 준설구역 내 준설점 위치로 이동을 스퍼드로 하고 스퍼드는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준설선의 능동적 이동에 의한 준설시공을 행하여 최소의 작업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항행하는 타 선박의 안전한 통과를 허용하면서 준설공사를 중단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퍼드 활용 항로준설시스템은 스퍼드의 거동괘적은 물론 전자해도와 함께 작업심도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리시스템과는 비교가 된다. 시스템 평가를 위한 부산항에서의 시험시공결과 일일 작업 시 기존의 앵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시간의 2배정도를 실제 투입할 수 있었으며, 준설시공 요건별 비교에서도 준비시간을 $38\%$ 절감할 수 있었고 준비작업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1인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version Research on the shortening and Sliding of Drape Zones between Chinese Continent Blocks by GPS Data

  • Zhixing, Du;Fanlin, Yang;Xinzhou, Wang;Xiushan, Lu;Huizhan, Zha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01-405
    • /
    • 2006
  • A uniform velocity field of crust can be obtained by cumulative multi-year GPS data. Then the shortening and sliding of drape zones between Chinese Continent Blocks can be researched through the velocity field and dynamics meaning is also analyzed. A model of movement and strain is created to extract displacing and rotating information of blocks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it, the shortening vectors and sliding states of drape zones between blocks can be obtained by the model of level center of gravity moving velocity vectors between neighboring blocks. Some result show as follows. India plate jostles greatly toward north, so a complicated movement situation is formed for 14 sub-blocks. And self-deformations of inner tectosomes can be great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rape zones between tectosomes. The extrusion deformation exists between Himalaya and Qiangtang blocks. Its contraction ratio is about 20.1 $mm.a^{-1}$. However, it only is $mm.a^{-1}$ between Tarim and Zhungar.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action ratio of other drape zones are obviously different with the former.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ontraction, shear, dislocation, etc. are showed in these zones. The average contraction ratio is about 5.0 $mm.a^{-1}$. The whole trend in the west continent has a big movement toward north, and in the east continent has a small movement toward south or southeast. The strain of west continent is far bigger than that of east, and the strain of southwest is bigger than that of the southeast. It is whole showed that India plate jostles toward north-east and the south-north zone has cutting and absorbing phenomena. The total characteristics and present-day trends of deformation of inland drape zones are basically described by the sinistrorse dislocation in south-north zone and Arjin fracture, the sinistrorse shear between south china and north china, etc.

  • PDF